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아세안 종합품목 무역사절단 개최기
- 현장·인터뷰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박아람
- 2025-05-30
- 출처 : KOTRA
-
수출상담회 국내기업 15개사, 싱가포르 바이어 21개사 참가
맛의 고장 전주와 구미, 싱가포르 진출을 꿈꾸다.
무역사절단 개요
최근 싱가포르에는 간편성과 실용성을 갖춘 K-생활소비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찾는 바이어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번 사절단에서는 현지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다양한 제품들이 주목을 받으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한때 SNS에서 화제를 모았던 비건 김밥, 한국에서도 입소문이 난 코인 육수, 주방용 빨간 고무장갑 등 친숙한 제품들이 큰 주목을 받았다. 싱가포르무역관은 현지에서 높아지는 K-생활소비재에 대한 관심에 발맞춰, 전주와 구미 지역의 특색 있는 기업들을 초청해 종합 품목 무역사절단을 개최했다.
<2025 아세안 종합 품목 무역 사절단 개요>
행사명
2025 아세안 종합 품목 무역 사절단
행사 기간
2025년 5월 15일
행사 장소
Amara Hotel, Singapore
규모
국내기업 15개 사, 싱가포르 바이어 21개 사
주최 / 주관
전주시, 구미시 /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행사 내용
1:1 수출상담회 개최, 시장조사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무역사절단 1:1 상담회 전경>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체 촬영]
주요 상담 내용
5월15일 진행된 2025 아세안 종합 품목 무역사절단은 한국 기업과 싱가포르 바이어의 1대1 대면 상담 형식으로 열려, 실질적인 비즈니스 연결의 장을 마련했다. 한국 제품은 우수한 품질로 이미 높은 신뢰를 얻고 있으며, 이번 행사에서는 현지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간편식 제품군이 특히 주목을 받았다.
전자레인지로 간편히 조리 가능한 죽, 국, 김밥 등 간편 조리식품은 바이어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이는 바쁜 일상 속에서도 건강한 한식을 즐기고자 하는 싱가포르 소비자들의 니즈와 잘 맞아떨어진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구미산 쌀로 빚은 전통 탁주인 막걸리 역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인공감미료를 첨가하지 않아 다른 제품군과 차별화되는 본연의 맛이 강조됐으며, 이에 대한 현지인들의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 또한 고온다습한 싱가포르와 같은 동남아 지역에서도 끈적이지 않고 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선 스틱 제품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
전주와 구미의 한국 업체들은 적극적으로 미팅에 임하며, 국내 업체들의 진지한 자세 속에서 성공적인 파트너쉽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잘 반영한 결과, 이번 행사에서는 총 81건의 상담을 진행할 수 있었다.
싱가포르 바이어 인터뷰
Q. 이번 상담회에서 어떤 제품이 가장 눈길을 끌었나?
A: “최근 싱가포르 소비자들은 자연 성분, 무첨가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인공감미료 없이 전통 방식으로 만든 막걸리는 독특하고 매력적인 제품이다. 시음해 보니 맛도 깔끔해서, 프리미엄 주류 시장에도 충분히 진출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A 사 식품 유통 담당자
Q. K-화장품이 동남아에서도 인기가 많은가?
A: “K-화장품은 여전히 인기가 뜨겁다. 오늘 상담회에서는 특히 (주)오키의 콜라겐 패치, 씨앤알코스메틱(주)의 끈적거리지 않는 선스틱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베트남과 같은 다른 동남아시아에서 시장 테스트를 한 뒤 대표님들과 이메일로 팔로업을 할 예정이다.”
-B 사 화장품 유통 담당자
Q. 싱가포르 바이어들은 대체로 어떤 제품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가?
A: 싱가포르는 생활 수준이 높은 국가이지만, 여전히 유사 제품 대비 합리적인 가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냉장/냉동이 필요한 제품은 물류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온 보관이 가능하고 유통이 용이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A 사 식품 유통 담당자
시사점
이번 사절단 참가 업체들은 비건 및 할랄 인증을 철저히 준비하여 싱가포르 시장 진출에 한층 더 가까워지고 있다. 한국산 쌀과 밀로 만든 디저트, 전통 막걸리 등 상온 및 냉장 보관 제품의 유통기한 관리에도 신경을 쓰며 현지 유통 조건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제품에 대한 싱가포르 바이어들의 관심과 이해가 높아지는 만큼, 체계적인 인증과 현지화 전략이 앞으로 성공적인 시장 진출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 기업들은 이번 사절단을 끝으로 멈추지 않고, KOTRA에서 지원하는 잠재 바이어 발굴지원, 유통망 사업 등을 통해 싱가포르 시장 진출의 더 많은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 아세안 종합품목 무역사절단 개최기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프랑스 해외 투자유치 실적 발표...리스크 요인과 눈여겨볼 점은?
프랑스 2025-05-30
-
2
스마트시티로 향하는 필리핀, 민관협력 주도 시장기회 확대
필리핀 2025-05-30
-
3
테무·쉬인·알리가 한자리에…ICBE 박람회로 본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트렌드
중국 2025-05-30
-
4
인도, 전략산업 중심으로 FDI 정책 전면 개편… 글로벌 투자 유치 가속화
인도 2025-05-29
-
5
글로벌 현장에서 빛난 K-푸드, 미국 'NRA(레스토랑 전시회) 2025' 참관기
미국 2025-05-30
-
6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인도네시아 2025-05-09
-
1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5-04-11
-
2
2024년 싱가포르 반도체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4-11-11
-
3
2023년 싱가포르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3-05-23
-
4
2021년 싱가포르 IT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2-01
-
5
2021년 싱가포르 관광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6
2021년 싱가포르 건설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