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 한-산둥성 미래산업 협력 플라자 개최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5-07-09
  • 출처 : KOTRA

국내기업 42개 사, 현지 바이어 139개 사, 한중 정부 기관 관계자 등 참가

포럼 및 상담회를 통해 의료·바이오, 친환경, 서비스 등 한중 협력 유망분야 비즈니스 기회 모색

2025년 6월 19일 중국 칭다오에서 KOTRA와 산둥성 CCPIT(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가 공동으로 ‘한-산둥성 미래산업 협력 플라자’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022년 KOTRA와 산둥성 정부 간 양국 산업협력 및 비즈니스 교류 확대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마련됐다.

 

올해는 한-중 협력 유망분야로 의료·바이오, 친환경, 서비스 분야를 선정해 ▲한-중 기업 간 1:1 비즈니스 상담회, ▲산업협력 포럼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 관련 국내기업 42개 사, 현지 바이어 139개 사, 한-중 정부 기관 관계자 40여 명 등이 참석해 한-중 협력 유망분야에서의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한-산둥성 메디컬 코리아’와 ‘한-중 조선해양 파트너링 상담회’ 등 산업별 전문 상담회와 연계해 행사의 전문성과 깊이를 더했다.

 

<2025 한-산둥성 미래산업 협력 플라자>

[자료: KOTRA 칭다오무역관]

 

<행사 개요>

행사명

국문

2025 한-산둥성 미래산업 협력 플라자

중문

2025 山东-韩国产业合作交流会

일자

2025년 6월 19일(목)

장소

중국 칭다오 인터콘티넨탈 호텔 3층 행사장

주최

KOTRA(칭다오무역관), 산둥성 CCPIT

규모

국내기업 42개 사, 현지 바이어 139개 사 등

분야

의료·바이오, 친환경, 서비스 등 (한-중 협력 유망분야)

내용

▲1:1 비즈니스 상담회 (6.19., 9:30~18:00)

▲한-중 산업협력 포럼 (6.19., 14:00~15:50)

▲칭다오 자유무역시험구 등 시찰 (6.20., 10:00~11:30)

[자료: KOTRA 칭다오무역관]

 

산업협력 포럼을 통해 한-중 협력 유망분야 협력방안 모색

 

산업협력 포럼은 6월 19일 오후 한-중 기업, 정부 기관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경제전문가가 양국 협력 유망분야와 협력방안을 소개했다. 또한 협력 유망분야 중 친환경 및 서비스 분야 전문가가 분야별 협력사례를 공유했다.

 

산둥성 CCPIT의 위옌춘(于艳春) 국제연락부 부장은 ‘한-산둥성 향후 산업협력 방안’ 발표를 통해 산둥성은 ▲신재생에너지 설치 용량이 1억2500만 킬로와트에 달하며, ▲정보기술 분야의 2025년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10% 이상 성장한 2조20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또한 이러한 산업환경 하에 한국과 산둥성은 ▲친환경·저탄소, ▲차세대 정보기술, ▲의료·요양건강 분야에서 협력 확대가 필요하며, 협력 확대를 위해 양국이 공동으로 무역·물류 인프라 업그레이드, 전문 인재 육성 및 교류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서 산업연구원 북경지 김재덕 지원장은 ‘한-중 협력 유망분야 및 한-산둥성 협력방안’ 발표를 통해 “한국의 ‘新성장 4.0 전략’과 중국의 ‘미래산업 혁신발전 실시의견(未来产业创新发展实施意见)’ 세부 내용에서 많은 공통점이 있다”고 분석하며, “모빌리티, 정보통신, 디지털 제조 등 경쟁 분야에서는 전략적 협업이 필요하고, 탄소중립, 신에너지, 바이오헬스 등에서는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라고 언급했다. 세부적인 협력방안으로 ▲디지털 제조 분야에서 부품 공급망 강화와 기술교류 프로그램 확대,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국제규제 공동대응, 제3국 공동진출 협력 등을 제안했다.

 

이어서 친환경 분야에서는 ▲산둥성 생태환경규획연구원 환경보호산업발전연구소 우퉁(吴彤) 소장이 산둥성 친환경산업 수요 및 관련 정책, 국제교류협력 플랫폼을 소개했으며, ▲금문법률사무소 탄소중립 및 ESG연구소 한승훈 부주임이 한-중 순환경제 정책 비교 및 폐배터리·폐플라스틱 재활용분야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분야에서는 ▲산둥성 교육청 구이리(桂俐) 부처장이 산둥성의 기초·직업·고등 교육분야별 현황 및 정부 차원의 상호 교류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청도홍문국제문화미디어 조성호 대표가 그간의 한-중 문화콘텐츠 교류 현황 및 향후 협력방향을 제시했다.

