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기능·고감성 소비가 이끄는 그리스 뷰티 트렌드
- 트렌드
- 그리스
- 아테네무역관 박혜윤
- 2025-07-14
- 출처 : KOTRA
-
고기능·클린 뷰티로 진화하는 성숙 시장
안정적인 도매 시장, 옴니채널 통한 제품 구매, 양극화된 소비 트렌드가 특징
구조적 전환기를 맞은 그리스 화장품 시장
2025년 그리스 화장품 시장은 팬데믹 이후 회복세를 넘어 구조적 전환기에 진입하고 있다. 기능성, 지속가능성, 멀티채널 유통 전략이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도소매 유통 매출과 색조·기초화장 주요 품목 모두에서 안정적인 성장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그리스 화장품·향수 제조유통협회(Panhellenic Association of Cosmetics and Fragrances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에 따르면, 2023년에는 화장품 시장의 매출은 12.6%의 고성장을 기록한 바 있으나 이는 제품의 평균 가격이 4.5% 인상된 영향이며, 2024년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해 4.5%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관은 2026년까지 시장 성장세를 4~7%로 예견했으며, 이는 단순한 회복을 넘어 제품군 다변화와 유통 전략의 고도화가 수반된 결과로 분석했다.
산업별 매출 동향
Statista에 따르면, 그리스 화장품의 도매 시장은 2012년 약 5억9000만 달러 규모에서 2024년 9억6690만 달러로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9억6740만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으로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5년 현재까지 도매시장은 완만한 성장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이는 유통 인프라의 안정성과 글로벌 브랜드의 본격 진입 덕분으로 분석된다.
<2012~2025년 그리스 화장품 및 개인위생용품 도매판매 산업수익>
(단위: US$ 백만)
* 주: 2025년은 예측치
[자료: Statista]
반면, 그리스 화장품의 소매 유통 시장은 2025년 16억3700만 달러로, 팬데믹 종식 이후 6.5%가량 성장할 전망인데, 이는 약국, 슈퍼마켓, 전문 매장 및 온라인 채널의 복합적인 성장에 힘입은 결과다. 특히 팬데믹 이후 구매 경로의 다양화와 함께 소비자들이 다양한 가격대와 브랜드, 유통 방식을 혼합해 선택하는 경향이 강화됐다.
<2012~2025년 그리스 화장품 및 개인위생용품 소매판매 산업수익>
(단위: US$ 백만)
* 주: 2025년은 예측치
[자료: Statista]
이러한 매출 추세는 한국 기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도매 시장의 안정성은 새로운 해외 브랜드가 물류 파트너나 총판과의 협업을 구축하기 용이한 구조임을 의미한다. 둘째, 소비자의 구매 방식이 전통적인 채널 일변도에서 벗어나 옴니채널화되면서, 단일 진입 방식보다는 오프라인 약국·전문매장 진입과 병행한 온라인 채널 운영이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셋째, 유통 채널이 세분화되면서 고가·중가·저가 제품이 병존하는 ’양극화된 구매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는 프리미엄 라인업과 합리적 가격대의 ’세컨드 브랜드’를 동시 보유한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색조 화장품 시장 성장률 두드러져...팬데믹 반사효과, SNS 바이럴 유행 등 요인
2024년 그리스 색조 화장품 시장은 전년 대비 12% 성장하며 약 1억7600만 유로 규모를 기록했다.
<그리스 색조화장 시장 규모>
(단위: 백만 유로)
[자료: Euromonitor]
립 메이크업 부문은 16%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블러셔 및 하이라이터(+10.8%), 아이섀도(+6.8%) 등도 강세를 나타냈다.
<2024년 그리스 품목별 색조화장 시장 수익>
(단위: 백만 유로)
[자료: Euromonitor]
이 같은 흐름은 팬데믹 기간 억눌렸던 외모 관리 수요와 트렌드 복귀, SNS 기반 유행 등이 맞물려 촉진됐다. 특히 입술에 광택을 불어넣고 빛이 나게 하는 글로시 립(Glossy Lip) 트렌드의 부활은 시장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었으며, Maybelline의 ‘Lifter Gloss’, NYX의 ‘Duck Plump’ 및 ‘Fat Oil Slick Click’, YSL Beauty의 ‘Love Shine’이 소비자 호응을 이끌었다. 중저가 시장에서는 Essence의 ‘Shine Shine Shine’, KIKO의 ‘3D Hydra Lip Gloss’ 등이 강세를 보였다.
