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레 농업 및 광업용 호스 시장동향
- 상품DB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신채현
- 2025-06-20
- 출처 : KOTRA
-
칠레 주요 산업 분야인 농업·광업 중심의 산업용 호스 수요 증가
산업별 수요와 제품의 품질을 고려한 현지 맞춤형 진출 전략 수립 필요
상품명 및 HS 코드
PVC 및 기타 플라스틱 소재의 농업용 및 광업용 호스의 HS 코드는 3917.32다.
시장동향
칠레에서는 플라스틱 호스에 대한 수요가 농업과 광업 등 주요 산업의 성장과 함께 증가하고 있다. 농업 부문에서는 점적 관개(drip irrigation, 작물 뿌리 근처에 물을 천천히 공급하는 방식)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도입을 중심으로 현대화 사업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뛰어난 레이플랫 호스(layflat hose)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레이플랫 호스는 사용 시 평평한 형태로 펼쳐졌다가, 사용하지 않을 시 납작하게 접을 수 있어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물을 일정 압력으로 멀리 보내는 농업용 관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된다.
2024년 기준 칠레 전체 수출의 약 6%를 차지하는 연어 양식 산업은 호스의 주요 수요처로 자리 잡고 있다. 칠레의 로스 라고스(Los Lagos), 아이센(Aysén), 마가야네스(Magallanes) 등 주요 양식 지역에서는 물 공급, 산소 공급, 수질 관리 등 다양한 용도로 호스가 활용되고 있다.
<2024년 칠레 연어 양식업 동향>
항목
내용
국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6%
총 수출량
782,077톤
주요 생산 지역
로스 라고스(Los Lagos), 아이센(Aysén), 마가야네스(Magallanes)
호스의 주요 용도
물 공급, 산소 공급, 수질 관리
[자료: Mundo Acuicola, 2025]
광업 분야에서는 2024년 구리 생산량이 전년 대비 4.9% 증가하며, 5년 연속 이어진 감소세를 끝내고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주요 광산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호스는 구리 및 리튬 광산에서 액체 및 기체 수송, 광물 추출, 배수 작업 등 다양한 공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칠레 정부와 민간 부문은 광업 분야에서 대규모 투자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2032년까지 약 74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광산 공정용 특수 호스를 비롯한 자재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칠레 광업 동향>
항목
내용
전년 대비 구리 생산 증가율
4.9%
2032년 광업 투자 전망
740억 달러
주요 광물
구리, 리튬
호스의 주요 용도
유체(기체 및 액체) 수송, 광물 추출, 배수
[자료: Thomson Reuters, 칠레 투자청(InvestChile), 2025]
또한, 최근 칠레 기업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수요 변화가 확인됐다. 우선, 4~6bar(압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1bar는 대기압 수준이며, 4~6bar는 고압 세척기나 산업용 급수 장비에서 사용되는 강한 수압에 해당함) 수준의 작동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고내압 호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저렴한 수입 제품과의 경쟁으로 인해 여전히 가격 중심의 시장 환경이 이어지고 있으나, 산업 현장처럼 신뢰성과 성능이 중요한 부문에서는 호스의 품질, 내구성, 용도 맞춤형 설계가 더 중요한 구매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나아가, 호스의 용도나 설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색상별 제작, 현지에서 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재고 운영, 그리고 탄소 저감이나 재활용 소재 사용 등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칠레 내 레이플랫 호스의 소비자 판매가 범위>
지름(인치)
길이(m)
가격(CLP)
가격(KRW)
2
100
92,990~112,000
137,625~165,760
3
100
136,490~159,990
201,005~236,785
4
100
175,218~232,640
259,320~344,307
*표 CLP1 = KRW 1.48(2025.5.19.)
[자료: Mercado Libre, Toolmania, Agrosystem, Copeva, 2025]
수입 동향
지난 5년간 칠레의 플라스틱 호스 수입은 등락을 거듭했으며, 2022년에 정점을 기록한 후 2024년에 다시 비슷한 수준을 회복했다. 2024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42% 증가한 3300만 달러에 달했다.
<2020~2025년 플라스틱 호스(HS 코드: 3917류) 수입액>
(단위: US$)
연도
수입액
2020
18,727,576
2021
26,156,844
2022
33,859,889
2023
23,204,604
2024
33,000,614
2025.1Q
3,894,092
[자료: Thomson Reuters, 2025]
교역국별로 살펴보면, 2024년 미국산 호스의 수입 규모는 680만 달러로, 전년의 2배를 웃돌며 최대 공급국으로 부상했다. 이탈리아 또한 2024년에 강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중국산의 수입은 2023년 일시적 하락 이후 수출이 반등하고 있다. 한편, 한국의 경우 최근 2년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22~2024년 플라스틱 호스(HS 코드: 3917류) 주요 수입국 동향>
(단위: US$)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1
미국
4,784,046
3,037,214
6,815,755
2
이탈리아
3,459,571
2,623,193
4,897,675
3
중국
5,186,064
3,184,865
4,393,713
4
페루
3,523,400
2,038,872
3,318,752
5
아르헨티나
3,369,272
3,254,913
2,767,546
12
대한민국
454,778
95,481
91,400
[[자료: Thomson Reuters, 2025]
칠레 호스 시장은 성장 잠재력이 크다. 그러나 배송이 빠르고 유통망이 잘 갖춰진 국가들, 특히 현지 유통 파트너를 보유한 미국, 이탈리아, 중국을 중심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농업, 광업 등 산업 분야야 중심의 도매 시장에서는 제품의 내구성, 압력 저항, 기술적 신뢰성이 주요 구매 요인으로 작용해, 가격보다는 품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일반 소비자 대상의 소매 시장에서는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가성비가 좋은 제품에 대한 수요로 인해 가격 민감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수출 동향
2024년 기준 칠레의 플라스틱 호스 수출은 전년 대비 30% 증가해 약 650만 달러에 달했다.