 

<포럼 현장 사진>

산둥성 CCPIT 위옌춘(于艳春) 부장 발표 장면

산업연구원 북경지원 김재덕 지원장 발표 장면

[자료: KOTRA 칭다오무역관 촬영]

 

한-중 기업 간 1:1 상담을 통한 비즈니스 기회 발굴

 

6월 19일 전일 개최한 상담회에 한국 측은 의료·바이오, 친환경, 서비스 분야의 우수한 제품∙서비스를 보유한 42개 사가 참석했으며, 중국 측은 친환경 조선해양 기자재, 대학 부속병원, 대형 미디어 플랫폼 등 분야의 현지에서 규모가 있거나 경쟁력 있는 기업 139개 사가 참가했다. 상담을 통해 한-중 기업 간 제품∙서비스 에이전트 계약, 무역 거래, 기술협력 등 다양한 비즈니스 방안을 상호 제시하고, 협의를 진행했다.

 

현장에서는 미디어 콘텐츠 국내기업인 N 사와 어린이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제작 현지기업인 Q 사가 애니메이션 공동 제작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또한 친환경 선박 기자재 국내기업인 I 사와 선박 수리 전문 현지기업인 J 사도 선박용 용접기 납품 관련 MOU를 체결해 가시적인 성과가 현장에서 나타났다.

 

상담회에 참석한 스포츠 영양 보충식품 국내기업인 P 사는 현지의 여러 건강기능식품 유통 기업과의 상담을 통해 현지 마케팅 전략을 다각도로 고민해 볼 수 있었던 기회라고 밝혔다. 특히 현지기업에서 크로스보더(콰징) 방식을 활용하고, 인플루언서 마케팅 및 스포츠 이벤트 후원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방법을 제안해 적극 검토해 볼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한 20년간 현지 비료 유통 분야에서 입지를 다져온 Y 사는 이번 상담회를 통해 한국산 친환경 비료에 대한 협력 의지를 명확히 밝혔다. Y 사 관계자는 “중국 농가들이 수입 비료를 우선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한국산 비료의 품질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전했다. 이번 상담회를 통해 네트워킹을 구축한 친환경 유기 비료 기업인 C 사의 제품을 구매해 실증 테스트를 진행해 보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내년부터는 대량 수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담회 현장 사진>

[자료: KOTRA 칭다오무역관 촬영]

 

향후 협력 방향 및 시사점

 

중국 산둥성은 광둥성, 장쑤성에 이어 GDP 규모 3위 지역으로, 1억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경제 중심지역이다. 산둥성 정부는 2024년부터 10대 중점 산업 분야를 지정해 산업 클러스터 구축 및 선도기업 육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10대 중점산업 중 의료·바이오, 친환경, 서비스 분야가 향후 우리기업의 진출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둥성의 의료·바이오 산업을 살펴보면, 산둥성은 인구∙경제 규모 면에서 의료산업이 발달하기 적합한 조건을 보유해 지난시(济南)에 중국 최대 규모의 의료복합단지를 구축했다. 또한 웨이가오그룹(威高集团), 지웨이의료(吉威医疗) 등 의료기기 분야 대기업들이 다수 소재한 웨이하이시(威海)는 의료기기 산업 중점 육성을 위해 해외 기업과의 공동 연구개발, 응용분야 협력 등을 적극 도모하고 있다.

 

한편, 산둥성의 친환경 산업은 성내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항만 등 인프라를 활용해 칭다오시(青岛)를 중심으로 ‘중국의 수소밸리(中国氢谷)’, ‘동방의 수소에너지섬(东方氢岛)’을 목표로 ‘2020-2030 수소에너지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을 추진 중이다. 산둥성 짜오좡시(枣庄)는 룽뎬화신(龙电华鑫), 신왕다(欣旺达) 등 짜오좡시에 소재한 리튬이온 배터리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도시’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산둥성의 서비스 산업은 칭다오시에 블록버스터 영화 촬영기지인 ‘동방잉두(东方影都)’가 소재하고 있으며, 더저우시(德州)는 스포츠 산업 육성을 위해 현지기업과 해외기업 간 기술협력, 국제 표준화 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료: 산둥성 CCPIT, 연사 발표자료, KOTRA 칭다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 한-산둥성 미래산업 협력 플라자 개최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