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벨라루스 임플란트 시장동향
- 상품DB
- 벨라루스
- 민스크무역관 장윤성
- 2025-06-16
- 출처 : KOTRA
-
벨라루스 임플란트 시장에서 한국 제품 수요 꾸준, 시장 점유율 1~2위 차지
관계자 방한 초정 교육, 현지 홍보 지속을 통해 네트워크 강화 중이나 경쟁도 점점 치열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임플란트
HS Code: 902129 (인공치아를 제외한 치과용 피팅)
시장규모
STATISTA 분석 자료에 따르면 치과용 수술기구 및 임플란트를 포함한 치과 기자재 시장은 2025년 705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25-2029년 연평균 성장률은 약 7.5%로 예상되며, 2029년에는 시장 규모가 942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전문가들은 벨라루스 국민들의 치아 건강 및 첨단 치과 치료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혁신 치과 기자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시장조사 기관인 Fitch Solution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벨라루스의 치과 시장이 2024~2029년 달러 기준으로 약 6.4% 성장하여 2029년에는 89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벨라루스 치과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 Fitch Solutions]
<2020~2029년 벨라루스 치과 분야별 시장 동향>
(단위: US$ 백만)
2020
2021
2022
2023
2024е
2025f
2026f
2027f
2028f
2029f
치과용 제품
40.7
45.3
57.8
64.8
65.8
67.8
74.6
80.0
85.1
89.8
치과용 드릴
1.6
1.5
1.5
1.5
1.5
1.7
1.9
2.2
2.4
2.6
치과용 유닛체어
0.3
0.4
0.4
0.5
0.5
0.5
0.6
0.7
0.7
0.8
치과용 엑스레이
1.5
1.7
1.8
1.9
2.0
2.2
2.5
2.7
3.0
3.2
치과용 시멘트
9.8
11.8
11.5
11.7
11.9
13.2
15.2
17.0
18.6
20.2
치과용 기구·기자재
10.8
11.7
14.1
15.6
15.8
16.2
17.7
18.8
19.9
20.9
인공치아
0.3
0.3
3.1
3.8
3.7
3.7
3.9
4.1
4.2
4.3
기타 치과용 피팅
16.4
17.9
25.4
29.9
30.3
30.4
32.8
34.5
36.3
37.8
[자료: Fitch Solutions자료 기반으로 민스크무역관 작성]
벨라루스 치과 분야의 경우 다른 분야와 달리 비교적 민간 클리닉 등이 크게 성행하고 있어 다양한 가격대에 다양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치과 진료비는 평균적으로 비싼 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는데, 벨라루스의 진료비가 저렴한 이유는 아직 높지 않은 인건비에 기초하는 것으로 보이며, 의료장비나 치과용 부자재 등은 수입산을 쓰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벨라루스 치과 시장 중 특히 주목할 만한 분야가 임플란트 분야이며 벨라루스 내 현직 치과의사들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에 따라 임플란트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구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가격에 대한 부담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임플란트를 하려는 환자들의 수가 꾸준히 늘고, 병원/관련 기업 간 경쟁이 날로 높아지기 때문에 임플란트 치료 비용 또한 합리적인 수준으로 수렴하고 있는 상황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EU 관광객의 감소가 줄어들었으나 벨라루스에서 외국인의 의료 관광은 수요가 많은 편이며, 외국인에게 가장 인기 있는 분야 중 하나는 치과, 특히 보철 치료로 공립 및 민간 클리닉에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최근 대부분의 고객은 러시아 및 기타 CIS 국가에서 오고 있으며, 과거에는 인접국인 발트 3국, 폴란드 등에서도 많이 방문을 했다.
수입동향, 대한 수입규모
HS 902129에는 임플란트 외에도 브라켓 등의 제품이 포함돼 있으나, 아직 벨라루스에서 브라켓 시장 규모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돼 HS 902129 관련 벨라루스 통계는 주로 임플란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2022년부터 러시아와 벨라루스 통계청이 세부 통계자료를 공개하고 있지 않아 정확한 수치 확인은 어려우나, Global Trade Atlas 통계에서 각 수출국의 對벨라루스 수출 통계를 역으로 확인해 보면 임플란트의 수입 동향은 아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리투아니아는 2024년에 30%의 수입 점유율로 임플란트 제품의 주요 공급국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실제로는 리투아니아를 통해 들어오는 타국의 제품이 다수이다. 그 뒤를 이어 한국이 점유율 28%, 이스라엘이 4%로 수입품을 공급했다. 2025년 1분기 한국으로부터의 직수입이 전체 벨라루스 임플란트 수입의 68%를 차지했으며, 이스라엘, 중국, 스위스 순으로 수입된 것으로 발표됐다.