베이스 메이크업 부문에서는 피부 장벽 강화, 보습, SPF 기능이 포함된 하이브리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색조와 스킨케어 경계의 융합을 보여준다. MAC, NYX, L'Oréal Paris, Catrice 등은 다양한 세분화된 기능성 컨실러와 파운데이션을 출시하고 있으며, ‘Minimalist Beauty’ 트렌드에 맞춘 멀티 기능 제품의 인기가 상승 중이다. 한편, 네일 부문은 팬데믹 이후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는 전문 네일숍 수요 회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L’Oréal Hellas SA가 제품 판매율을 선도하는 가운데 NYX, Maybelline, Kiko Milano, Essence, Catrice 등의 브랜드가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밀라노에 기반을 둔 KIKO는 2024년 30% 이상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합리적 가격의 트렌디 브랜드’라는 포지셔닝으로 성공을 거뒀다. 한편 NYX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 마케팅에 성공하면서 브랜드 인지도를 크게 높였다.
색조 화장품의 향후 성장은 립 메이크업과 블러셔 중심의 트렌디 제품군, 기능성 메이크업,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멀티유즈 제품, 그리고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듀프 제품(Dupe Product)’ 확대에 달려 있다. 소비자는 프리미엄 브랜드 제품과 저가 실속 브랜드를 혼합해 사용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으며, 이는 대비 기능이 중요한 ‘가성비 제품’의 포트폴리오 구축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같은 기관에 따르면 2024년 기초화장품 시장도 7% 성장하며 3억2000만 유로 규모에 도달했다.
<2010~2029년 그리스 기초화장품 시장 수익>
(단위: 백만 유로)
[자료: Euromonitor]
2024년 기준, 얼굴 관리(페이셜 케어)는 2억7600만 유로 규모로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안티에이징 세럼, 아이크림, 마스크, 토너 등 고기능 세분 품목이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 특히 피부과용 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자연 유래 성분이 강조되는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2024년 그리스 품목별 기초화장품 시장 수익>
(단위: 백만 유로)
[자료: Euromonitor]
브랜드로는 L’Oréal의 La Roche-Posay, CeraVe, Caudalie 등이 약국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우리 브랜드인 La Vie en Rose도 3500만 유로의 매출을 기록하며 약국 외 채널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수입은 여전히 유럽 중심, 서유럽 국가가 상위권 차지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통계를 기준으로, 그리스의 전 세계 화장품 수입액은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약 10억3000만 유로, 3년간 총합은 약 27억1000만 유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프랑스는 압도적인 1위 수출국으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총 6억1000만 유로 규모를 수출하며 전체의 약 22.7%를 차지했다. 프랑스 외에도 아일랜드(4억1000만 유로), 독일(2억9000만 유로), 스페인(2억8000만 유로), 이탈리아(2억5000만 유로) 등 서유럽 국가들이 상위권을 차지하며, 유럽 중심의 수입 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국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총 1564만 유로를 수출하며 전체 시장의 약 0.6% 비중에 그쳤다. 특히 2024년에는 전년 대비 약 58%의 증가세를 기록하며 성장을 이어갔지만, 여전히 전체 시장 내 존재감은 낮은 편이다. 주요 경쟁국인 중국은 같은 기간 동안 총 5567만 유로를 수출해 한국 대비 3.5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도 2228만 유로로 안정적인 수출 흐름을 이어갔다.
<그리스 HS 코드 33(에센셜 오일, 향수, 화장품 위생용품 등) 수입동향>
(단위: US$ 천)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총합계
-
전 세계
759,464
921,105
1,031,313
2,711,882
1
프랑스
169,200
208,341
237,296
614,837
2
아일랜드
107,815
148,576
157,577
413,968
3
독일
89,556
92,254
107,976
289,785
4
스페인
70,573
104,822
106,896
282,290
5
이탈리아
71,182
82,994
98,477
252,653
6
네덜란드
32,254
38,172
46,599
117,024
7
폴란드
33,837
38,556
41,862
114,256
8
영국
18,239
20,976
31,068
70,283
9
불가리아
22,441
21,417
23,369
67,227
10
중국
14,739
18,657
22,284
55,679
19
한국
3,586
4,668
7,396
15,64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30.)]
이러한 통계수치를 통해 그리스 시장 내에서 한국 화장품은 니치시장으로, 그 규모는 작지만 고기능 제품, 클린 뷰티, 피부과 등에 납품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인근 유럽지역이나 중국 등이 가격 경쟁력이나 유통 경쟁력에서 다소 우위가 있으므로, 꾸준한 고급화 전략을 통해 시장에 침투할 필요가 있다.
