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사우디아라비아 스포츠웨어 시장 동향
  • 상품DB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장성원
  • 2025-06-02
  • 출처 : KOTRA

스포츠 문화 확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 사우디 스포츠웨어 시장

오프라인 위주에서 최근 Shien, Namshi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다변화

HS Code 및 상품명


스포츠웨어의 일반적인 HS code는 6211(트랙슈트·스키슈트·수영복과 그 밖의 의류)이며, 6404.11(스포츠용 신발류, 테니스화·농구화·체조화·훈련화나 이와 유사한 것), 6103.43(편물제 의류, 합성섬유로 만든 것) 등도 일부 포함된다.

 

사우디 스포츠웨어 시장동향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의 스포츠웨어 시장 규모는 약 14억6000만 달러이며, 전년 대비 6% 증가한 수치이다. 이 중 스포츠의류가 약 9억8000만 달러, 스포츠 슈즈가 약 4억8000만 달러 규모이다.

 

<2020~2025년 사우디 스포츠웨어 시장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유로모니터]

(참고: 2025년은 예측치)


스포츠웨어는 의류 및 신발 산업 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로, 사우디의 2024~2029년 연평균 성장률(CAGR)은 2.9%로 전망된다. 이는 전 세계 평균과 중동·아프리카 평균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으로, 시장의 안정적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여성의류 지출 비중 증가이.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전체 스포츠웨어 시장에서 여성의류 지출 비중은 40.8%였으나, 2024년에는 45.8%로 상승하며 남성의류 지출 비중인 44.6%를 추월했다. 참고로 나머지 9.6%는 아동 스포츠웨어 비중이다. 이는 사우디 정부의 ‘비전 2030’ 전략에 따라 여성의 사회 참여와 스포츠 활동 참여가 활발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9~2024년 사우디 스포츠웨어 시장의 성별 지출 비중 변화>

(단위: %)

[자료: 유로모니터]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사우디아라비아의 하기 HS코드 스포츠웨어 수입은 2024년 기준 4억713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약 4.22% 감소했다. 수입 품목은 트랙슈트, 스키슈트, 수영복(HS Code 6211), 스포츠용 신발류(HS Code 6404.11) 및 편물제 합성섬유 의류(HS Code 6103.43)를 포함한다.

가장 큰 수입국은 중국으로, 2024년 기준 1억7384만 달러로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상위 4개 국에서의 수입 합계는 전체 수입의 76.74%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스포츠웨어 시장은 아시아 국가에 대한 높은 수입 의존도를 보인다.

특히 주목할 점은 2023년 91만 달러에서 2024년 1005만 달러로 2배가 넘는 수입액을 기록한 영국으로, 시장점유율도 전년 0.21%에서 2.47%로 크게 성장했다. 반면 한국은 39위로 전년 대비 수입액 71%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사우디 스포츠웨어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6211, 6404.11, 6103.43기준)>

(단위: USD 천, %)

순위

국가

2022년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

-

전체

354,030

425,056

407,132

100.00

-4.22

1

중국

157,086

198,695

173,845

42.70

-12.51

2

베트남

75,174

87,619

91,897

22.57

4.88

3

인도네시아

33,728

35,040

28,196

6.93

-19.53

4

인도

19,395

19,398

18,506

4.55

-4.60

5

에미레이트

6,018

7,793

16,305

4.00

109.23

6

방글라데시

12,679

13,113

12,851

3.16

-2.00

7

이태리

8,700

9,119

11,390

2.80

24.90

8

파키스탄

5,867

13,006

10,439

2.56

-19.74

9

영국

930

912

10,057

2.47

1003.26

10

튀르키예

3,646

9,620

5,257

1.29

-45.35

39

한국

237

419

120

0.03

-71.3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28]


경쟁동향


2024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스포츠웨어 시장은 글로벌 브랜드 중심의 과점 형태를 보이며, 상위 3개 브랜드인 Adidas, Nike, Puma가 시장 점유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Nike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여성 대상 제품 라인 확대, 지역 밀착형 캠페인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고, Puma는 여성 축구팀(Eastern Flames FC)과의 협업, 젊은 층을 겨냥한 스포츠 패션 강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Adidas는 현지 축구 리그 및 주요 구단과의 장기적인 파트너십, 문화예술과 연계된 로컬 협업을 통해 브랜드 정체성과 시장 연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국내 예술가와 공동 기획한 컬렉션을 출시하는 등 문화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그 밖의 브랜드들의 비중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시장 내 브랜드 집중화가 점차 심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유통구조


사우디아라비아의 스포츠웨어 시장은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구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동시에 전자상거래 채널의 성장세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다.

