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물 산업의 미래를 지향한 2025 중국 톈진 수박회(水博会)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톈진무역관
- 2025-06-30
- 출처 : KOTRA
-
2025년 중국 톈진에서 최초로 개최한 물 산업 전시회...3만 명 몰려
스마트 물 관리, 물 환경 복원 등 물 산업 동향 반영한 첨단 제품 전시
2025 중국 톈진 물 산업 전시회(2025 中国水博览会) 개요
제20회 중국 물 산업 전시회(2025 中国水博览会, WEC, 이하 '수박회')가 2025년 6월 6일부터 8일까지 총 3일간 중국 톈진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수박회는 최근 3년간 톈진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첫 번째 물 산업 전시회며, 중국과 해외의 스마트 물 산업, 상하수도 인프라, 물 환경 복원 등 분야의 혁신적인 제품들을 전시했다. 중국 수리학회(水利学会)에서 주최한 이 행사는 2006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며 이번에 처음으로 톈진시에서 오픈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과학기술과 디지털 지능이 수자원 관리에 힘을 실어주고 물 산업의 미래를 이끈다"라는 주제로 총 3개의 전시홀에서 200여 개 기업의 제품이 전시됐다. KOTRA 톈진 무역관은 6월 6일(금)에 전시관을 방문했다.
<톈진 국가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중국 톈진 물 산업 전시회>
[자료: 2025 수박회 홈페이지, KOTRA 톈진 무역관 촬영]
<전시회 개최 개요>
전시회 명칭
2025년 제20회 중국 톈진 물 산업 전시회
2025 20st CHINA(Tianjin) WATER EXPO
2025第20届中国水博览会
개최 기간
2025.6.6.(금)~6.8.(일) (3일간)
개최 장소
톈진 국가컨벤션센터(NCEC,天津国家会展中心)
주관 부서
중국 수리학회(中国水利学会)
개최 규모
전시면적: 5만 ㎡(3개 전시홀),
참가기업: 200개 사, 관람객: 3만 명
홈페이지
http://www.ches.org.cn/
전시분야
스마트 물 산업, 상하수도 인프라, 물 환경 복원 등
[자료: 2025 수박회 홈페이지]
2025 '수박회' 전시회 현장 소개
이번 전시회에는 스마트 물 관리(S9 전시홀), 상하수도 인프라(S15 전시홀), 물 환경 복원(S16 전시홀) 등 3개 분야의 제품과 설비가 주로 전시되며 중국과 톈진 현지 물 산업 대표기업에서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3일간 3만 명이 방문한 2025 수박회>
[자료: 2025 수박회 홈페이지]
1. 스마트 물 관리: IoT 기반 수질 모니터링, AI 예측 관리 플랫폼 등
중국의 IoT 기반 수질 모니터링은 기술의 고도화와 환경 규제 강화에 힘입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S9 전시홀의 14번 부스에서는 훙뎬(宏电)의 신규 수자원 IoT 시스템이 소개됐다. 이 시스템은 수자원 산업이 직면한 운영 및 유지보수의 비효율성, 높은 비용, 데이터 보안 위험, 그리고 다양한 제조사 장비의 통합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 이 시스템의 핵심은 수자원 IoT 지능형 기기(ATU)이며, 기업이 자체 개발한 센서와 E-Link 및 A-Link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감지 장비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실시간 데이터 연동 및 통합 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기존 AI의 단일 데이터 소스 의존을 넘어, 멀티모달 데이터 간 상호 보완을 통해 적응 능력을 향상시켰다. 예를 들어, 수위 데이터, 영상 이미지, 음향 신호 등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장비의 이상을 보다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IoT 기반 수질 모니터링 전문기업 훙뎬(宏电)>
[자료: KOTRA 톈진 무역관 촬영]
S9의 8번 부스에서는 숑마오(熊猫) 그룹이 디지털 트윈 수자원 시스템을 선보였다. 해당 시스템은 기업이 자체 개발한 트윈 엔진을 기반으로 해 수자원 시설의 실제 생산 공정을 구현하며, AI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밀한 관리를 시행할 수 있다. 과거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감측되는 데이터를 결합해 향후 24시간의 수질 변화, 장비 상태, 부하 변화를 예측하고 최적의 운영 계획을 도출하는 시스템이다. 그뿐만 아니라 해당 시스템은 빠르게 문제점을 진단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에 선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며 에너지 소비를 10~20%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상하수도 인프라: 스마트 파이프라인, 누수 감지 시스템 등
중국의 상하수도 인프라는 도시화와 환경정책 강화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번 수박회 S15 전시홀에 관련 기업이 다양한 솔루션을 전시했다. 특히 데이터에 기반하고 AI 기술과 연계된 전문 분석 및 평가 모델의 도입도 가속화되고 있다. 보촹훙투(博创宏图)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플랫폼과 AI를 이용한 스마트 파이프라인 시스템을 선보였다. 이 시스템은 하천, 정화장, 펌프장, 파이프라인 등 전체 요소를 운영 및 관리해 파이프라인의 분석, 모니터링, 조정, 평가 등을 일원화했다. 구동 원리로는 기초 데이터, 결함 데이터, 운영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파이프라인의 안정성, 운영 상태를 평가하고 진단한 뒤, 수력 모델과 연계해 비상 상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보촹훙투(博创宏图) 부스>
[자료: KOTRA 톈진 무역관 촬영]
수중 인공지능 솔루션을 전문으로 개발하고 있는 치위안(鳍源)은 핵심 제품군인 V, E, W, X 시리즈로 구성된 수중 로봇을 소개했다. 해당 모델들은 산업·공공 부문에서 수자원 디지털 관리, 해상 플랜트 점검, 재난 대응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 기업의 독자적인 기술로는 AI 기반 실시간 무손상 측정 시스템과 고정밀 호버링(Hovering,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물게 하는 것) 기술이 있으며, 자사 개발 고성능 모터, 음파 센서 기술을 바탕으로 4시간 이상 연속 작업이 가능하다.
