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유리 및 유리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워싱턴DC무역관 김경현
  • 2025-06-12
  • 출처 : KOTRA

유리 및 유리제품 시장 개요

미국 유리 및 유리제품 시장 동향 및 수출입 현황

산업 경쟁구조 및 전망

상품명 및 HS코드


HS코드 7004는 흡수성, 반사성 또는 비반사성의 층이 형성돼 있을 수 있으나, 그 외의 별도 가공이 이뤄지지 않은 판상 형태의 유리 및 분유리를 포함하며, 그 하위 세분류인 700490는 기타 유리 및 유리제품을 지칭한다.


시장동향


유리 제조 시장은 산업 전반에서 재활용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소재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유리는 파사드, 창호, 출입문, 난간, 태양광 응용 제품, 유리 용기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의 높아진 소득 수준에 따라 자동차, 전자제품, 실내 인테리어 분야에서의 수요 확대가 두드러진다. 이에 따라 프레스 유리 및 분유리 제품 시장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북미 지역에서는 미국 유리 제조 산업이 2030년까지 수익 기준으로 해당 지역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며,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건축 및 운송 분야에서 유리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친환경 소재에 대한 수요 확대에 대응해 유리 제조업체들은 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생산기술 개발과 설비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어서, 전반적인 시장 저변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식음료 산업에서는 경량화 및 비용 효율성 추구를 배경으로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 등 대체 포장재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수요에 따라 유리 포장재에 대한 선호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유리 제품 시장 수익 규모와 향후 변화 추이>

(단위: US$ 십억, %)


[자료: IBIS World]


유리 제조 산업은 건설 경기 회복과 더불어, 에너지 효율성과 재활용 가능한 자재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에 힘입어 중장기적 성장이 전망된다. 거시 경제의 확장세에 따라 건축 및 자동차 산업 전반에서 유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자들의 소득 증가는 전자제품 및 생활용품 분야에서 유리 사용 확대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 매출은 2030년 말까지 1.8%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해 약 34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주요 업계별 유리 산업 매출 현황>

(단위: US$ 십억)


[자료: IBIS World]


건설 산업 매출의 상당 부분은 비주거용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유리 커튼월(Glass Curtain Walls)의 수요 증가에 크게 기인한다. 유리 커튼월은 경량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동시에 갖춘 외장재로, 상업용 건축물에 적합한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에너지 효율성과 현대적인 디자인 구현에 유리하다는 점에서 주요 건축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자동차 조립 및 교체 부문에는 전면 유리, 조명용 커버, 미러 등이 차량의 주요 부품으로 사용된다. 최근 차량 설계의 고도화와 유리 소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차량 1대당 유리 사용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전기차(EV)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유리 수요 확대의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기차 제조사는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능 구현을 위해 특수 기능성 유리를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첨단 자동차용 유리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식음료 시장에서는 맥주, 와인, 증류주 등 주류 제품의 포장에 유리 용기의 의존도가 높으며, 이 분야에서 유리는 주요 포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리 용기는 내용물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우수한 위생성과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을 장기간 보존하는 데 유리하다는 점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 외에도 잼, 조미료, 파스타 소스 등 다양한 가공식품에서도 유리 용기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가정용품 부문에서는 주방용 식기류, 거울, 인테리어 소품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기능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및 프리미엄 가전 수요에 부합하는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과학·기술 및 기타 전문 산업 부문에서는 화학물질용 유리 튜브, 산업기계 부품, 광섬유 케이블용 유리 등 다양한 특수 유리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품에 대한 수요는 최근 국내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제약 및 생명과학 산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해당 분야에서 유리 제품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수요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은 유리 산업이 글로벌 경기 회복과 맞물려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프리미엄화, 친환경 포장 트렌드, 소비자 안전성 요구 확대 등과 함께 시장 확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출입동향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HS코드 700490에 대한 미국의 2024년 총 수입액은 6081만4580미국 달러이며, 이는 2023년 총 수입액인 2888만5284미국 달러 대비 약 110.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20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왔으며, 2024년 기준 총 수입액은 970만1633 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 주요 수입대상과 그 비중은 대만(48.69%), 한국(15.95%), 말레이시아(14.54%), 독일(10.20%), 일본(4.48%) 순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간 미국의 유리 제품 국별 수입동향>