<2022~2024년 플라스틱 호스(HS 코드: 3917류) 주요 수출국 동향>
(단위: US$)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1
페루
1,020,000
1,080,000
2,100,000
2
볼리비아
800,000
950,000
1,500,000
3
아르헨티나
1,380,000
1,450,000
1,200,000
4
브라질
680,000
820,000
900,000
5
콜롬비아
610,000
710,000
800,000
[[자료: 칠레 관세청(Aduanas), 칠레 외교부 산하 국제경제관계차관실(SUBREI), 칠레 수출진흥청(ProChile)]
2024년 페루는 칠레의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 부상하며 두 배 가까이 증가했고, 볼리비아 역시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칠레산 플라스틱 호스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농업이 주요 산업인 인접 국가들을 중심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쟁 동향
칠레의 호스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프리미엄 제품군과 중저가 제품군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레하우(Rehau, 독일) 등 브랜드를 포함하는 프리미엄 제품군은 주로 광업이나 고부가가치 농업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며, 내구성, 압력 저항력, 연결부위 안정성 등 실사용 환경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갖추고 있다. 중저가 제품군은 이스톱(Eastop), 웨이팡(Weifang) 등 중국 브랜드가 대표적이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과 적절한 수준의 품질을 앞세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선플로우(Sunflow, 미국) 브랜드는 칠레 국영구리공사(Codelco)를 비롯한 주요 광산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CML(칠레 현지 유통업체)은 북부 안토파가스타(Antofagasta) 지역을 중심으로 무상표 중국산 호스를 유통하고 있다. 특히 CML은 공격적인 가격 전략과 지역 기반 유통망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유통 구조
칠레에서 판매되는 호스의 약 90%는 도매 수입업체나 전문 유통업체를 통해 공급되며, 이는 복잡한 기술 요건과 안정적인 자재 수급이 중요한 광업에서의 수요가 크기 때문이다. 광산 현장에서는 고온·고압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높은 내구성과 제품의 지속적인 공급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일반 소매 유통보다 전문 유통망을 통한 거래가 선호된다.
관세 및 인증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한국산 호스는 원산지 증명서만 제출하면 무관세로 수입할 수 있다. 칠레 정부는 호스 제품에 대해 별도의 인증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실제 거래 과정에서는 광산이나 대규모 농업 프로젝트와 같은 산업용 수요처에서 압력 시험 성적서, 상세 사양서, 품질 보증서 등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환경 기준을 중시하는 일부 업체는 탄소 배출 저감과 같은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인증서를 요청하기도 한다.
시사점
칠레 호스 시장은 신기술과 신규 브랜드에 비교적 개방적이나, 소매 부문에서는 여전히 가격이 중요한 요소인 반면, 광업, 양식업, 농업 등 산업 분야에서는 제품의 성능, 내구성, 기술 지원이 더욱 중시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수요 유형에 맞춘 차별화된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 칠레 호스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은 다음과 같은 접근을 검토해볼 수 있다. 먼저, 제품의 기술성 및 신뢰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압 환경을 견디는 내구성이나, 누수 등 손상을 방지하는 연결부위의 안정성을 강조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시험 성적서나 기술 사양 등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유통망 구축 역시 중요할 전망이며, 산업용 프로젝트와 소매 유통시장 양쪽에 진출해 있는 현지 전문 유통업체와의 협력을 모색하는 것이 시장 확장에 효과적일 수 있다. 아울러, 한-칠레 FTA에 따른 무관세 혜택은 가격 경쟁력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초기 시장 진입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자료: 칠레 투자청(InvestChile), 칠레 관세청(Aduanas), 칠레 외교부 산하 국제경제관계차관실(SUBREI), Thomson Reuters, ProChile, Mundo Acuicola, Mercado Libre, Toolmania, Agrosystem, Copeva,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칠레 농업 및 광업용 호스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감속기 시장 동향
중국 2025-06-19
-
2
미국 트랙터 시장 동향
미국 2025-06-19
-
3
캄보디아 소스 및 조미료 시장동향
캄보디아 2025-06-19
-
4
AR HUD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미국 자동차 HUD 시장의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다
미국 2025-06-19
-
5
디지털 전환으로 성장하는 말레이시아 물산업
말레이시아 2025-06-19
-
6
칠레 등유난로 시장동향
칠레 2025-06-20
-
1
2025년 칠레 제약산업 정보
칠레 2025-04-16
-
2
2025년 칠레 그린수소산업 정보
칠레 2025-04-08
-
3
2024년 칠레 에너지 저장산업 정보
칠레 2024-09-26
-
4
2024년 칠레 전력산업 정보
칠레 2024-05-28
-
5
2023년 칠레 그린수소 산업 정보
칠레 2023-12-22
-
6
2021년 칠레 화장품산업 정보
칠레 2022-01-1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