3. 물 환경 복원: 하천·호수 생태 복원 기술
S16 전시홀에 위치한 톈진천톈(晨天)은 정수 처리 시스템 및 관련 설비의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정수 공급, 산업용수 정화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천톈은 정수 분야의 핵심 기술로 '초정밀 필터 - 이중 역삼투 필터링 - 무균화 처리' 조합 공정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절수 및 에너지 절감 등 국가 정책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에 선보인 다단계 필터링 시스템은 초고밀도 필터를 통해 고분자 유기물, 콜로이드,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이중 역삼투막을 통해 염분을 충분히 제거한 뒤, 무균화 처리 과정을 거쳐 식수 및 산업용수 기준에 부합하는 수질을 확보한다. 특히, 당사 처리 공정은 포카리스웨트와 같은 기능성 음료의 생산용수 처리에도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우수한 수질 안전성이 입증됐다.
<천톈(晨天)의 초정밀 필터 물 처리 장비 소개>
[자료: KOTRA 톈진 무역관 촬영]
메이톈쉐이(美天水)는 여과막 시스템 및 수처리 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시공 및 운영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도시 상수도, 하수 처리 및 재이용, 산업용수 및 폐수 처리와 재이용, 해수 담수화, 식수 정화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이번 전시 기술 중 하나인 'MBR(Membrane Bio-Reactor) 필터 수처리 공정'은 활성슬러지 공법과 막(膜) 분리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수처리 기술로, 주로 하수 처리 및 수자원 재이용 분야에 활용된다. 해당 공정을 통해 처리된 폐수는 중국 <도시 하수 처리장 오염물질 배출 기준(城镇污水处理厂污染物排放标准)>의 1급 중에서도 1-A급 기준에 도달하는 수질을 달성할 수 있으며, 다른 처리 기술과 함께 사용할 경우 지표수 3급 기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한다.
시사점
이번 톈진 물 산업 전시회는 중국 수자원 산업의 향후 발전 트렌드를 조망하는 중요한 행사였으며 관련 분야의 우리 기업은 이번 행사에서 전시된 제품과 신기술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물 산업 시장은 2025년까지 1조2000억 위안(한화 약 220조 원) 규모의 '국가 수 안전 보장'(水安全保障规划) 정책 지원 아래 스마트 워터 테크와 친환경 기술을 중심으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인공지능, IoT 기반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과 드론 활용 홍수 예측 기술이 연평균 25% 성장하며, 재생수 활용률은 2030년 35%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특히 수처리 장비(연간 12% 성장), 해수 담수화(18%), 누수 탐지 솔루션(30%) 등 핵심 분야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이며, 시장 규모는 2024년 8000억 위안에서 2030년 1조5000억 위안(280조 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다만 지역별 인프라 격차와 기술 자립화 과제가 남아있으며, 광둥성·장쑤성 산업 클러스터와 국유기업 협력이 진출 전략으로 권장된다. 중국은 2030년까지 물 이용 효율 35% 개선과 전국적 스마트 물 관리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만난 톈진시 수처리 전문(국유) 기업 TIANJIN S 사의 매니저 L 씨는 "한국 물 산업 기업들은 고효율 필터링과 스마트 모니터링 분야에서 경쟁력을 인정 받았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관련 산업의 기술 활성화 수요에 따라 한국기업은 현지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중국 시장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2026년 수박회 행사에서는 더 많은 해외 기업이 참여해 기술 교류와 비즈니스 기회를 확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설명했다.
자료: 2025 중국 톈진 물 산업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중국수자원신문(中国水利报), 진윈(津云),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물 산업의 미래를 지향한 2025 중국 톈진 수박회(水博会)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EU 집행위원회, 청정산업 국가보조금 프레임워크 채택
벨기에 2025-06-30
-
2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동향
중국 2025-06-30
-
3
대만 캐릭터 IP 시장 동향과 팬덤 기반 유통 전략: 팝업스토어·편의점 마케팅 사례를 중심으로
대만 2025-06-30
-
4
중국 전선 케이블 시장 동향
중국 2025-06-30
-
5
일본 정부의 노동안전위생규칙 개정...직장 내 열중증 대책 의무화에 따른 대응 방안과 시사점
일본 2025-07-01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