(단위: US$)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대만

3,141,476

3,162,390

2,964,349

6,415,146

29,610,915

한국

229,652

517,652

1,316,103

4,647,006

9,701,633

말레이시아

307,992

83,822

309,665

5,066,648

8,841,400

독일

1,287,645

1,635,118

15,476,297

3,303,265

6,200,241

일본

734,884

509,277

750,686

1,364,342

2,719,577

중국

1,536,801

3,007,780

11,793,348

3,253,110

1,702,190

캐나다

1,496,343

1,419,135

1,948,910

2,658,620

911,517

네덜란드

281,827

144,051

316,208

328,261

251,323

이스라엘

-

-

9,631

40,986

169,927

멕시코

26,385

184,591

627,922

493,657

161,558

[자료: Global Trade Atlas 데이터 인용]


미국은 자국 내 제한적인 생산 역량으로 인해 상당량의 유리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수입 비중이 전체 매출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국제 공급망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미중 간 지속되는 무역 경쟁과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여파가 중국산 유리 제품의 미국 시장 내 수입 성장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HS코드 700490에 대한 미국의 2024년 총 수출액은 561만294달러 이며, 이는 2023년 총수출액인 7284만270달러 대비 약 92.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급감은 전체 수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대중국 수출이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2024년 주요 수출 대상국과 그 비중은 멕시코(43.96%), 아루바(13.33%), 페루(11.01%), 캐나다(8.60%), 폴란드(6.14%) 순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간 미국의 유리 제품 국별 수출 동향>

(단위: US$)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4

멕시코

430,239

54,814

175,472

335,374

2,466,461

아루바

-

51,776

-

-

747,761

페루

1,071,924

-

6,984

3,463,987

617,913

캐나다

1,366,689

586,440

563,381

1,229,522

482,517

폴란드

-

-

-

151,144

344,309

프랑스

18,912

2,680

146,940

11,468

287,723

중국

133,139

12,600,778

41,231,056

16,038,536

142,768

독일

34,168

94,048

11,529

-

113,411

태국

55,500

243,775

218,325

50,400

78,000

루마니아

-

-

81,887

85,539

37497

[자료: Global Trade Atlas 데이터 인용]


대부분의 유리 및 유리제품 수출은 미국-멕시코-캐나다(USMCA)에 힘입어 멕시코에  가장 많은 수출을 하고 있고, 캐나다에도 많은 수출을 하고 있다. 이들 2국가는 낮은 관세 혜택을 바탕으로 미국 기업들의 수출에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수출된 유리 제품은 건설 경기 회복과 자동차 산업의 활성화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경쟁동향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 내 유리 제조 산업에서 주요 기업의 2025년 시장 점유율은 오언스 일리노이(Owens-Illinois, Inc.)가 11.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서 카디널 유리 산업(Cardinal Glass Industries, Inc.)이 7.9%, 아르다 그룹(Ardagh Group S.A.)이 6.8%, 코닝(Corning Inc.)이 6.3%, 베를린 패키징(Berlin Packaging L.L.C.)이 2.6%, 오로라(Orora Limited)가 1.3%를 기록하고 있다.

 

유리 제조 산업의 주요 기업은 생산 효율성과 비용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재 조달부터 생산, 유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통합 운영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생산 공정을 체계화하고 원가를 절감하여 시장 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한편, 종업원을 고용하지 않고 개인 또는 소규모 형태로 운영되는 사업체(무고용 사업자)가 여전히 유리 제조 산업 내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형 기업이 활발한 기업 인수 및 합병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산업 내 기업 간 통합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둔다. 이는 소수의 대형 기업에 의한 시장 주도가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판매 제품


유리 제품은 건설,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 제품은 건축물용 고기능성 유리부터 샤워부스 스크린, 모니터 화면 및 조명기구용 유리 부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며,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는 전자 유리 제품 및 미러 제조에 핵심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비록 유리 제품에 대한 건설 부문의 수요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자동차 및 가전 분야에서 고기능·전문화된 유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장 내 수요 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수요 이동은 유리 제품 시장의 전반적 성장과 산업 내 균형 발전을 견인하고 있으며, 이는 첨단 기술의 일상화와 자동차 및 가전 산업의 지속적인 혁신 흐름을 따르고 있다.

