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타이어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애틀랜타무역관 김회승
  • 2025-06-10
  • 출처 : KOTRA

글로벌 원자재 및 물가 상승으로 인한 중저가형 타이어 수입 증가

EV전용 및 친환경 타이어 수요 증가

디지털 유통 판매 증가 추세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4011.10 (New Pneumatic Tires Of Rubber, For Motor Cars)은 승용차, 스테이션왜건(Station Wagon), 경주 자동차(racing car)에 사용되는 고무로 만든 공기 타이어를 지칭한다. 이 제품군은 전기차(EV) 수요 증가에 따라 고성능, 내구성, 저소음, 친환경성과 같은 새로운 기능 요건이 부각되며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발전하고 있다.


시장동향


시장조사기관 IBIS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 타이어 산업은 산업별 매출 기준 약 154억 7000만달러 규모로 추산되며 구체적으로는 제조($25.4억), 도매($81억 8000만 달러), 소매($47억 5000만 달러) 시장 규모로 이뤄져 있다. 최근에는 전기차(EV) 확산에 따른 전용 타이어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EV는 내연기관 차량보다 무게가 더 나가고 토크가 높아 타이어 마모 속도가 20~30% 더 빠르며, EV 전용 고성능·저회전저항·저소음 타이어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친환경·연비 절감형 타이어에 대한 선호도 높아지고 있다. 연료 효율을 높이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저회전저항 타이어는 소비자와 법규 모두로부터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타이어 교체주기를 단축시켜 교체 수요를 견인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최근 고금리·경기 둔화 국면에서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해져 저가형·중저가 타이어 구매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프리미엄 타이어 시장 성장세에 일시적 제약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중국·아세안산 저가 타이어 수입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 원자재(천연고무·합성고무) 가격 상승과 관세정책 및 글로벌 물류 공급망 차질이 생산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최종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일부 소비 위축 요인을 제공하고 있다.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미국의 타이어 총수입액은 약 97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주요 수입국별로는 멕시코, 태국, 캐나다가 상위 3개국을 차지하며, 전체 수입의 절반 가까운 비중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멕시코와 캐나다는 미·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따른 무역상 이점을 기반으로 성장세(각각+2.3%, +16.9%)를 보이고 있다. 멕시코는 19.8%의 비중으로 3년 연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캐나다는 8.5%의 비중으로 안정적인 수출 흐름을 보였다. 한국과 인도네시아, 일본은 모두 전년 대비 수입액이 감소했다. 특히 한국은 16.3%, 인도네시아는 15.1%, 일본은 5.5% 감소하면서 경쟁력이 다소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USMCA 협정 효과에 대비되는 관세 인상, 환율 변동,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인한 불이익 영향으로 해석된다. 이 외에 가격 상승으로 인한 중저가 타이어 구매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캄보디아,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 제품의 수입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미국의 타이어 수입 현황(HS Code 4011.1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2

2023

2024

비중('24)

증감률
('24/'23)

