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의 푸드테크와 단백질 시장 트렌드
- 트렌드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5-07-17
- 출처 : KOTRA
-
태국 정부, 농산물을 경제 성장의 핵심 원동력으로 전환 계획
연구 단지 사이언스 파크에 글로벌 식품 혁신 허브인 푸드 이노폴리스 설립
최근 태국에서는 푸드테크 산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푸드테크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흐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태국 정부 및 주요 기업(정부 산하 국립혁신청(NIA), 마히돌대, ThaiUnion, Nestlé, Thai Beverage 등)이 협력해 푸드테크 스타트업 발굴·육성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도 푸드테크 산업의 성장에 한몫하고 있다. 국제 비영리 기후단체 Madre Brava가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태국 국민의 3분의 2는 향후 2년 이내에 동물성 단백질 소비를 줄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 및 환경과 동물 복지 등의 사유가 이러한 결정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이렇듯 정부의 푸드테크 산업 육성에 대한 의지 및 소비자와 민간의 수요 확대 등의 시장 여건이 맞물리면서 태국에서는 푸드테크 전반에 걸친 생태계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푸드테크 관련 정부 정책 동향
태국 정부는 미래 식품 산업의 성장을 위해 관련 연구와 투자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태국 정부는 푸드테크 산업을 크게 기능성 식품, 의료용 식품, 유기농 식품, 대체 단백질의 네 가지 분야로 분류,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식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에 부응해 농산물을 경제 성장의 핵심 원동력으로 전환코자 노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민간 부문과 협력 하에 해당 산업 육성을 위해 앞장서고 있으며, 태국제품표준기구(TPSO)와 태국식품협회(TFA)는 무역 정보 시스템 내 '미래 식품 대시보드' 시스템을 개발, 기업가에 종합 데이터를 제공하여 의사 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태국 정부는 방콕 북부 빠툼타니 지역에 위치한 연구 단지 사이언스 파크에 글로벌 식품 혁신 허브인 푸드 이노폴리스(Food Innopolis)를 설립했다. 해당 단지는 국가과학기술개발청(NSTDA)이 운영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민간기업, 대학 간 협력을 통해 식품 분야 연구 개발 촉진 및 강력한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푸드 이노폴리스는 기업가들의 니즈에 맞춘 종합적인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며, 푸드 이노폴리스에 입주한 기업에게는 다양한 인센티브 혜택이 주어진다.
<푸드 이노폴리스 플랫폼>
[자료: 태국투자청(BOI), KOTRA 방콕 무역관 종합]
태국 정부는 푸드테크 산업 관련 투자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그 혜택은 아래와 같다.
<푸드테크 산업 관련 정부의 인센티브 제도>
◦ 푸드테크 관련 태국 투자 기업은 5년 또는 8년 법인소득세(CIT) 면제 혜택
◦ 8년 법인세 면제 유형: 유기농 전분·밀가루 제조, 혁신 기술 활용, 바이오테크놀로지, 미래식품 제조, 치료용 반려동물 식품 제조, 스마트팜 기술 활용
◦ 5년 법인세 면제 유형: 식품·음료 제조, 동·식물 유래油제조, 플랜트 팩토리
◦ 이외 추가 혜택으로는 기계, 연구개발(R&D)에 사용되는 원자재 및 수출 생산용 원자재에 대한 수입 관세 면제 등이 있으며, 토지 소유 허가, 숙련 노동자 및 전문가의 태국 영입 등 다양한 비과세 인센티브도 제공하고 있음
<태국 투자청(BOI)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푸드테크·식품산업 유형>
8년 법인세 면제 유형
5년 법인세 면제 유형
[자료: 태국 투자청(BOI)]
푸드테크 관련 민간기업 동향
