-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은?
- 트렌드
- 독일
- 함부르크무역관 문기철
- 2025-07-14
- 출처 : KOTRA
-
Keyword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독일 스마트시지 시장 진출 전략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2033년까지 연평균 17.6% 성장 예상
진출을 위해서는 거버넌스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협력과 틈새시장 공략 등 전략적 접근이 중요
독일은 강력한 기후·에너지 정책과 연방정부 차원의 스마트시티 전략을 추진하며 유럽 스마트시티 시장에서 주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모빌리티, 디지털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마트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한국 기업에도 새로운 사업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의 주요 트렌드, 한국 기업의 진출 기회, 그리고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안을 분석했다.
시장 규모 및 성장 잠재력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은 유럽 내에서도 가장 역동적이고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IMARC Group의 분석에 따르면, 2024년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는 약 418억 달러를 기록했다. 독일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과 민간 부문의 기술 혁신이 맞물리며, 이 시장은 연평균 17.6% 성장해 2033년에는 약 2115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단순한 인프라 구축을 넘어 모빌리티, 에너지, 헬스케어, 공공 행정 등 도시 생활 전반에 걸쳐 스마트 기술이 깊숙이 통합되는 거대한 시장이 열리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4~2030년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US$ 십억)
[자료: IMARC Group]
독일은 연방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력해 교통·물류, 에너지, 전자정부,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등 주요 도시에서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스마트 에너지 관리, 통합 데이터 플랫폼 등 데이터 기반 혁신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도시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한다. 이 과정에서 민간 기업과 연구기관의 참여가 확대되면서 데이터 활용을 기반으로 한 신규 비즈니스 기회도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시티 육성 정책: 스마트시티 모델 프로젝트
연방정부는 스마트시티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2019년부터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모델 프로젝트(Modellprojekte Smart Cities, MPSC)’가 있다. 연방주택도시개발건축부(BMWSB)가 주관하는 이 사업은 전국 공모를 통해 모범적인 스마트시티 모델을 구축할 도시와 지자체를 선정하고, 이들의 전략 수립과 실행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2021년까지 총 세 차례의 공모를 통해 전국 73개 도시·지자체가 선정됐으며, 이들에게는 도시별 특성에 맞는 스마트시티 전략 개발, 디지털 인프라 구축, 시민 참여 플랫폼 운영 등을 위한 예산이 지원된다. 또한, 연방정부는 2021년부터 이들 모델 프로젝트의 성과를 전국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조율·확산 지원 기구(Koordinierungs- und Transferstelle, KTS)를 운영하고 있다. KTS는 각 프로젝트 간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성공 사례를 다른 지자체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연방정부는 2024년 6월 발표한 ‘단계별 실행계획’을 통해 그동안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았던 비수혜 지자체까지 지원을 확대하고, 독일 전역의 도시와 지역이 보다 체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해 특정 도시 중심의 사례를 넘어 전국 단위의 디지털화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일 스마트시티 모델 프로젝트 정책 주요 내용>
정책명
스마트시티와 지역(Smarte Städte und Regionen)
추진기간
’19~’30년 (1차: ’19~’21년)
담당부처
연방 주택·도시개발·건설부 (BMWSB)
투입 예산
약 8억8600만 달러 (8억2000만 유로)
주요정책 세부내용
ㅇ (정책 배경)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회·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
ㅇ (추진 목표) 지속가능하고 살기 좋은 도시와 지역을 위한 디지털화
ㅇ (주요 내용) 지자체의 디지털 전략 수립과 실행을 위한 종합적 지원 정책
