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고] 한국 AI 혁신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전략
- 외부전문가 기고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박예지
- 2025-07-09
- 출처 : KOTRA
-
한국 AI 혁신기업과 플랫폼 기업과의 파트너십 전략
현지 협력 기회 및 초기 브랜딩 또한 진출에 필수적
한경석 부사장, AIBIZ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의 변화는 기업들에게는 커다란 도전으로 다가온다. 최근 모든 기업이 공통적으로 마주한 새로운 변화의 물결은 전 세계 산업 패러다임을 재편하는 인공지능(AI)이라 할 수 있다. 이에 AI 분야의 선도 국가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그 중에서도 혁신의 허브인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최근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전략을 분석해 보았다.
AI 활용의 근간이 되는 반도체 분야만을 놓고 보아도 이러한 흐름은 명확하다.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NVIDIA, AMD, Supermicro 그리고 삼성전자 및 SK 하이닉스 등은 AI 기반 칩셋, GPU 개선 및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하여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NVIDIA는 Supermicro와 협력하여 차세대 AI CPU 개발 및 초고효율 AI 서버 설계를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는 AI용 HBM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현장에서는 과연 내년에는 어느 기업이 선두로 올라설 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자료: Unsplash]
한국의 AI 기술 분야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반도체,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반 솔루션을 개발해 오고 있다. 그러나 규제 환경, 글로벌 진출 경험 부족 등의 이유로 우리 기업이 보유한 기술력에 비해 성공적으로 해외에 진출한 성과는 아직까지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최근의 보호 무역주의 대두와 같은 글로벌 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실리콘밸리를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의 AI 관련 혁신 기업들이 늘고 있다.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은 아래와 같은 혜택을 고려하여 실리콘밸리에서 미국 진출을 시작하고는 한다.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이점은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로의 진입이다. 반도체, 품질 예측 분야에서 축적된 공정 데이터를 보유한 제조업 기반의 AI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이 지역 내 다른 기업이 보유하지 못한 제조업 분야의 경험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벤처캐피탈과 같은 글로벌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수 있다.
또한 산업 전방위적으로 AI 기반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 시장에서 새로운 협력 기회를 탐색할 수 있다. 현지 기업들은 AI 사용해 기업 운영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인건비를 절감해 결과적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하고 있다. 현지 기업의 니즈에 부합하는 AI 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은 단기적으로는 솔루션 판매, 장기적으로는 상호 보완적인 파트너십 구축이 가능하다.
[자료: Mage AI]
물론 이를 위하여 우리 기업도 현지 시장이 요구하는 바에 알맞은 접근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필자는 한국 AI 기업과 미국 시장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언한다.
첫째, 미국 내 중견 제조사 또는 플랫폼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초기 시장 진입의 장벽을 낮추어 진출 기반을 마련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Superb AI를 들 수 있다. 데이터 라벨링 및 AI 학습 플랫폼을 보유한 해당 기업은 AWS와 연계해 실리콘밸리 내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플랫폼 자체의 확장력을 통하여 미국 시장 고객층을 확보하고 초기 사용자 신뢰도를 구축한 좋은 케이스이다.
둘째, 정부 및 민간 협력 플랫폼을 활용한다. KOTRA와 같은 정부기관 및 한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현지 접점을 강화한다. 샌프란시스코, 산호세 등지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관련 전시회에 참여해 기술을 홍보하고, 바이어 및 투자가와의 미팅을 통해 시장에 정착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 IT지원센터에 입주해 있는 에이아이비즈가 이러한 전략으로 성공한 사례 기업으로, 현지에서 AMD와 활발한 협력을 통해 미국 시장에 자리잡았다.
셋째, 글로벌 브랜딩을 고려한 UI/UX, 영문 홈페이지, PR 전략을 수립해 미국 시장에 맞는 마케팅을 한다. 많은 기업들이 실제 현지 시장 진출 이후 마케팅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 진출 초기가 가장 많은 브랜드 마케팅이 필요한 시점으로, 이에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이전 기업과 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는 모두 현지화되어 준비가 완료돼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 AI 혁신 기업의 미국 진출은 단순한 시장의 확대를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테크 기업으로의 진화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우리 기업들도 현지의 Give and Take 문화에 기반한 기업 간 기술 혁신, 경제적 이익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 해당 원고는 외부 전문가가 작성한 정보로 KOTRA 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기고] 한국 AI 혁신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전략)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스타트업으로 알아보는 인도네시아 디지털 전환
인도네시아 2025-07-08
-
2
15년 만의 신규 대형 원전 프로젝트 발주? 성큼 다가온, 미 원자력 르네상스
미국 2025-07-08
-
3
저탄소 전환 가속하는 헝가리 전력시장, 한국 전력기자재 진출 성공의 교두보 될까
헝가리 2025-07-09
-
4
2025 한-인니 EV e모빌리티 비즈니스 플라자 개최기
인도네시아 2025-07-08
-
5
[기고] 호주 2025–26 회계연도에 적용될 주요 세금 제도 변경 사항
호주 2025-07-08
-
6
요르단 국제 기계전(JIMEX) 및 태양광 전시회(SONEX) 참관기
요르단 2025-07-09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