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최대 폼 박람회, ‘폼 엑스포 2025’ 참관기
- 현장·인터뷰
- 미국
- 디트로이트무역관 박시현
- 2025-07-09
- 출처 : KOTRA
-
지속가능성, 여전히 폼 산업의 핵심 키워드
행사 개요
미국 최대 폼 박람회인 'Foam Expo North America'가 ‘Adhesives & Bonding Expo’와 함께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 미시간주 노바이에서 개최됐다. 엑스포장에는 약 400개 이 상의 업체와 약 5400명 이상의 업계 및 기업 관계자, 연구원, 마케터 등 다양한 인원을 비롯해 폼 산업 전반의 공급망이 한자리에 모여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고, 네트워크를 통해 폼 제조 및 응용 분야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교류하는 장소였다. 3일간 무료로 진행된 콘퍼런스에서는 20개 이상의 강의 세션과 포럼이 제공돼 연구 내용과 산업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2017년부터 매년 미시간주에서 개최되는 폼 엑스포는 영국 콘퍼런스 및 출판 전문업체인 Informa Markets와 영국의 박람회 전문업체 Smarter Shows가 공동 기획하고 있다.
<Foam Expo North America 개요> 전시회명
Foam Expo North America
기간
2025년 6월 24일~26일
장소
Suburban Collection Showplace, Novi, Michigan, USA
전시분야
자동차, 항공우주, 포장, 건설, 스포츠, 의료, 가구 산업
참가업체 수
약 400개사 이상
참관객 수
약 5400명 이상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폼 엑스포 콘퍼런스 현장
이번 폼 엑스포 콘퍼런스에서는 전년과 달리 Industry Stage와 Solutions Stage라는 두 개의 전문 콘퍼런스 무대가 운영돼 각기 다른 주제와 관점에서 산업 동향과 기술 혁신을 다뤘다. Industry Stage는 시장 동향, 공급망, 규제, 지속가능성 등 거시적 산업 이슈를 조망하는 무대였으며, Solutions Stage는 실질적인 기술 적용 사례와 신제품 솔루션을 중심으로 구성된 무대였다. 특히 Industry Stage는 각 산업군의 주요 전문가들이 3일 연속 순서로 무대에 올라, 시장 트렌드, 공급망 리스크, 원재료 비용 압박, 지속가능성 전략 등 업계와 관련된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개막 당일에는Schaeffler의 Angela Cook(에너지·환경·안전 부문 감사 및 시스템 책임자)을 비롯해, Natural Polymers의 Ernest Wysong(선임 연구개발 책임자), Rubberlite의 Jeffrey Goad(수석 부사장), MCPU Polymer Engineering의 Thomas Garrett(대표)이 참석해 산업 내 주요 이슈와 지속가능성 전략에 대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이날 Schaeffler의Angela Cook은 지속가능성과 중소기업의 환경 규제 대응에 대해 현실적인 관점을 제시했다. “PFAS등 환경 규제에 대한 보고 기준과 의무가 명확하지 않으면 현장에서는 혼란이 커지며, 특히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보고 의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라며 지적하는 한편, “그래도 환경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은 확실히 진보했고, 오늘날 세계는 훨씬 더 깨끗하고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Cook은 또한 지속가능성의 핵심 가치 ‘3P’ 즉 People(사람), Planet(지구), Profit(이윤)이라는 세 가지 축을 언급하며, 지속가능 경영은 환경 보호뿐 아니라 인적 자원의 가치와 수익성 확보 간 균형 속에서 실현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 관계자들의 관점과 질문이 오가며, 지속가능성에 대한 실질적 논의로 마무리됐다.
<오픈 콘퍼런스 모습>
[자료: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촬영]
현장 스케치
이번 연도 전시회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특히 폼 소재 분야에서는 열 관리, 소음 제어, 진동 완화, 경량화 등의 기능성을 갖춘 첨단 폼 소재 들이 다수 전시되며, 자동차·항공·패킹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현장에서는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전기차 및 배터리 보호용 폼 소재, 리사이클링 가능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열차단성, 압축 회복성, 정전기 방지 기능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가 주목을 받았다.
전시회에 참가한 Rogers Corporation은 전기차, 항공, 전자 산업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발포소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배터리 팩 보호, 열차단, 진동 흡수, 가스켓 및 씰링 등 다양한 산업용에서 사용되는PORON 폴리우레탄 폼, BISCO 실리콘 소재 등을 주요 제품군으로 선보였다. 관계자는 “PORON 제품군은 장기 내구성과 저가스 방출(low-outgassing) 특성을 갖추어 쿠셔닝 및 진동 제어 솔루션으로 EV 배터리 모듈 및 전자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2025 폼&접착제 박람회 전시회 부스 사진>
[자료: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촬영]
전시장에서 만난 한국 기업
400여 개의 전시 부스 중에는 한국기업들도 몇몇 있었다. 국내 유일 폴리우레탄 촉매 제조사인 피유란, 플라스틱 가공기계 자동제어반 제조업 파티클 폼텍, 폼 가공장비 전문업체인 공영기계 등이 현장에서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소개했다. 피유란 담당자는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다양한 종류의 폴리우레탄에 적용 가능한 이온 리퀴드 촉매 기술을 바탕으로,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파티클 폼텍은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관련 원자재(비드 폼) 공급과 함께, 이를 바로 생산할 수 있는 자체 장비 시설을 선보였다. 기존 주요 공급업체 대비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미 러시아와 인도 등 해외 시장에 수출을 진행 중이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폼 산업에서 자신들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첨단 기술과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을 알릴 수 있는 기회였다. 폼 산업에서 몇몇 글로벌 강자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도 다양한 전략과 혁신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시장에서 만난 한국 기업: 파티클폼텍 부스>
[자료: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촬영]
시사점
폼 엑스포는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인 미시간에서 개최되지만, 단순히 자동차 산업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항공, 의료 등 다양한 산업군을 아우르며 기술 혁신과 산업 간 협업을 촉진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폼과 접착 기술은 복잡한 과제를 해결하고 진보를 이끄는 강력한 솔루 션이며, 이를 중심으로 한 산업 간 협력과 성장 기회 창출이 본 행사의 가장 큰 차별점”이라는 행사 주최 측의 설명처럼, 이번 전시는 각 산업의 기술 수요를 연결하고 미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장이 됐다.
특히, 북미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우리 기업들은 단순한 소재 제공을 넘어 지속가능성과 기능성, 그리고 산업 맞춤형 솔루션 제공이라는 관점에서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장 중심의 트렌드 분석과 기술 적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다.
자료: Foam Expo North America, Rogers Corporation, Pyuran, Particle Foamtec,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최대 폼 박람회, ‘폼 엑스포 2025’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 한-산둥성 미래산업 협력 플라자 개최기
중국 2025-07-09
-
2
요르단 국제 기계전(JIMEX) 및 태양광 전시회(SONEX) 참관기
요르단 2025-07-09
-
3
[기고] 한국 AI 혁신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전략
미국 2025-07-09
-
4
스타트업으로 알아보는 인도네시아 디지털 전환
인도네시아 2025-07-08
-
5
2025 한-인니 EV e모빌리티 비즈니스 플라자 개최기
인도네시아 2025-07-08
-
6
저탄소 전환 가속하는 헝가리 전력시장, 한국 전력기자재 진출 성공의 교두보 될까
헝가리 2025-07-09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