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승용차 시장현황
  • 상품DB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5-07-07
  • 출처 : KOTRA

2024년 중국 승용차 시장, 생산·판매 모두 5% 이상 성장

중국 진출 필수 인증 요건: CCC 인증·형식승인·국6 배출기준 모두 충족해야

기본정보 및 시장동향


상품명

HS코드

기본세율

한중 FTA

RCEP

MFN

(최혜국세율)

승용차

8703.24-1110

270%

22.5%

-

15%

[자료: 이루퉁(易路通)]

 

중국에서 한국산 승용차의 경우 -FTA에 따라 일부 자동차 부품에 관세 혜택이 있으며, 완성차에는 MFN 세율(최혜국 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승용차를 세단(轿车다목적차량(MPV)·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세 가지 차종으로 분류하며, 최근에는 SUV의 인기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2024년 중국 주요 차종별 시장 점유율>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3pixel, 세로 426pixel

[자료: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乘用车市场信息联席会)]

참고: 2025년 15월 차종별 시장 점유율은 세단 42.5%, SUV 52.8%, MPV 3.7%(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중국 정부는 자동차 강국 전략(汽车强国战略)’을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들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그 결과 2024년 승용차 생산 2747만7000, 판매 2756만3000(자료: CAAM)로 각각 전년 대비 5.2%, 5.8% 증가했다. 상반기에는 수요가 다소 부진했지만, 하반기 지방정부 소비 인센티브와 금구은십(金九银十)*성수기가 겹치면서 연간 수요를 견인했다.

* 금구은십(金九银十): 1년 중 소비·판매가 가장 활발한 9월과 10월의 전통적 성수기


<중국 승용차 생산량 및 판매량>

(단위: 만 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8pixel, 세로 469pixel

[자료: 중국자동차공업협(CAAM·中国汽车工业协会)]

 

아울러, 내연기관차에서 신에너지차(NEV) 중심 시장으로의 구조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2024년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1286만6000대로, 전체 승용차 시장의 약 40.9%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35.5% 증가했다(자료: CAAM). 이는 중앙정부의 보조금 정책 폐지(补贴退出) 이후에도 구매세 감면(购置税减免), 충전 인프라 확충(充电基础设施建设) 등 각종 지원책이 이어진 결과로 분석된다.

 

수입동향


중국 승용차 수입 시장은 지난 수년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여 왔으며, 2017124만 대에서 202288만 대 수준으로 감소했다. 수입 승용차 시장이 축소된 주요 요인으로는 중국 내 현지 생산 확대, 자국 브랜드 품질 향상, 높은 수입세, ·중 분쟁에 따른 추가 관세 등이 꼽힌다.

 

<중국 승용차(HS코드 8703.24) 수입 동향>

(단위: US$ , %)

연번

국가/지역

2020년

2021

2022

2023

2024

금액

증감률

1

영국

948,539

1,588,268

1,701,104

1,268,728

1,101,402

13.2

2

일본

1,729,661

262,011

1,347,717

937,994

926,859

1.2

3

오스트리아

531,120

935,403

1,399,044

889,962

772,899

13.2

4

이탈리아

198,624

307,890

488,418

319,655

231,207

27.7

5

미국

413,947

514,899

391,255

217,747

230,000

5.6

6

독일

170,967

331,263

452,167

236,752

213,128

10.0

7

슬로바키아

26,089

38,718

76,711

43,955

105,874

140.9

8

한국

9,796

33,435

17,899

20,447

5,729

72.0

9

캐나다

10,836

3,202

15,250

10,919

3,761

65.6

10

슬로베니아

-

-

-

-

191

-

[자료: 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

 

2024년 수입 승용차 시장은 프리미엄 브랜드 중심의 고가 모델이 주요 비중을 차지했으며, 전체 수입 승용차의 약 90% 이상이 고급 브랜드에 집중됐다. BMW·벤츠·렉서스·포르쉐·아우디가 판매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그중 BMW와 벤츠 판매량이 전년 대비 각각 23%, 14% 증가했으며, 아우디 역시 37%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중국 수입 승용차 시장은 중국에서 생산이 어려운 일부 최상위 럭셔리 모델에 집중돼 있으며, 중국 국산화율의 상승과 자국 브랜드의 부상으로 대중적인 수입 승용차의 입지는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경쟁동향


중국 승용차 시장에서는 자국 브랜드의 점유율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20년 중국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38.4%에 불과했으나, 이후 4년 연속 상승해 2024년에는 65.2%까지 확대됐다. 이는 브랜드 고급화, 전기차 경쟁력 강화, 기술 자립도 제고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같은 기간 일본, 독일, 미국, 한국의 주요 자동차 브랜드는 대부분 점유율이 전년 대비 소폭 하락하거나 정체됐으며, 특히 프랑스 브랜드의 점유율은 1% 미만으로 대폭 하락했다.


<중국 승용차 시장 자국 브랜드 점유율>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60pixel, 세로 430pixel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기업별 판매 실적에서도 중국 자국 브랜드의 강세가 두드러진다2024년 중국 자국 브랜드 중 BYD는 425만 대, 체리자동차는 251만5000 대, 지리자동차는 217만7000 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시장 상위권을 유지했다.