<벨라루스 의치와 치과용품 기타류 국가별 수입동향(HS코드 902129)>
(단위: US$ 천, %)
순위
2023
2024
2025.1-3
국가
수입액
증감률
국가
수입액
증감률
국가
수입액
증감률
보고 국가 총계
12,919
10.24
보고 국가 총계
16,929
31.04
보고 국가 총계
1,213
△45.56
1
리투아니아
3,244
28.86
리투아니아
5,046
55.55
한국
822
△10.68
2
한국
3,129
7.61
한국
4,817
53.96
이스라엘
198
△7.91
3
이스라엘
1,646
63.78
이스라엘
665
△59.60
중국
110
67.96
4
네덜란드
320
△26.30
중국
387
78.13
스위스
82
-
5
중국
217
177.99
스위스
187
451.92
6
폴란드
154
△70.27
폴란드
156
1.08
7
독일
65
63.31
독일
98
51.54
8
스위스
34
△35.27
이탈리아
7
△39.64
9
튀르키예
14
-
10
미국
14
-
11
이탈리아
11
△53.54
*902129포함 제품류: Dental Fittings; And Parts And Accessories Thereof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
한국으로부터의 직접 수입의 경우, 2019년 한국산 임플란트 수입은 51%의 수입 점유율로 수입국 중 1위를 차지한 이후 2020년 잠시 감소세를 보였지만 한국 임플란트 수출은 매년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4년 수출액은 2019년 대비 거의 두 배 이상 증가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한국 제품은 높은 수입 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황이다.
<2020-2025년 벨라루스의 한국 의치와 치과용품 기타류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1-3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HS코드 902129
1,173
△52.5
2,059
75.4
2,907
41.2
3,129
7.6
4,817
54.0
822
△10.7
HS코드 901849
352
△29.1
790
124.3
684
△13.4
642
△6.1
967
50.7
290
163.5
HS코드 300640
150
17.0
77
△48.9
148
93.3
324
118.3
209
△35.5
52
△44.5
[자료: KITA통계 자료 기반으로 민스크무역관 작성]
경쟁동향
벨라루스의 경우 자국 임플란트 제조 기업이 없기 때문에, 수입시장 규모가 제품의 시장 규모라고 볼 수 있겠다. 과거 벨라루스 임플란트 시장에서는 MIS와 알파바이오 제품이 큰 인기를 끌며, 시장을 양분해서 지배해 왔으며, 벨라루스 임플란트 주요 수입국을 보면, 이스라엘과 스위스가 늘 거의 50:50의 비중을 차지했고, 한국, 스페인, 독일 등은 소규모로 수출이 이뤄져 왔었다.
이렇게 스위스, 이스라엘 제품이 굳건하게 자리를 잡고 있던 벨라루스 임플란트 시장에 변화가 일기 시작한 것은 2017년부터이며, 한국이 처음으로 주요 수입국 순위 5위 안에 진입했다. 게다가, 2018년에는 한국산 임플란트의 시장 점유율이 30% 가까이 오르면서 기존 이스라엘과 스위스 제품에 의해 양분됐던 시장이 3파전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현상에는 이스라엘, 스위스 제품의 품질에 밀리지 않으며, 경쟁력 있는 가격을 기반으로 한 벨라루스 수입 파트너의 시장 확대 노력과 우리 기업의 적극적인 마케팅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글로벌 기업인 Nobel Biocare(스위스), Straumann(스위스), ROOTT(스위스, 생산지 리투아니아), Alpha-Bio Tech(이스라엘), Noris Medical(이스라엘), MIS(이스라엘) 등은 치과 임플란트 시장에서 강력한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2025년 기준 벨라루스 임플란트 시장에는 MegaGen, Osstem Implant, DIO Implant, Neobiotech 등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다. 한국 임플란트 중 현지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MegaGen이며 한국 기업 중 최초로 벨라루스 시장에 진출한 기업이다. 그 뒤를 이어 Osstem Implant가 진출했으며 DIO Implant, Neobiotech사가 지난 1~2년 간에 벨라루스 시장에 진출을 하여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유통구조
치과용 임플란트 및 기자재는 일반적으로 글로벌 제조사의 딜러를 통하거나 치과 클리닉 및 치과 의사를 통해 유통판매를 한다. 치과 의사에게 교육과 전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딜러나 유통사와 독점계약을 통해 공급되는 경우가 많다.
· 생산자 ⇒ 수입업자/디스트리뷰터 ⇒ 덴탈 클리닉
관세율 및 인증
벨라루스 임플란트 및 기타 치과용 피팅 (HS 코드902129) 수입 관세율은 0% 및 15% (벨라루스는 EAEU 회원국으로서 러시아,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역외 공동관세율을 적용)이며, 벨라루스의 부가가치세는 20%이다. 기타 치과 기자재의 수입 관세 및 부가세율은 아래 표와 같다.
