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테무·쉬인·알리가 한자리에…ICBE 박람회로 본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트렌드
  • 현장·인터뷰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5-05-30
  • 출처 : KOTRA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1위 광둥성에서 전하는 생생한 현장 리포트

실전 노하우부터 플랫폼별 진출 전략까지, 글로벌 셀러를 위한 종합 가이드


<전시회 개요>

행사명

국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박람회

(International Cross-Border E-commerce Expo, 跨交会)

기간

2025513() ~ 15(), 3

장소

광저우 파저우 바오리세계무역센터전시관

(广州琶洲·保利世贸博览馆)

연혁

2019년 최초 개최, 202514회째

주최

광둥성 이커머스협회(广东省电子商务协会), 확전그룹(扩展集团)

규모

100,000

참가업체 수

2,000여 개사

누적 참관객 수

100,000명 이상

전시 분야

뷰티·퍼스널케어, 가전, 식품, 반려동물용품, 생활잡화 등

홈페이지

http://www.szicbe.com/

[자료: ICBE 공식 홈페이지]

 

ICBE는 중국 내 대표적인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전문 박람회 중 하나로, 중국 이커머스 산업 중심지인 광저우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ICBE는 화남지역의 풍부한 무역·물류 인프라와 산업 생태계를 활용해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들의 비즈니스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기획된 박람회다.

 

2025년 제14회 국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박람회(ICBE)2025513일부터 15일까지 광저우 파저우의 바오리 세계무역센터전시관(保利世贸博览馆)에서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는 광둥성 상무청(广东省商务厅)의 지원으로 광둥성 이커머스협회와 쿠오잔그룹(扩展集团)이 공동 주최했으며, 이커머스 플랫폼 펑쥐망(蜂俱网)과 하이췐망(海圈网)이 공동 주관했다.

 

이번 박람회는 프리미엄 상품을 소싱·연결하여, 글로벌 공동 성장을 도모한다(甄选源头精品智联寰宇共赢)’를 주제로, 전 세계 주요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교류의 장이 됐다. 현장에는 전 세계 2000여 개 기업과 30여 개의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 500곳 이상의 서비스 및 공급망 관련 기업이 참가했으며, 10만 명에 달하는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전시회 현장 사진>

[자료: ICBE 공식 홈페이지]

 

박람회 현장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핵심 테마 전시관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플랫폼 생태관에는 Amazon, TikTok Shop, Shopee, Lazada, eBay 등 세계적인 이커머스 플랫폼이 참가하여 최신 입점 정책과 시스템 소개는 물론 중국 셀러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안내했다.

 

두 번째 전시관은 중국 브랜드의 해외 진출에 초점을 맞춘 브랜드 수출관이다. 해당 구역에는 소비가전, 홈리빙, 뷰티, 유아용품, 반려동물용품, 패션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제품이 전시됐으며, 글로벌 바이어와의 1:1 매칭도 활발히 진행됐다세 번째 크로스보더 서비스관은 결제, 물류, 통관, 공급체인 관리, 해외창고 운영 등 이커머스 거래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가 한 자리에서 소개됐으며, 운영 효율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종합 솔루션도 제공됐다.

 

마지막 스마트 상품 소싱관에는 AI, 빅데이터, SaaS 도구 등을 활용해 판매자들이 시장 수요에 맞는 제품을 효과적으로 고르고,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들이 소개됐다.


<전시회 현장 사진>

[자료: ICBE 공식 홈페이지]

 

신시장 개척 포럼


이번 포럼은 글로벌 플랫폼과 업계 전문가들이 전략을 공유하고, 참가자들이 최신 트렌드를 확인하며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였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국제 정세와 무역 환경 속에서 Amazon, Newegg, Walmart, eBay, Lazada, AliExpress 등 주요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들이 취하고 있는 상품 소싱 전략, 운영 관리, 위탁 운영 모델 등 실무 중심의 핵심 이슈들이 구체적으로 다뤄졌다.