- 모델 프로젝트 선정 및 지원: 다양한 규모의 도시·지역(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등)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모델 프로젝트 선정
- 전략 수립 지원: 각 지역이 자체 디지털 전략을 개발하도록 컨설팅, 데이터 플랫폼, 지침 제공
- 공공 데이터 및 디지털 인프라 확대: 공공 데이터 개방, 지역 간 데이터 공유 촉진
- 지속가능한 거버넌스 구조 구축: 시민 참여, 윤리적 디지털화, 개인정보 보호 등 사회적 가치 통합
- 지식 이전 및 네트워크화: 지자체 간 지식 공유, 우수 사례 확산을 위한 연방 수준의 지원 체계 마련
* 이를 위해 스마트시티 모델 프로젝트 조정 및 이전 지원센터(Koordinierungs- und Transferstelle Modellprojekte Smart Cities, KTS) 운영
- 대상 범위: 독일 전역의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정부(도시, 중소도시, 농촌 포함)
- 적용 방식: 공모를 통해 선정된 지자체가 디지털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고, 연방 정부는 이를 재정적·전문적으로 지원
- 수행 주체: 지자체가 주도하고, 연방 정부는 촉진자 및 조정자 역할 수행
- 확산 전략: 모델 프로젝트의 결과를 전체 지역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평가 체계 도입
ㅇ (추진 방향)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화의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관련 위험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협력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제공
ㅇ(진행 방식) 지자체가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지원 중심 프로그램 운영
ㅇ (진행 경과) ’19년 초부터 독일 정부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디지털 전략을 계획하고 실행을 가속화하기 위해 지자체의 스마트시티 모델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 중
- 현재 총 659개의 개별 조치가 시행 중이며, 일부 지자체는 아직 전략 수립 단계에 있음
[자료: BMWSB, KOTRA 스마트시티 진출전략(2024), KOTRA 프랑크푸르트무역관 재인용]
스마트시티 분야별 트렌드
독일의 스마트시티 전략은 단일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도시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접근 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연방정부는 교통·물류, 전자정부, 에너지, 해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며, 분야별로 구체적인 정책 목표와 실행 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이행하고 있다.
① 교통·물류: 지능형 교통 시스템과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독일은 교통 분야 디지털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그 핵심 수단으로 지능형 교통 시스템(IVS: Intelligente Verkehrssysteme)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연방디지털교통부(BMDV)는 IVS를 기반으로 자동차, 철도, 대중교통, 물류 전 분야에서 데이터 중심 교통 운용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2023년 개정된 EU IVS 지침(2023/2661/EU)에 따라, 연방디지털교통부는 2025년까지 국가 차원의 법 개정(IVSG)을 완료하고, 실시간 교통 데이터와 안전정보를 무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독일 IVS 정책 및 기술 적용 주요 분야>
주요 분야
주요 기능
협력형 지능형 교통(C-ITS)
차량 간(V2V) 및 차량-인프라 간(V2I) 실시간 정보 교환 체계를 구축해 사고 예방, 교통 흐름 최적화, 환경오염 감소 등을 목표로 함. 주요 도로와 교차로에 관련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대 구축 중
eCall
사고 발생 시 차량 내 자동 긴급 구조 요청 시스템이 작동해 위치정보, 사고 중대성 등의 데이터를 구조 기관에 전송. 2018년부터 신차에 의무화됐으며, 구조 골든타임 단축 및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에 기여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 플랫폼(Mobilithek)
연방정부가 운영하는 Mobilithek 플랫폼을 통해 도로, 철도, 대중교통 등 다양한 교통수단의 실시간 데이터 및 예측 데이터를 통합·개방. 민간 사업자 및 공공기관이 이를 활용해 혁신 서비스 개발을 촉진
자율주행 및 연결형 운전
고도 자율주행 차량과 연결형 운전(Connected Driving) 기술 도입을 위한 도로 인프라(예: 스마트 신호등, 센서 네트워크) 및 관련 법·제도를 정비. 자율주행 시험 구역 확대 및 법적 책임·보험체계 개선도 병행
IVS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공공화물주차정보 제공, 다중 교통수단 연계(철도-버스-공유차량 등) 정보 제공, 예약·결제 통합 서비스 등 IVS 기반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확산. 물류 효율화와 도시 혼잡 완화에 기여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