푸트테크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 외에도 민간 측면에서 다양한 활동이 눈에 띈다. LinkedIn Santi Abakaz의 2025년 6월 보고에 따르면, 태국의 주요 푸드테크 스타트업 10여 곳이 총 3억 달러 이상을 유치했으며, 아세안 국가에서 가장 역동적인 푸드테크 생태계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태국 전체로 추산했을 때, 약 119개 푸드테크 스타트업이 활동 중이며, 그 중 약 20개 기업이 자금 유치에 성공했고, 방콕 내 푸드테크 스타트업의 총 누적 투자 규모는 약 1조3000억 바트(3억8000만 달러)에 달한다. 이러한 스타트업 움직임 외에도 태국 내 다양한 대기업이 산업 육성에 함께하고 있는데, 대기업에 산업 육성에 대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태국 내 글로벌 식품 대기업의 대체단백질 및 푸드테크 산업 육성 사례>
1) 타이 유니온 그룹(Thai Union Group PCL)
◦ 태국 내 해산물과 지속가능성 분야의 리더로 인정받고 있는 타이 유니온은 대체 단백질, 영양 및 기능성 식품, 가치사슬 확대 등에 초점
◦ 푸드테크 분야의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3,000만 달러 규모의 벤처 펀드를 출범
◦ 해당 펀드는 푸드테크 분야 혁신 기술 개발 기업가 투자 및 파트너십이 목표
◦ 타이 유니온은 첫 투자로 초파리 유충에서 지속 가능한 유충 곤충 단백질을 생산하는 스타트업인 플라잉 스파크(Flying Spark)를 지원
◦ 해당 기술을 통해 기존 단백질 공급원에 대한 대체재 마련 및 단백질의 효율적 생산 가능
2) 씨피(CP RAM)
◦ 태국 최대 대기업인 CP는 식품 연구 개발 전담 회사 'CP Foodlab'(CPFL)을 설립하고, 연령·직업·기저질환 별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 충족을 위해 연구
◦ 고부가가치 건강식품 등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
3) 네슬레 태국 법인(Nestlé Thailand)
◦ 네슬레 태국 법인은 태국 글로벌 푸드테크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SPACE-F 프로그램*을 통해 태국 국가혁신청(NIA), 타이 유니온 그룹(Thai Union Group), 마히돌 대학교(Mahidol University)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 2024년 2월 12일에 체결된 이 양해각서는 태국 식품 산업의 혁신을 촉진하고 푸드테크 스타트업의 성장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성을 프로그램에 도입하여 글로벌 및 현지 스타트업이 함께 식품 혁신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SPACE-F 프로그램 : 태국 최초의 글로벌 푸드테크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이자 액셀러레이터로, 태국 유니온 그룹, 국가혁신처, 마히돌 대학교의 협력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업계 선도 기업의 지원을 받는 혁신적인 멘토링, 비즈니스 네트워킹, 코워킹 프로그램을 통해 선도적인 푸드테크 스타트업과 기업을 지원함
부상하는 대체 단백질 시장
푸드테크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대체 단백질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크룽타이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식물성 식품 시장은 2024년까지 약 25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1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소비자의 인식변화도 눈에 띄는데, 2023년 9~11월 1500명 이상의 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많은 응답자가 육류를 대체하는 식단에 관심을 보였다. 응답자의 44%가 식물성 단백질 식단으로 대체하겠다, 29%는 새로운 유형의 대체 식품으로 대체, 28%는 두 가지를 혼합한 식품으로 대체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건강이었고, 환경 및 동물 복지가 그 뒤를 이었으며, 대체 단백질을 섭취한 경험이 있는 사람 중 89%는 대체 단백질 섭취량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응답했다.
1) 곤충 단백질 시장
태국에서는 최근 곤충에서 추출된 대체 단백질 공급원이 인기를 얻고 있다. 태국 북동부 지역에 단백질 생산을 위한 2만여 개의 전통 귀뚜라미 농장이 있으며, 해당 농장들은 총 7000톤 이상의 귀뚜라미 사육 능력을 갖추고 있다.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태국 최초로 축산개발부로부터 GMP 인증을 받은 귀뚜라미 분말 제조업체인 Protanica가 있으며, 프로타니카의 크리켓 단백질 파우더는 케이크, 쿠키, 마카로니, 피자, 시리얼 바 등 다양한 레시피에 활용된다.