 

유리 산업은 변화하는 소비자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고, 신규 성장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자동차 기술의 발전에 따른 고기능성 유리 부품 수요 증가는 제조업체에게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제공하며, 스마트 홈 기기의 확대 보급 역시 혁신적 유리 솔루션에 대한 수요를 견인하여 산업 전반의 경쟁력 유지 및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유통구조



공급업체는 공급망 내 역할에 따라 1차 공급업체와 2차 공급업체로 구분된다. 1차 공급업체는 유리 제조에 직접 투입되는 핵심 원자재를 제조업체에 공급하며, 2차 공급업체는 가공 및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 부자재, 기술 등을 1차 공급업체 또는 제조업체에 제공하여 생산 활동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핵심 원자재를 확보하고 있는 공급업체는 제조업체에 대해 가격 결정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는 생산 비용과 일정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은 자원 통제력은 공급업체가 가격 협상 과정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첨단 기술 기반의 장비, 특수 소재, 전문 코팅 등과 같은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는 일반적인 공급처에 비해 더 높은 협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은 기술적 대체가 어려워,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제품 품질 유지 및 기술 혁신을 위해 해당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미국 유리 및 유리제품 공급망 체계>


[자료: IBIS World]


한편, 구매자는 구매 목적과 산업 내 역할에 따라 1차 구매자와 2차 구매자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구매자 그룹에는 유리 설치 및 마감 시공업체, 조명기구 제조업체, 음향 및 영상 장비 제조업체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유리를 핵심 부품 또는 주요 소재로 직접 활용하는 산업군이다. 반면, 2차 구매자는 안경 및 콘택트렌즈 유통업체, 건설업체 등으로, 유리를 완제품의 구성 요소 또는 최종 소비재의 일부로 간접 활용하는 산업군에 해당한다.

 

유리 제품 구매자는 다양한 선택지를 바탕으로 공급처를 비교·검토할 수 있어 높은 협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비교 및 협상 역량은 구매자가 보다 유리한 가격과 계약 조건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며, 다수의 공급업체가 경쟁하는 시장 구조는 구매자의 우위를 강화하고 있다.


관세율


HS 코드 700490에 해당하는 제품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에 따라 일반적으로 10%의 상호관세가 적용되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는 추가 관세가 부과되어 총 30%의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시행한 무역법 제301조 관세는 스마트 유리 제조에 필수적인 핵심 부품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 항목으로는 △스마트 윈도우의 동적 차광 기능 구현에 사용되는 전자변색(Electrochromic) 소재, △PDLC(고분자 분산형 액정) 및 SPD(부유 입자 장치) 유리의 작동에 필수적인 전도성 코팅(Conductive coatings), △스마트 유리 제조의 기반이 되는 유리 기판(Glass substrates) 등이 포함된다.


시사점


유리 제조 시장은 기술 혁신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대에 힘입어 성장이 기대된다. 스마트 및 에너지 효율 유리 솔루션의 보급은 산업별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시장 판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주요 성장 동력은 스마트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건축 트렌드를 경험하고 있는 건설 산업에 있다. 또한 자동차 및 전자 부문에서 특수 유리에 대한 수요도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유리 제조 시장은 성장과 혁신을 위한 거대한 기회를 갖춘 역동적인 환경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대미 유리 및 유리제품 수출은 2020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이어왔으며, 2024년 기준 총수출액은 970만1633달러로 기록했다. 이는 미국의 전체 수입액에서 15.95%의 비중을 차지하는 수치로, 향후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화학협회(American Chemistry Council)에 따르면, 차량 생산 과정에서 열가소성 글레이징(thermoplastic glazing) 소재의 활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다수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차량의 경량화와 연비 개선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창문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북미유리협회(Glass Association of North America)는 초고층 건물, 커튼월, 특수 차량용 응용제품 등에 사용되는 대형 및 맞춤형 유리가 전체 프로젝트 비용 중 운송비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협회는 업계의 안전성과 품질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물류업체들이 온도 제어 트레일러, 크레인, 진동 방지 시스템 등 특수 장비에 대한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글로벌 시장의 변화와 기술 트렌드는 우리나라 유리 및 유리제품 제조업체가 고부가가치 제품군에 주력하고, 품질 및 물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한국산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수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IBIS World, Grand View Research, Market Data Forecast, Markets and Markets, PR Newswire, SNS Insider 및 KOTRA 워싱턴 DC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유리 및 유리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