EU IVS 지침과 연계해 유럽 전역에서 표준화된 기술과 데이터 형식을 채택하고, 국가 간 상호운용성을 확보. 이를 통해 국경을 넘는 교통 서비스 연계와 데이터 호환성 강화
[자료: 연방디지털교통부, EU 집행위]
교통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또 다른 중요한 트렌드는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MaaS, Mobility as a Service)이다. 이는 시민들이 단 하나의 앱이나 플랫폼을 통해 대중교통, 공유 자전거/스쿠터, 카셰어링, 택시 등 모든 교통수단을 통합적으로 검색, 예약,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MaaS는 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자가용 이용을 줄이고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베를린, 함부르크와 같은 대도시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점차 다른 도시로도 확산되는 추세다. 이러한 플랫폼은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교통 서비스를 연계함으로써 도시 교통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도시 교통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지역 모빌리티 플랫폼 주요 사례>
플랫폼
세부 내용
- 플랫폼명: Jelbi
- 운영주체: 베를린 대중교통공사(BVG)
- 서비스 범위: 대중교통, 공유 서비스, 택시 등을 하나의 앱에서 계획, 예약, 결제 가능
- 특징: 실시간 정보 제공, Jelbi 스테이션(환승 허브) 운영으로 온-오프라인 연계 강화
- 플랫폼명: HVV Switch
- 운영주체: 함부르크 교통 조합(HVV)
- 서비스 범위: S-Bahn, U-Bahn, 전기스쿠터, 카셰어링, 택시 등
- 특징: MILES, TIER 등 민간 모빌리티 기업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플랫폼
[자료: Jelbi, hvv switch]
② 전자 정부: 온라인 접근법 개정과 행정 디지털화
2024년 독일의 전자정부 발전지수((E-Government Development Inde)는 0.94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이는 2022년 대비 0.06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저조했던 전자정부 발전이 다시 활력을 되찾았음을 보여준다. 전자정부 발전지수는 온라인 서비스 지수(OSI), 통신 인프라 지수(TII), 인적자본 지수(HCI)의 세 가지 영역을 합산한 값으로 산출되는데, 독일은 이번 지수 상승을 통해 온라인 행정 서비스 제공과 디지털 인프라 강화, 그리고 이를 운영하는 인적 역량이 고르게 향상됐음을 입증했다.
<2005~2024년 독일 전자정부 발전지수 추이>
(단위: P(포인트))
[자료: UN, E-Government Survey 2024]
이러한 성과는 2024년 7월 발효된 온라인 접근법 개정안(OZG 2.0)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개정안은 연방 및 주정부의 575개 행정 서비스를 디지털화해 시민과 기업이 온라인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독일 전역의 행정 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독일 온라인 접근법 개정안 주요 내용>
주요 내용
설명
시민
BundID
(중앙 시민 계정)
- 연방정부가 제공하는 전국적인 디지털 계정으로, 독일 전역에서 신분 확인 및 신청서 제출이 가능
- 의사소통과 결정 전달을 위한 디지털 우편함도 포함
최소 데이터 원칙(Once-Only Principle)
- 시민은 자신의 데이터와 서류를 한 번만 제출
- 서류 업무를 법적으로 폐지해 필요한 서류(예: 출생증명서)를 신청자의 동의를 받아 관련 기관 및 등록부에서 전자적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전환
디지털 행정 서비스
- 행정 절차 간소화
- 서류 없이 디지털 신청 대체
데이터 관리
- 개인정보 강화
- 사용자 개인정보 투명화
- 공공기관 간 데이터 전송 시 알림 제공
행정 서비스 이용 권리
- 전자 행정 서비스 이용 권리 보장
- 손실 및 보상 청구 불가능
기업
계정
- 기업들은 행정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조직 계정을 받게 되며, 이 계정을 통해 디지털 행정 서비스를 간단하고 안전하며 투명하게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
디지털 행정 서비스
- 5년 이내 모든 기업 행정 서비스 전자화
표준화된 디지털화
- 2년 이내 전국적인 기술 기준, 표준 및 인터페이스 설정
종합적 디지털 행정
- 신청부터 결정까지 향후 온라인 신청서는 완전히 디지털 방식으로 제출 및 처리
[자료: 연방내무부]
③ 에너지: 스마트 에너지 관리
독일은 2045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위해 에너지 디지털화를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전략의 대표적인 정책은 스마트 전력량계(Smart Meter) 설치 의무화다. 2023년 5월 시행된 에너지 전환 디지털법(GDEW)은 연간 6000kWh 이상 10만kWh 이하의 전력 소비자와 7kW 이상 100kW 이하의 생산 설비 운영자에게 2025년부터 스마트 미터 설치를 의무화했다. 이러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면서 스마트 계량기 보급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024년 12월 31일 기준 연방네트워크청(BNetzA)에 보고된 설치 건수는 115만8000건으로, 2016년 계량기 운영법(Messstellenbetriebsgesetz) 시행 이후 2022년까지의 누적 설치 건수를 이미 넘어섰다.