<프로타니카 단백질 파우더와 곤충 단백질 과자>
프로타니카 프로틴 파우더
곤충 단백질 과자
[자료: 프로타니카 홈페이지]
2) 식물 단백질 시장
태국 내 식물성 단백질 또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식물성 단백질은 주로 대두, 밀, 완두콩, 버섯, 마이코프로틴(곰팡이 단백질)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트렌드의 주요 원인은 태국 인구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플렉시테리안'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이들은 엄격하게 채식을 지키는 것은 아니지만 건강 또는 환경상의 이유로 육류 섭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한 옵션으로 식물성 단백질을 선호함, 식물성 단백질은 단백질 함량이 높지만 콜레스테롤과 지방 함량이 낮다.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은 가축 사육이 발생시키는 환경오염을 인지하고, 육류에 비해 적은 토지와 자원을 필요로 하는 식물성 육류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 인기 있는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는 미트 아바타, 모어 미트, 미트 제로 등이 있다
<식물 단백질 경쟁 동향>
1. CARGILL MEATS (THAILAND) LIMITED
본사
태국
브랜드 및 로고
Cargill
설립 연도
1989년
지분 구조
태국 100%
2023년 매출액
339억 7551만 바트(약 10억 달러)
주요 제품 및 특징
- 제품명: PLANT-BASED CHICKEN NUGGET
- 가격: 79 바트
- 중량: 200g
- 제품 설명: 미트 제로(Meat Zero), 식물성 돼지고기
- 제품명: Plant-Based Ground Meat
- 가격: 79 바트
- 중량: 220g
- 제품 설명: 미트 제로(Meat Zero), 식물성 채식 고기
- 제품명: Plant-Based Crispy Pork
- 가격: 79 바트
- 중량: 200g
- 제품 설명: 미트 제로(Meat Zero), 식물성 닭고기
홈페이지
https://www.cargill.co.th/
2. THAI UNION GROUP PUBLIC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브랜드 및 로고
OMG meat
설립 연도
1994년
지분 구조
태국 76%, 외국 24%
2023년 매출액
197억 5607만 바트(약 6억 달러)
주요 제품 및 특징
- 제품명: Plant-based Shrimp Dumpling
- 가격: 89 바트
- 중량: 125g
- 제품 설명: 식물성 새우 완탕(식물성 새우살, 천연 향료, 천연 색소 함유)
- 제품명: Plant-based Fish Nugget
- 가격: 79 바트
- 중량: 150g
- 제품 설명: 식물성 생선 너겟(대두 및 밀가루 단백질, 비건 마요네즈 함유)
- 제품명: Plant-based Crub Meat
- 가격: 89 바트
- 중량: 160g
- 제품 설명: 게살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대두 및 밀 단백질, 비건 마요네즈 함유)
홈페이지
https://www.cargill.co.th/
3. PLANTAE CO., LTD.
본사
태국
브랜드 및 로고
PLANTAE
설립 연도
2020년
지분 구조
태국 100%
2023년 매출액
65만 2359만 바트(약 2만 달러)
주요 제품 및 특징
- 제품명: Complete Plant Protein
- 가격: 990 바트
- 중량: 400g
- 제품 설명: 식물성 단백질(호치차 맛)
- 제품명: Complete Plant Protein
- 가격: 799 바트
- 중량: 400g
- 제품 설명: 식물성 단백질(초콜릿 맛)
- 제품명: Protein with Acetyl L-carnitine
- 가격: 1,119 바트
- 중량: 500g
- 제품 설명: 식물성 단백질(메론 맛)
홈페이지
https://plantae.co/
4. MEAT AVATAR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설립 연도
2020년
지분 구조
태국 100%
브랜드 및 로고
Meat Avatar
2023년 매출액
710만 6674 바트(약 21만 달러)