-

전체

  9,198,147

  9,872,866

  9,747,103

100.0

-1.3

1

멕시코

  1,535,201

  1,884,225

  1,927,593

19.8

2.3

2

태국

  1,217,310

  1,391,330

  1,627,592

16.7

17.0

3

캐나다

     670,474

     706,103

     825,711

8.5

16.9

4

인도네시아

     842,744

     823,301

     698,678

7.2

-15.1

5

일본

     626,535

     724,972

     685,378

7.0

-5.5

6

한국

    708,680

    680,803

    570,091

5.8

-16.3

7

베트남

     389,964

     495,035

     525,738

5.4

6.2

8

캄보디아

      54,936

     195,654

     313,117

3.2

60.0

9

칠레

     335,749

     321,604

     291,783

3.0

-9.3

10

포르투갈

     332,115

     294,675

     284,654

2.9

-3.4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미국 타이어 제조업은 Goodyear, Bridgestone, Michelin, Pirelli, Hankook 등 글로벌 다국적 기업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 기업은 OEM(신차용 타이어)와 Aftermarket(교체용 타이어) 시장에 모두 진입해 있으며, 최근에는 고성능·프리미엄 타이어 및 전기차(EV) 전용 타이어 개발에 R&D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도매 부문은 American Tire Distributors와 TBC Corp가 미국 최대 도매상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e-Commerce 플랫폼과 연계한 자동화 유통망 구축에 적극적이다. 소매 부문에서는 The Reinalt-Thomas Corporation(Discount Tire), TBC Corp, Sumitomo Corp 계열 딜러들이 전국 단위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온라인 판매(Direct-to-Consumer) 경쟁이 빠르게 심화되고 있다. 최근 신흥국(태국, 베트남, 캄보디아)산 타이어 수입 증가로 인해 시장 내 가격경쟁이 격화되고 있으며, 미국 정부의 반덤핑·상계관세 부과 정책에도 불구하고 저가 수입 타이어의 시장 진입이 계속 확대되는 추세이다.


<미국의 타이어 시장별 주요 기업 현황>

구분

주요 기업

시장 점유율(2024)

주요 특징

제조업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ternal_image

31.6%

미국 대표 제조사, 프리미엄 타이어 및

EV 타이어 집중

Bridgestone Corporation

external_image

28.1%

일본계 최대 제조사, 글로벌 1~2위권,
OEM 강세

Michelin

external_image

21.8%

프랑스계, 프리미엄 타이어 선도,

EV 타이어 혁신

 

Pirelli & C. S.P.A.

5.1% 이탈리아계, 고성능 스포츠 타이어 강점
Hankook (한국타이어)


1.1%

한국계, 미국 현지 생산 확대,

EV·고성능 시장 강화

도매업 American Tire Distributors (ATD)


5.6%

미국 최대 타이어 도매업체,

e-Commerce 기반 자동화 유통망 운영

TBC Corporation

5.1% 미국 2위권 도매업체, B2B 유통망 강점
소매업 Discount Tire

20.8%

미국 최대 타이어 소매 체인,

전국 단위 오프라인 + 온라인 통합

TBC Corporation

7.0% 전국 소매망 운영, B2B+B2C 모델
Sumitomo Corporation 

6.0% 일본계, OEM·Aftermarket 모두 강세

[자료: IBIS World, 각 사 홈페이지, KOTRA 애틀랜타 무역관 편집]


유통 구조


미국 타이어 시장의 유통 구조는 제조사 → 도매상 → 소매상(딜러, 대형유통체인, 온라인 플랫폼) → 최종 소비자의 4단계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글로벌 제조사는 미국 내 현지 생산 공장을 운영하거나 현지 도매망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American Tire Distributors와 같은 대형 도매상을 통해 전국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다. 소매 부문에서는 타이어 전문 딜러(Discount Tire 등), 자동차 정비 서비스업체(독립 오프라인 매장), 대형 유통체인(Walmart, Costco 등), 그리고 온라인 플랫폼(Amazon Tire Store, Tire Rack 등)이 혼재하여 경쟁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온라인 판매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제조사 직판(Direct-to-Consumer, D2C) 모델과 디지털 기반 B2B 주문 시스템이 도입되며 유통 구조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증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타이어는 미국 교통부(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의 도로 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의 규정에 따라 DOT Tire Identification Number를 부여받아야 한다. 5M(제조공장코드), RL(사이즈 코드), YB(패턴 코드), H(브랜드 코드)와 함께 제조주차 및 연도를 명시해야 한다.


시사점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 관세 영향 등으로 인해 미국 타이어 시장의 중저가형 타이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기업의 제품 및 가격차별화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EV 시장의 확대로 인한 EV 전용 타이어 혹은 친환경, 연비 절감형 타이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EV 전용 타이어는 고성능, 고내구성, 저소음 등 고도의 기술 수준이 요구되며, 향후 기술력 중심의 차별화가 시장 경쟁 우위를 좌우할 전망이다. 미국 시장 판매 유통을 위해서는 디지털 유통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다. 최근 온라인 기반 타이어 판매는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B2B 유통망 효율화소비자 직판(D2C) 역량 구축이 향후 경쟁력 확보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원자재(고무, 합성고무) 가격 변동성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지속될 전망이므로, 공급망 다변화안정적 원재료 확보 전략 수립도 계속해서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IBIS World, 각 사 홈페이지, KOTRA 애틀랜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타이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