한편, 독일의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통합적 실현 사례로는 베를린 쇠네베르크에 위치한 오이레프 캠퍼스(EUREF-Campus)를 들 수 있다. 해당 캠퍼스는 2008년부터 조성된 5.5헥타르 규모의 도시 재생형 스마트 캠퍼스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실현한 선도적 모델이다.
<EUREF-Campus>
[자료: Euref AG]
이 캠퍼스는 총 26개 건물 단지(연면적 약 13만5000㎡)에 약 150개의 에너지,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분야 기업·기관·스타트업이 입주해 있으며, 약 7000명이 근무하는 대규모 혁신 클러스터다. 특히 주목할 점은 바이오가스 열병합발전소 기반의 탄소중립 에너지 공급, 태양광·풍력 연계 스마트 그리드, 전기차 충전 인프라 등 첨단 에너지 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LEED 플래티넘 인증을 획득한 고효율·저탄소 건축 기술이 적용돼 건물 자체도 친환경 모델로 평가된다. EUREF-Campus는 이미 2014년에 독일 정부의 2045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제적으로 달성했으며, 현재 독일 스마트시티 전략을 상징하는 대표 사례로 꼽힌다.
④ 해양 분야: 스마트 항만으로 해양 물류 혁신
해양 분야에서는 항만 도시 중심의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함부르크와 브레멘 등 주요 항만 도시는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물류 시스템과 친환경 항만 구축에 주력하며 새로운 해양 물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혁신의 대표 사례 중 하나가 함부르크항의 SmartPORT다. 함부르크항만공사(HPA)가 주도하는 SmartPORT 전략은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종합 프로그램이다. SmartPORT는 물류 최적화(smartPORT logistics)와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 구축(smartPORT energy)을 양대 축으로 삼아, 스마트 기술, 센서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예측 시스템을 활용해 항만 운영의 자동화와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선박 입출항, 화물 운송, 창고 관리 등 항만 물류 과정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함부르크항은 다양한 지능형 교통 체계(ITS) 프로젝트를 통해 항만과 도시 간 연계 교통의 최적화, 물류 흐름의 실시간 관리, 환경 영향 저감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함부르크항은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지속가능성과 디지털 혁신을 결합한 미래형 스마트 항만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함부르크 항에서 진행 중인 ITS 프로젝트>
ITS 프로젝트명
주요 내용 및 목적
MOZART
(Mobility OptimiZation and Analysis in Real Time)
항만 내 주요 교차로에서 신호등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기 위해 양자 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해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고, 불필요한 정차 및 가속을 줄여 에너지 소비와 배출가스를 감소시키며, 향후 전체 교통망에 대한 최적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
PORTwings
공중, 수면, 수중, 지상 드론(UAV, ASV, UUV, Rover)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원격운영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난 대응과 항만 보안·모니터링을 위한 실시간 영상 기반 상황 인식 서비스를 개발해 항만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
Green4TransPORT
V2X 통신 기술을 이용해 대형 화물차의 실시간 위치를 감지하고, 신호등에서 해당 차량의 통과를 우선 처리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정지·출발을 줄이고, 항만 내 교통 흐름을 향상시키며 이산화탄소 및 기타 배출가스를 저감하려는 프로젝트
Echo 1
자율운항 수상 드론(ASV)을 통해 전통적인 측량선이 접근하기 어려운 항만 지역에서 수심 데이터 및 수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전송하며, 효율적인 수로 관리와 위험 지역 탐색을 지원하는 수상 로봇 운영 솔루션 실증 프로젝트
I2PANEMA
선박의 배출가스, 전력 소비, 실시간 위치 정보를 IoT 센서로 수집하고 이를 항만 운영 시스템과 연동해, 친환경 항만 운영과 실시간 여객 정보 제공, 전력 인프라 활용 최적화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통해 운영 효율성과 환경 성과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연구 개발 과제
RoboVaaS