주요 제품 및 특징
- 제품명: Plant-Based Crispy Pork
- 가격: 130 바트
- 중량: 200g
- 제품 설명: 곡물, 야채, 콩, 버섯 함유
- 제품명: Plant-Based Minced Pork
- 가격: 130 바트
- 중량: 240g
- 제품 설명: 곡물, 야채, 콩, 버섯 함유
- 제품명: Plant-Based Burger Patties
- 가격: 149 바트
- 중량: 256g
- 제품 설명: 곡물, 야채, 콩, 버섯, 쌀 함유
홈페이지
https://meatavatar.com/
5. MEAT MORE CO., LTD.
본사
태국
설립 연도
2021년
지분 구조
태국 100%
브랜드 및 로고
More Meat
2023년 매출액
-
주요 제품 및 특징
- 제품명: More Meat Minced(100% Plant-Based)
- 가격: 89 바트
- 중량: 200g
- 제품 설명: 대두 단백질이 들어간 식물성 단백질(글루텐 없음, 저나트륨)
홈페이지
https://www.moremeat.asia/
[자료: KOTRA 방콕 무역관 정리]
시사점 및 전망
타이 유니온 그룹 C 팀장은 KOTRA 방콕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태국 소비자들은 ‘맛’과 ‘지속가능성’이라는 두 요소가 모두 만족될 경우 대체 단백질 제품을 빠르게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러한 흐름은 글로벌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마히돌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P 교수는 “현재 태국은 규제 기반을 정비하는 동시에 푸드테크 기업의 진입 장벽을 최소화하려는 균형 전략을 취하고 있다”라며, “표준화 작업이 완료되면 글로벌 기업에도 더욱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태국 내에서는 비건 및 건강 트렌드로 인해 대체 단백질 수요가 증가하고 관련된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명확한 안전 규정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태국 식품의약안정청(FDA)은 식물성 단백질에 대한 표준 확립을 위해서 생산 및 수입과 관련된 여러 국제 규정을 검토하고 있다. 태국 식약청은 2024년 5월 23일~6월 7일 관련 초안에 대한 공개 협의를 진행했다. 초안에는 식물성 함량이 90% 이상인 식물성 육류, 음료 및 우유에 대한 요구 사항, 우수 농산물 관리 기준(GAP) 및 우수 제조 관리 기준(GMP) 준수, 항영양 인자에 대한 통제, 식품 첨가물 및 오염 물질에 대한 지침이 기술됐다. 또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육류 또는 유제품 관련 용어를 금지하고 포장에 동물 이미지를 제한하며, 공인 기관의 인증 로고 표시를 허용할 예정이다.
한편, 태국 소비자들은 건강, 환경,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식물 기반 식품(plant-based food)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장 진입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은 식물성 고기, 대체 유제품, 무첨가 기능성 간식류 등은 현지 시장에서 긍정적 반응을 얻을 수 있는 기존 제품을 현지 트렌드에 맞게 리포지셔닝하거나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는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자료: Krungsri Research, Thailand Board of Investment, Office of Industrial Economics, Ministry of Commerce, Thai Customs, Department of Business,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의 푸드테크와 단백질 시장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오사카 엑스포에서 선보인 미래 기술 트렌드
일본 2025-07-15
-
2
인도, AR·VR 기술로 미래를 설계하다
인도 2025-07-14
-
3
일본 푸드테크, 지속 가능성과 기술 혁신의 교차점
일본 2025-07-17
-
4
프랑스 정부, 원자력 발전 가속화 위한 행보 시작
프랑스 2025-07-16
-
5
중국 상하이 의약품 전시회 '2025 CPHI & PMEC CHINA' 참관기
중국 2025-07-16
-
6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중남미 최대 브라질 게임시장
브라질 2025-07-16
-
1
2025년 태국 데이터 센터 산업 정보
태국 2025-05-30
-
2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3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4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5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6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