 

<세션별 발표 일정 및 주제>

일정

세션

주최 플랫폼

연사 및 발표 주제

513일 오전

유럽·미주 진출

Amazon

아마존 글로벌 셀링 화남지역 비즈니스 개발 매니저 Ji Zhu(季竹)

프리미엄 수출, 혁신 체인으로 미래를 열다

(高质量出海创新链未来)”

513일 오후

TikTok Shop 입점

TikTok

Shop

유럽 크로스보더 POP 운영 매니저 Yang KangKang(杨康康)

신시장 진입 전략 및 운영 노하우(新市场入驻政策与运营分享)”

514일 오전

동남아 진출

Shopee

쇼피 위탁 운영 모델(全托管模式) 책임 Shy Luo

동남아 블루오션 시장 개척(开启东南亚运营蓝海市场)”

514일 오후

신흥시장 진출

Coupang

플랫폼 입점 책임 Kevin Du

패션 매출 극대화를 위한 로켓배송 전략(火箭仓助力时尚品类爆卖)”

515

위탁 운영 모델

(托管模式)

SHEIN

입점 셀러 관리 총괄 매니저 Wing Chen

부분 위탁(半托管) 전략으로 마케팅 블루오션 개척

(精研半托管玩转营销蓝海)”

[자료: ICBE 공식 홈페이지]

 

각 세션에서는 중동·유럽·동남아 등 블루오션 시장 진출 사례와 플랫폼별 운영 전략이 심층적으로 소개됐으며, 현직 셀러들의 경험을 통해 참가 기업들은 자사에 적합한 글로벌 진출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었다.

 

<포럼 현장 사진>

[자료: ICBE 공식 홈페이지]


 

Coupang 세션 하이라이트


이번 포럼에서 특히 높은 주목을 받은 세션 중 하나는 쿠팡(Coupang)Kevin Du가 진행한 입점 전략 발표였다. 실제 플랫폼 입점 사례를 중심으로, 쿠팡의 중국 셀러 유치 정책이 구체적으로 소개됐다본격적인 발표에 앞서 Kevin Du는 쿠팡이 한국 시장의 구조적 강점을 바탕으로 중국 판매자에게 유리한 유통 환경을 조성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한국은 구매력 있는 소비층과 안정된 물류 인프라, 높은 주문량 등을 기반으로 해외 상품 유통에 적합한 시장으로 평가되며, 이는 중국 기업의 한국 진출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중국 판매자를 대상으로 한 입점 정책이 단계적으로 완화되고 있다는 점도 소개됐다. 2025년에는 입점 절차를 한층 간소화하고, 프리미엄 브랜드 셀러를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 발표돼 현장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대표적인 성공 사례로는 선전(深圳)의 한 스마트 웨어러블 브랜드가 쿠팡 입점 후 6개월 만에 1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사례가 소개됐으며, 이는 플랫폼 내 높은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됐다아울러, 쿠팡은 광저우, 선전, 항저우 지역에 입점 지원센터를 신설하고, 중국 판매자를 대상으로 한 밀착형 컨설팅, 물류, 마케팅 지원 등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할 방침을 밝혔다.


KOTRA 광저우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참가기업 3C 디지털 제조기업 관계자는 “ICBE에는 3년 연속 참가하고 있으며올해는 현장에서의 바이어 매칭 효과가 특히 두드러졌습니다첫날부터 일본과 말레이시아 바이어로부터 구매 문의를 받았고아마존 플랫폼 관계자와는 샘플 발송을 전제로 한 1차 협의를 진행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동남아 유통 플랫폼 구매 담당 바이어는 "많은 전시 업체들이 맞춤형 소량 생산과 신속한 납기 요청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중국 공급망의 경쟁력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온라인보다 이번 ICBE 현장에서 더 효율적으로 공급처를 찾을 수 있어 매우 만족했습니다"라고 언급했다.

 

<포럼 현장 사진>

[자료: ICBE 공식 계정 제공]


한국 우수 상품 홍보관


이번 ICBE에서 KOTRA 광저우무역관이 운영한 한국 우수 상품 홍보관은 전시회 기간 동안 많은 참관객이 방문해 높은 관심을 끌었다. 스마트홈, 뷰티·스킨케어, 건강제품 등 60여 개의 프리미엄 한국 브랜드 제품이 전시돼 큰 관심을 모았다. 특히 아시아 피부 특성을 고려해 개발한 자외선 차단제와 저자극 스킨케어 제품은 현장 반응이 뜨거웠고, 건강기능식품 부문에서는 홍삼정, 프로바이오틱스, 장 건강 보조제 등 다양한 기능성 제품들이 많은 참관객들의 발길을 끌었다.

 

한국 홍보관 운영진은 중국의 주요 크로스보더 서비스 기업 및 플랫폼 관계자들과 만나, 해외창고 운영, 현지 지원, 공동 마케팅 등 다양한 협업 방안을 논의했으며, 실제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사안까지 협의가 이루어졌다.