자율 수상선박(ASV)과 수중 로봇(ROV)을 연계해 선박 하부 점검, 수심 조사, 수질 및 환경 정보 수집 등 다양한 항만 기반 서비스를 무인화해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하고,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을 검증하는 실증 사업
DLSAi
(Digitalisierung der Lichtsignalanlagen-Infrastruktur im Hamburg Hafen)
함부르크항에 설치된 기존의 28개 신호등 인프라를 디지털화하고, 차량 감지 센서와 Bluetooth 통신, 중앙 관제 시스템을 연계해, 물류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교통 혼잡과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스마트 신호 체계 구축 프로젝트
[자료: 함부르크항만공사(HPA)]
한국 기업의 시장 진출: 거버넌스 네트워크 구축과 틈새시장 공략의 필요성
독일은 강력한 기후·에너지 정책과 연방정부 주도의 스마트시티 전략을 기반으로 유럽 스마트시티 시장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17.6%의 고성장이 예상되며, 에너지, 모빌리티, 해양, 디지털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수요가 구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독일 시장 진출을 원하는 우리 기업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진입 장벽과 치열한 현지 경쟁이라는 현실적 과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실제로 독일 시장은 복잡한 연방제 구조, 지역별 상이한 행정 절차, 독일어 기반의 입찰 문서, EU 인증 체계 등으로 인해 한국 기업이 단독으로 진입하기에는 쉽지 않은 환경이다. 따라서 시장의 특성과 진입 장벽을 충분히 고려한 현실적인 전략 마련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한국과 독일 간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현지 연구소, 공공기관, 도시, 유틸리티 기업, 컨설팅 업체 등과 협력을 기반으로 기술 파트너나 하위 솔루션 공급자로 참여하는 방식이 보다 효과적인 접근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V2X 통신, 디지털 트윈 등 한국 기업이 강점을 가진 기술 분야에서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전략도 유효하다. 특히 베를린과 함부르크 같은 대도시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 모빌리티 실증사업, Gaia-X 프로젝트, 독일 전자정부법 2.0(OZG 2.0) 기반의 디지털 행정 수요는 한국 ICT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유망한 분야로 꼽힌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은 이러한 영역에서 구체적인 진출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과 기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KOTRA 함부르크무역관은 대구시와 함부르크시의 Gaia-X 프로젝트를 연계한 경험이 있는 한다포럼 김인숙 대표를 인터뷰해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트렌드와 한국 기업의 진출 전략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Q1: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특히 주목해야 할 주요 트렌드나 정책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A1: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에서는 무엇보다 Gaia-X 데이터 스페이스 트러스트 프레임워크의 확장성에 대한 수요가 높다. 지리적으로는 EU 비회원국인 스위스를 비롯해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까지 확장되고 있고, 영역별로는 스마트시티뿐만 아니라 모빌리티, 헬스,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상호연결을 통해 새로운 혁신과 사업 모델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현재 독일은 스마트시티 시장에서 데이터 비즈니스 창출을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있다. 스마트시티, 데이터 스페이스, 산업 AI 등을 모두 'as a Service'로 간주하며, 스마트시티 자체도 '비즈니스 우선(Business First)'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 특히 스마트시티 사업에서는 '비즈니스 커뮤니티' 구성이 최우선 과제다. 데이터 수요자, 공급자, 중개자, 앱 개발자, 운영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등 모든 경제주체가 각자 잠재적 편익을 기대할 수 있어야 비로소 사업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과 활용 범위는 비즈니스 커뮤니티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된다.