<벨라루스 치과 기자재 수입 관세 및 부가세율>
HS코드
제품
관세율
부가세율
902129
임플란트 및 기타 치과용 피팅
0% (기타)
5% 및 8% (철강으로 만든 것)
15% (티타늄에서)
20%
902121
인공치아
5%(플라스틱으로 만든 것)
0% (그 밖의 재료로 만든 것)
300640
치과용 시멘트
3%
901849
치과용 기구.기자재
5%
901841
치과용 드릴
5%
940210
치과용 유닛체어
5%
902213
치과용 엑스레이
5%
[자료: https://eec.eaeunion.org/comission/department/catr/ett/ ]
임플란트를 벨라루스 내 수입 및 유통판매하기 위해서는 국가등록 인증취득이 필수이며, 국가등록을 위해서는 실험실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 임플란트는 EAEU 규정 또는 벨라루스 국내법에 따라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등록 전문가는 현재 EAEU 표준에 따라 제품을 등록하기 보다는 국가 등록을 선호한다고 언급했다.
임플란트 등록의 대략적인 단계:
· 서류 수집 및 등록 신청
· 초기 서류 검토
· 임플란트 생산 검사 (등록 기관 전문가가 제조업체의 제조 현장 방문)
* 간소 등록 절차도 있는데, 제조업체가 임플란트를 FDA 또는 EU Directive 2017/245 또는 2017/246에 따라 등록을 한 경우 검사나 테스트가 필요하지 않다.
· 임플란트의 위생 시험
· 임플란트의 기술 시험
· 국가 등록에 필요한 서류에 대한 전문가 심사
· 임상 평가/임상 시험
· 등록 인증서 취득
벨라루스 내 국가등록 증명서 발급을 담당하는 기관은 CENTER FOR EXAMINATIONS AND TESTS IN HEALTH SERVICE 이다. 관련 바이어에 따르면 임플란트 제품 등록 기간은 약 1년이 걸리며, 등록 증명서는 5년 동안 유효하다.
기관명
RUE "CENTER FOR EXAMINATIONS AND TESTS IN HEALTH SERVICE"
of the Ministry of Health of the Republic of Belarus
홈페이지
https://www.rceth.by/en
전화
+37517-231-8514
이메일
rceth@rceth.by
주요 담당분야
medicinal products, pharmaceutical substances, medical devices and medical equipment
[자료: https://www.rceth.by/en]
시사점
벨라루스 치과의료기기 시장에서 한국산 임플란트 제품이 꾸준히 인기를 얻음에 따라, 임플란트 제품과 함께 다양한 치과 기기, 부자재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이에 치과용 X-Ray, 드릴, 브라켓 등 관련 치과의료기기의 적극적인 시장진출이 필요하다. 주요 임플란트 기업들의 경우 현지 병원/의사를 대상으로 한 벨라루스 현지 교육 설명회 개최를 거의 매년 수행하고 있으며, 보다 적극적인 홍보를 위해 한국 초청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매우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벨라루스는 여전히 매력적인 치과 의료 관광 목적지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매년 민스크에서 개최되는 벨라루스 치과 의료기기 전문 국제 박람회인 BelarusDent도 시장동향 파악을 위해 참고할 만하다.
· 전시명칭 : 벨라루스 치과 의료기기 전시회(BelarusDent)
· 개최시기 : 매년 10~11월 (2025년, 10.29~31 개최 예정)
· 개최장소 : Minsk, Pobediteley Ave., 14
· 전시품목 : 의료장비, 임플란트 등 치과 부자재 등
· 홈페이지 : https://belarusdent.by/en/
<전시회 전경>
[자료: belarusdent.by]
자료: Global Trade Atlas, Fitch Solutions, STATISTA, 유라시아경제위원회, belarusdent.by, 벨라루스 언론 등 KOTRA 민스크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벨라루스 임플란트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코트디부아르 의료시장, 한국 바이오헬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
코트디부아르 2025-06-16
-
2
러시아 건강 스낵 트렌드 파헤치기: 러-우 사태 이후 소비자 수요 변화
러시아연방 2025-06-16
-
3
빠르게 성장 중인 나이지리아 태양광 에너지 산업
나이지리아 2025-06-16
-
4
케냐 페인트 및 바니시 시장 동향
케냐 2025-06-16
-
5
브라질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브라질 2025-06-16
-
6
미얀마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 동향
미얀마 2025-05-28
-
1
2024년 벨라루스 자동차 시장 및 산업 동향
벨라루스 2024-09-27
-
2
2022년 벨라루스 물류산업 정보
벨라루스 2022-11-02
-
3
2022년 벨라루스 의료기기 산업 정보
벨라루스 2022-10-12
-
4
2021년 벨라루스 통신산업 정보
벨라루스 2021-10-15
-
5
2021년 벨라루스 물류산업 정보
벨라루스 2021-10-06
-
6
2021년 벨라루스 기계산업 정보
벨라루스 2021-09-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