 

<한국 상품 홍보부스 현장>

[자료: 광저우무역관 자체 촬영]



향후 전망 및 시사점


광둥성은 명실상부한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산업의 중심지다. 2024년 기준, 광둥성은 약 7454억 위안의 거래액으로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시장에서 28.4%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전국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13개 도시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종합시험구로 지정돼 있는데, 이는 단일 성() 기준 최대 규모다광둥성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종합시험구는 광저우(廣州), 선전(深圳), 주하이(珠海), 둥관(東莞), 산터우(汕頭), 포산(佛山), 메이저우(梅州), 후이저우(惠州), 중산(中山), 장먼(江門), 잔장(湛江), 마오밍(茂名), 자오칭(肇慶) 등 13개 도시다.

 

이 중 성도인 광저우는 물류, 서비스, 제품 다양성 등 여러 요소가 집약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거점으로, 전 세계 셀러와 바이어들이 몰리는 글로벌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2023년 기준, 광저우의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수출입 규모는 2004억6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51.54% 증가했으며, 수입 규모는 9년 연속 전국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4, 크로스보더 이커머스를 포함한 전체 무역 규모는 11200억 위안을 초과했다. 실제 수출입 실적이 있는 기업 수는 약 26천 개로, 전년 대비 14.9% 증가해 기업 수 측면에서도 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향후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산업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기술의 고도화와 함께 더욱 빠르게 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소비자 수요의 고도화,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는 서비스 혁신과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ICBE 국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박람회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플랫폼 및 서비스 기업 간 협업을 확대하고, 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을 강화해나갈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시장 진출을 고려하고 있다면 플랫폼별 입점 기준과 물류·운영 환경을 사전에 점검하고, 디지털 마케팅과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실행 중심의 진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참고: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운영 모델 및 용어 정리


<거래 구조에 따른 유형>

세부 운영 모델

주요 특징

대표 사례

순수 플랫폼형

(纯平台模式)

플랫폼은 중개만,

상품·배송 개입 없음

eBay, 일부 신규 플랫폼 등

자체 운영 + 입점 혼합형

(自营+平台模式)

일부는 자체 운영,

일부는 입점 허용

JD Global (京东国际), 

Amazon (亚马逊)

자체 운영형 (自营模式)

플랫폼이 직접 상품 조달·판매

NetEase Kaola 

(网易考拉 초기 모델)

[자료: 플랫폼 공식 웹사이트, KOTRA 광저우 무역관]


<위탁 운영(托管유형>

세부 운영 모델

주요 특징

대표 사례

전체 위탁

(全托管模式)

판매자는 상품만 제공,

플랫폼이 전 과정 관리

Temu, AliExpress

부분 위탁

(半托管模式)

판매자가 일부 관리 담당,

그 외는 플랫폼이 지원

AliExpress, SHEIN

플랫폼 위탁

(平台托管模式)

플랫폼이 표준화된 서비스 제공

Amazon FBA, Shopee 해외창고

[자료: 플랫폼 공식 웹사이트, KOTRA 광저우 무역관]


<플랫폼 협력 유형>

세부 운영 모델

주요 특징

대표 사례

운영 대행

(代运营模式)

3자 운영사에 스토어 운영 위탁셀러는 공급만 담당

다수의 대행 운영사

자체 운영

(自运营模式)

판매자가 전 과정 직접 관리

Amazon 자체 운영, Shopify

공동 운영

(联合运营模式)

플랫폼/운영사와

공동 투자 및 수익 공유

-

브랜드 대행 광고

(品牌代投模式)

브랜드 홍보만 전문 기관에 위탁

-

[자료: 플랫폼 공식 웹사이트, KOTRA 광저우 무역관]


<기타 운영 유형>

세부 운영 모델

주요 특징

대표 사례

O2O 오프라인 연계

(线下转型O2O)

오프라인 매장을 기반으로

온라인과 통합

Suning International (苏宁国际)

바이어 직구

해외 직배송

(买手制+海外直邮)

해외 바이어가 직접 구매,

공식 국제 물류 연계

Yangmatou (洋码头)

전문화 자체 운영

(垂直自营平台)

특정 카테고리에 특화된

자체 운영 플랫폼

NetEase Yanxuan (网易严选)

큐레이션 리워드 플랫폼 (导购返利平台)

쇼핑 정보를 편집해

트래픽 유도 후 주문 연결

SMZDM (什么值得买)

C2C 구매대행

(C2C代购模式)

개별 바이어가 해외 현지 구매 후 배송

소셜미디어 기반 개인 구매대행

[자료: 플랫폼 공식 웹사이트,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ICBE 박람회 공식 홈페이지 및 위챗 공식계정, 남방일보(南方日报), ChinaIRN.COM(中研网)플랫폼 공식 웹사이트 및 iResearch, Frost & Sullivan 등 산업 보고서,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테무·쉬인·알리가 한자리에…ICBE 박람회로 본 중국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