Q2: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 시 한국 기업이 강점으로 삼을 수 있는 기술이나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A2: 한국은 도시의 디지털 전환 수준이 매우 높고 그 속도도 빠르다. 한국 기업들은 IoT 기반 스마트시티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축적하고 있으며, 교통, 헬스, 배달, 택배 등 스마트시티 관련 서비스 앱 개발을 매우 빠르고 기민하게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독일의 스마트시티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면, 한국 기업이 보유한 AI 솔루션을 접목해 빠른 속도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한국 기업의 기민함과 빠른 실행력, 가시화 역량은 독일이 가진 체계적인 스마트시티 프레임워크 및 거버넌스 역량과 결합될 때 매우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독일의 탄탄한 기반 위에 한국의 신속한 실행력이 더해진다면 상당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Q3: 한국 기업이 독일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을 극복하고 실질적인 진출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전략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A3: 한국 기업은 상대적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경험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한국과 독일 간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독일에서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연구소인 프라운호퍼, 독일 항공우주센(DLR)과 같은 기관들, 그리고 독일 국제협력공사(GIZ) 같은 공공기관, 함부르크 등의 도시 정부와 도시 소속 진흥원 등을 적극 발굴해야 한다.
한국 기업이 단독으로 진출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한국 내에서도 공공기관, 지자체, 연구소, KOTRA 등이 하나의 그룹이나 거버넌스를 구성해 독일과 공동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기획해야 한다. 또한 정기적인 상호 방문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신뢰 구축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대구시와 함부르크시는 매년 4월 하노버 산업 전시회, 10월 대구에서 열리는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에서 공동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한-독 간 협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원활한 소통과 상호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언어 장벽 해소와 디지털 기술 기반 지원이 필요하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언어 지원, 워크숍 운영, 거버넌스 지원 등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더불어, EU 호라이즌 프로그램, 연방연구기술우주부(BMFTR), 연방경제에너지부(BMWE), 연방디지털교통부(BMDV) 등에서 제공하는 재정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글로벌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와 안내를 강화해야 하며, 제안서 작성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독일과 한국의 단계별 파트너들이 가진 전략과 원칙이 서로 부합되도록 조율해야 한다. 정부 차원의 컨셉, 재정지원 프로그램, 프로젝트 거버넌스 모든 영역에서 양국 간 전략적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사점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이지만, 연방제 구조와 복잡한 행정 체계로 인해 한국 기업이 단독으로 진입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은 V2X 통신, 디지털 트윈 등 기술적 강점을 기반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한-독 양국의 공공기관, 지자체, 연구소가 연계된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구축해 기술 파트너나 하위 솔루션 공급자로 참여하는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EU나 독일의 재정지원 프로그램과의 연계,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신뢰 구축을 기반으로 단기적 성과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현지 비즈니스 생태계에 점진적으로 참여해 나가는 접근이 요구된다.
자료: Jelbi, hvv switch, E-Government Index, Euref AG, IMARC Group, 연방주택도시개발건축부, 연방디지털교통부, 연방내무부, EU 집행위, 함부르크항만공사,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KOTRA 함부르크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인도, AR·VR 기술로 미래를 설계하다
인도 2025-07-14
-
2
태국의 푸드테크와 단백질 시장 트렌드
태국 2025-07-17
-
3
프랑스 정부, 원자력 발전 가속화 위한 행보 시작
프랑스 2025-07-16
-
4
방글라데시 CCTV 카메라 시장동향
방글라데시 2025-07-14
-
5
고기능·고감성 소비가 이끄는 그리스 뷰티 트렌드
그리스 2025-07-14
-
6
아제르바이잔 자동차부품 시장
아제르바이잔 2025-07-14
-
1
2025년 독일 방위산업 정보
독일 2025-07-22
-
2
2025년 독일 철강산업 정보
독일 2025-04-01
-
3
2024년 독일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독일 2024-12-20
-
4
2024년 독일 반도체 산업 정보
독일 2024-12-11
-
5
2024년 독일 IT 산업 정보
독일 2024-08-14
-
6
2024 독일 항공 우주 산업 정보
독일 2024-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