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알제리 POS 프린터 시장동향
  • 상품DB
  • 알제리
  • 알제무역관 장명철
  • 2025-07-08
  • 출처 : KOTRA

전자결제로 서서히 넘어가고 있는 알제리 결제 시장

POS 프린터라는 생소한 시장에서 기회 물색

상품명 및 HS 코드

HS CODE

품목

844332

자동자료처리기계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그 밖의 기기(POS 프린터)


<POS 프린터 예시>

[자료: Pixabay]


시장 동향


알제리는 2018년 경제 및 행정 현대화 계획의 일환으로 전략적 디지털 전환을 시작했다. 이 정책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전자결제단말기(EPT; Electronic Payment Terminal)와 POS 프린터의 도입 확대였다. COVID 19 팬데믹으로 인해 많은 소매업체가 디지털 솔루션을 도입하게 됐는데, 특히 레스토랑, 카페, 소매점에서 두드러졌다. 


알제리는 2024년 전국에 6만8140개의 전자결제 단말기를 설치했으며, 전자결제는 550만 건 이상을 기록했다. 금액은 총 3억4500만 달러에 해당한다. 2025년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서 전자결제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국은 결제를 디지털화해 비공식 지하경제를 퇴치하기 위한 국가 전략의 일환으로 2025년 말까지 전자결제 단말기 수를 10만 개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로 일상생활과 밀접한 슈퍼마켓, 레스토랑 등 소매 부문을 우선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알제리에서 POS 프린터를 수입하고 있는 주요 업체는 아래와 같다. 


<알제리 POS 프린터 주요 수입업체>

회사명

로고

 사이트

설명

EUREQUAT ALGERIE

www.eurequat-algerie.com

- 2006년 3월에 설립됐으며, 일본, 미국, 한국 브랜드를 전문으로 취급

(제브라, 후지쯔, 프리메라 등)

ITLAND

www.itland-dz.com

- Smart POS 브랜드의 모델을 포함해 POS 프린터 공급

- 프린터, 바코드 리더기, 관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POS 패키지도 제공

CECI

www.ceci-dz.net

- 1994년에 설립된 IT 및 사무 솔루션 설치 운영 전문회사로 POS 프린터는 중국 브랜드인 XPRINTER를 주로 수입

PRORAM

www.proram.ws

- 2004년에 설립된 컴퓨터, 사무용, 전자 장비 유통 전문회사로 IDIPOS, POSTEK 및 IDIPRO를 주로 수입함

GESTLINE

www.gestline.net

- 2013년에 설립된 POS 솔루션 유통 및 지원 전문회사로, 중국 브랜드 XPRINTER를 수입하고 자사 브랜드인 GESTLINE을 유통하고 있음

[자료: 업체별 홈페이지, KOTRA 알제무역관 정리]


경쟁 동향


2022년부터 알제리 POS 프린터 시장은 국제 운송비용 상승, 현지 통화 평가절하, 전자부품 부족 등의 요인으로 인해 상당한 가격 상승에 직면해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중국 브랜드가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시장에 진출했으며, 이러한 중국 제품은 시장에 따라 리브랜딩되거나 다른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다.


<알제리 시장 내 주요 POS 프린터 브랜드>

브랜드

로고

국가

AURES

프랑스

XPRINTER

중국

ZONERICH

중국

STAR MICRONIX

일본

ZEBRA

미국

INTERMEC

미국

EPSON

일본

FUJITSU

일본

[자료: KOTRA 알제무역관 정리]


수입 동향


<한국의 對알제리 POS 프린터(HS 코드 844332) 수출액 및 증가율>

(단위: US$ 천, %)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5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09

51.9

120

10.5

176

46.5

72

-59.2

112

57.7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국의 對알제리 POS 프린터 수출은 2024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올해(2025년)는 5월 기준 이미 전년도 수출 총액을 상회해 이대로라면 역대 최고액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6월 이후 알제리 관세청에서는 HS 코드별 수입 통계를 공개하지 않고 있는데, 비공개 직전인 2017년과 2018년 기준 알제리의 주요 수입국은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한국, 일본, 미국 등이다. 


유통 구조


알제리의 POS 프린터 유통은 온·오프라인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소매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로는 Jumia DZ(www.jumia.com.dz)가 있으며, Epson 등의 일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자택배송 혹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픽업이 가능하다. B2B 전문 사이트인 All.Biz(https://dz.all.biz)에서 도매거래도 가능하다. 전문 오프라인 판매업체로는 General IT, Daria Computer, Pro-Solution 등이 있다. 


관세 및 인증


GAFTA(범아랍자유무역지대), AFCFTA(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 회원국 및 유럽연합 소속 국가의 對알제리 POS 프린터 수출은 관세가 면제되지만, 한국의 경우 관세가 최대 30%까지 부과될 수 있다. 국내 부가가치세(VAT)는 19%다.


수출을 위해서는 알제리 국가인증기관인 ALGERAC(www.algerac.dz) 혹은 ALGERAC에서 인정하는 국제공인인증기관(TUV, SGS 등)에서 적합성 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를 발급받아야 한다.(강제 인증)


POS 프린터 수입업체 인터뷰(EUREQUAT ALGERIE)


EUREQUAT ALGERIE의 구매담당 매니저 Mr. Kazi Aoual씨는 알제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이미 한국 회사와 거래 경험이 있으며 앞으로 확대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 한국, 미국 브랜드가 좋은 품질로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몇몇 중국 회사가 저렴한 POS 프린터를 시장에 공급하고 있어 다른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떨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알제리 수입 규정이 공급업체, 특히 알제리에서 경험이 없는 한국 수출업체에게 진입장벽이 된다고 설명하며 한국 기업이 알제리에서 POS 프린터를 생산해 볼 것을 권고했다. 이를 통해 세금상의 이점과 유럽 및 아프리카 시장에 대한 접근성(수출 시 관세 면제)이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사점


알제리는 여전히 현금사회다. 매일 지갑에 현금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많은 거래가 현금으로 이뤄진다. 하지만 변화의 바람이 감지되고 있다. 우리에게는 너무나도 익숙한 전자결제 시대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영수증을 손으로 써주는 것에서 프린트로 바뀌고 있는데 POS 프린터에 대한 수요는 여기서 출발한다. 


우리 기업의 제품은 좋은 품질로 알제리 시장에서 호평을 얻고 있지만, 최근 가격 경쟁력을 내세운 중국 브랜드가 시장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더구나 미국, 일본 등 타 국가 브랜드도 시장에 진출한 만큼 향후 알제리의 전자결제 도입이 확대될수록 POS 프린터 시장은 점점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알제리의 전자결제라는 변화의 바람에서 우리 기업은 면밀한 시장 수요, 수입 규정 및 경쟁 브랜드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찾아야 할 것이다.



자료: 한국무역협회, 각 업체 홈페이지, 알제리 현지 언론 및 KOTRA 알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알제리 POS 프린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