반면, 폭스바겐-FAW(一汽大众상하이GM(上海通用) 등 중국-외국 합자기업(中外合资企业)은 판매량이 정체·감소하면서 순위가 하락했다. 해외 브랜드는 중국 정부의 전기차 지원 정책(新能源汽车推广政策)에 상대적으로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면서 경쟁에서 밀리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중국 자국 브랜드 점유율은 65.2%, 독일(14.6%), 일본(11.2%), 미국(6.4%), 한국(1.6%) 등 해외 브랜드 전체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중국 승용차 시장 국가별 판매 점유율>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6pixel, 세로 452pixel

[자료: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中国汽车工业协会)]

 

인증제도


중국 시장에서 승용차 및 주요 부품을 정식으로 유통·판매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인증 절차를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1. 중국강제인증 (CCC,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필수)

 

 법적 근거

     -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 강제성 제품 인증관리 규정(强制性产品认证管理规定)CNCA 시행규정

 ㅇ 적용 대상

     - 완성차 및 브레이크, 램프, 안전벨트, 연료 계통 등 주요 핵심 부품(17개 품목군)

 ㅇ 주요 절차

     - 국가표준(GB)에 따른 제품 시험

     - 제조공장 심사(CoP 포함)

     - 인증서 발급 및 정기 사후 심사

 ㅇ 관할 및 수행 기관

     - 총괄중국합격평정국가위원회(CNCA, 中国合格评定国家认可委员会)

     - 시험·심사: 중국품질인증센터(CQC, 중국자동차제품인증센터(CCAP) 등 지정 기관

 ㅇ 유의 사항

     - 수입 차량 및 부품도 CCC 인증 필수

     - 20241월부터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전장 부품 등 일부 품목이 신규 CCC 대상에 포함됨 (적용 표준: GB/T 34014-2024)

 

2. 차량 형식승인(道路机动车辆生产企业及产品准入) (필수)

 

 ㅇ 법적 근거

     -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工业和信息化部) 「도로용 자동차 생산기업 및 제품 적합성 관리방법 (道路机动车辆生产企业及产品准入管理办法)

 ㅇ 주요 요건

     - CCC 인증 취득 후, 반드시 MIIT의 정기 고시인 자동차기업 및 제품 목록(公告)에 등재돼 차량 등록(번호판 발급) 및 판매 가능

 ㅇ 심사 항목

     - 차량 안전 및 구조 기준

     - 충돌 시험 결과

     - 에너지 소비율

     - 배출가스 기준 충족 여부

 ㅇ 관할 기관: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工业和信息化部)

 

3. 6단계(国六阶段) 배출가스 인증(轻型汽车污染物排放限值及测量方法)(필수)

 

 ㅇ 법적 근거

     - 국가생태환경부(MEE, 生态环境部) 경형자동차 오염물질 배출 한계 및

       측정방법(轻型汽车污染物排放限值及测量方法, 国六阶段)(표준번호: GB 18352.6-2021)

 ㅇ 주요 요건

     - 정식 시험 성적서를 제출하지 못할 경우, 해당 차량은 생산·수입·통관·등록 불가

     - 20237월부터 6-b’ 단계가 전국 의무 시행됨

     - 실도로 주행(RDE) 시험, OBD 시스템 등 강화된 기술 기준 적용

 ㅇ 관할 기관: 국가생태환경부(MEE, 生态环境部)

 


유통구조


기존 중국 승용차 시장은 4S 딜러망(Sales·Spare parts·Service·Survey)을 중심으로 운영됐. 그러나 최근에는 제조사 직영 판매(D2C) 및 온라인 기반 유통 채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는 유통 단계가 줄어들어 가격 투명성, 소비자 접근성, 브랜드 통제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대표적으로 테슬라는 중국 진출 초기부터 직접 매장 운영 및 온라인 주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JD.com 등 주요 플랫폼과 협업을 통해 공식 온라인 예약 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제조사가 가격·재고·고객 응대를 직접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통 비용 절감과 브랜드 관리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들도 이와 유사한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니오(NIO), 샤오펑(Xpeng), 리오토(Li Auto) 등은 전국 주요 도시에 직영 전시장과 서비스센터를 설치하고, 자체 앱을 통해 시승 예약·주문·결제가 가능한 디지털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한편, 제조사가 모든 판매 및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데 따른 고정비 부담과 운영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일부 기업은 에이전시 모델을 병행 도입하고 있다


시사점 및 전망


중국 승용차 시장은 향후 안정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신에너지차(NEV)가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주행거리 증가와 충전 인프라 개선 등 기술 발전이 이어지면서, 전기차의 사용 편의성과 시장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여기에 자율주행 기술과 차량용 통신(V2X) 등 차세대 기술도 승용차에 본격적으로 적용되며 운전 편의성과 안정성이 함께 개선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의 NEV 및 스마트 커넥티드카(智能网联汽车) 정책도 시장 경쟁력 제고와 산업 생태계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중국 자동차 시장에 관심이 있는 우리 기업이라면 중국 내 소비 트렌드, 기술 표준, 정책 방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현지 시장 진출 및 경쟁력 확보 전략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자료: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국가생태환경부(MEE),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 중국합격평정국(CNCA), 중국품질인증센터(CQC), 중국자동차제품인증센터(CCAP), 이루퉁(易路通), KOTRA 광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승용차 시장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