유통 채널별 구조와 변화
색조화장품의 주요 유통 채널로는 슈퍼마켓과 드럭스토어 등이 있는데, 슈퍼마켓이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의 주요 채널로 부상하고 있다. 한편 드럭스토어 및 뷰티 전문 매장(Sephora, Galerie de Beauté 등) 또한 브랜드 입점 확대에 따라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사용자 경험과 추천 알고리즘 개선이 이뤄지고 있으나, 여전히 직접 테스트하고 구매하는 소비자의 비율이 높아 급격한 전환은 어려운 구조다.
한편, 기초화장품은 약국이 주요 유통채널이나, 전자상거래 및 뷰티 전문 매장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약국은 신뢰성과 전문가 상담이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여전히 주요 유통망으로 기능하고 있으나, 온라인 매장의 가격 경쟁력과 빠른 배송, 세트 구성 등도 강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아마존과 비슷하게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는 대형 유통망인 Skroutz와 같은 유통망은, 2024년 약 35~40% 성장률을 기록하며 스킨케어 유통 구조에 영향을 미쳤다.
오프라인 매장을 보유한 약국은 오히려 디지털화와 병행해 오프라인 할인 프로모션을 강화하며 가격 차 축소에 성공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결과로 이어졌다. 뷰티 전문 매장은 색조 중심이지만, 피부과용 브랜드가 입점하면서 점차 스킨케어 비중을 확대하는 양상이다.
시사점
그리스 화장품 시장은 제품 기능, 가격 경쟁력, 유통 다각화를 아우르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는 정교한 시장으로 거듭나고 있다. 한국 기업이 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기능성 중심의 브랜드 포지셔닝이 효과적이다. 특히 피부과용을 겨냥한 클린 뷰티, 자연유래 성분을 강조하는 제품군은 고성장 세그먼트에 해당하며, 그리스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좋은 영역이다. 둘째, 립 메이크업, 세럼, 안티에이징 등 고성장 품목 중심의 라인업 확대가 바람직하다. 셋째, 유통 전략 측면에서는 현지 약국 체인 또는 전문 뷰티 매장 입점과 병행해, 가격 경쟁력이 확보된 자사몰 또는 현지 쇼핑몰(Skroutz 등) 연동 온라인 채널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한국산(K-beauty)에 대한 인지도는 여전히 높으며 Cosrx, Beauty of Joseon 등 브랜드가 빠르게 자리 잡고 있는 만큼, K-뷰티 특유의 고효능·미니멀·가성비 콘셉트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지브랜드 Korress의 대변인 G씨는 KOTRA 아테네 무역관과의 유선 인터뷰에서 그리스 소비자들이 성분과 효능에 더욱 민감해진 지금, 철저한 제품 정보 제공과 투명한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의 신뢰를 좌우한다고 언급하며, 브랜드 신뢰를 구축해야 그리스 시장 진출 장벽을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K-뷰티만의 순한 성분을 강조한 기능과 가격경쟁력을 통해, 독자적인 포지셔닝으로 그리스 뷰티 시장에 진출할 때다.
자료: Statista, Euromonitor International (Colour Cosmetics in Greece, Skin Care in Greece, 2025), Cibum.gr, Naftemporiki.gr, KOTRA 아테네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고기능·고감성 소비가 이끄는 그리스 뷰티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전문매장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파나마의 K-뷰티 열풍
파나마 2025-07-14
-
2
2025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스리랑카 비료 수입 시장
스리랑카 2025-07-14
-
3
독일 스마트시티 시장,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은?
독일 2025-07-14
-
4
인도 화장품 시장 동향
인도 2025-07-07
-
5
뷰티 웹사이트에 K-뷰티 메뉴 등장, 모로코 화장품 시장 트렌드
모로코 2025-06-24
-
6
"더 건강하게, 더 힘차게"... 의료기기 국산화 의지와 함께 나타나는 인도 임플란트 시장 지각 변동
인도 2025-07-14
-
1
2025년 그리스 의료기기 산업정보
그리스 2025-02-03
-
2
2024년 그리스 조선산업 정보
그리스 2024-10-14
-
3
2023년 그리스 승용차 산업 정보
그리스 2023-03-22
-
4
2021년 ICT산업 정보
그리스 2021-12-30
-
5
2021년 그리스 의료기기산업 정보
그리스 2021-12-30
-
6
2021년 그리스 관광산업 정보
그리스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