해외 기업의 경우, 대다수는 사우디 현지 유통업체 또는 프랜차이즈 파트너를 통해 진출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Adidas와 Nike 등은 전문 유통 대리점을 통한 직영 및 위탁 운영 매장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유통 모델은 리야드(VIA Riyadh), 제다(Red Sea Mall) 등 주요 도시의 고급 쇼핑몰과 복합 리테일 시설 내에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다.

한편, 전자상거래는 팬데믹 이후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BNPL(선구매 후결제) 서비스와 같은 유연 결제 수단의 도입, 모바일 중심 쇼핑 트렌드, SNS를 통한 제품 홍보 및 판매 채널 다변화가 결합되면서 온라인 기반 유통도 확장되고 있다.

Shein, Namshi, trendyol와 같은 브랜드들이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고 있으며, 각각 Z세대 여성 소비자, 밀레니얼 패션 수요층, 합리적 가격을 추구하는 중저가 시장을 겨냥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사우디 스포츠웨어 주요 이커머스 회사>

플랫폼명

주요 내용

Shein


2024년 사우디 매출액 약 4억5990만 달러로, 패션 이커머스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Shein은 중국에서 설립된 글로벌 패션 전문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중동 지역에서 빠르게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의류, 스포츠웨어, 액세서리 등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며, Z세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Namshi

 


2024년 사우디 내 매출액 약 1억7790만 달러로, 두 번째로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2011년 UAE에서 설립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 등 GCC 전역에 서비스 중이다. 의류, 신발, 액세서리 등 패션 아이템에 특화되어 있으며, Z세대와 밀레니얼층을 주요 타깃으로 한다.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 입점과 함께, 자체 브랜드 제품도 강화하고 있다. 빠른 배송과 무료 반품 정책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Trendyol

 


2024년 사우디 내 매출 약 6960만 달러를 기록하며, 패션 이커머스 시장에서 세 번째로 높은 매출을 올렸다. 터키의 DSM 그룹이 운영하며, 터키를 비롯한 중동 및 유럽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Trendyol은 패션 중심의 상품군(전체 매출의 49%)과 함께, 86% 이상이 터키 내 사용자를 기반으로 하지만 사우디 시장에서도 입지를 확대 중이다.


관세 및 인증
사우디아라비아 관세청(ZATCA)에 따르면, 스포츠웨어(HS Code 6211)와 편물제 의류(HS Code 6103.43)의 일반관세율은 5%다. 코드별 정확한 관세율은 eservice.zatca.gov.sa에서 확인 가능하다.

 

<사우디아라비아 스포츠웨어(HS 코드 6211, 6103.43) 관세율>

품목

HS 코드

품목명

세율

6211

621100000000

트레이닝복, 스키복, 및 수영복, 기타 의류


6211

621110000000

수영복


6211

621111000000

남성용 또는 남아용


6211

621111000001

합성 섬유 또는 인조 섬유 제품

5%

6211

621111000002

남성 또는 남아용 수영복

5%

6211

621112000000

여성용 또는 여아용

5%

6211

621120000000

스키복

5%

6103

610343000000

합성섬유제품

 

6103

610343000001

캐주얼 바지

5%

6103

610343000002

멜빵 또는 서스펜더가 달린 바지로 작업복(Overall)”과 관련된 제품

5%

6103

610343000003

끈이 없는 레깅스 및 반바지(쇼츠)

5%

[자료: ZATCA]

HS 코드 6211와 610343의 경우 SABER 시스템 내에서 PCoC(Product Certificate of Conformity) 또는 QM(Quality Mark) 중 하나의 인증을 취득한 후 제품을 등록하고 수입절차를 밟는 것이 필수 요건이다. 인증 절차는 아래와 같으며 기타 제품 관련 인증정보는 saber.sa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다.


< HS 코드 6211와 610343 관련 인증 절차>

순서

절차

내용

발급시점

1단계

제품 등록

수입업체 또는 제조업체가 SABER에 제품 등록

출하 전

2단계

인증서 신청

일반 제품 - PCoC 신청

출하 전

고위험 제품 또는 대량 수입용 – QM 신청

출하 전

3단계

적합성 평가

적합시 - 인증성 발급

부적합시 - 수정 요청 후 재평가 시행

출하 전

4단계

출하적합성

인증서 발급

각 출하마다 SCoC 신청, 발급 필요

출하 당 1회

[자료: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체 정리]


시사점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전 2030’ 전략에 따라 전국적으로 스포츠 시설, 피트니스 센터, 복합 경기장 등의 인프라 확충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국민의 스포츠 참여율을 높이고, 스포츠웨어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청년층과 여성층을 중심으로 피트니스 및 레저 활동이 확산되며 실용성과 패션을 겸비한 애슬레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우디 스포츠웨어 시장은 중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유로모니터, ZATCA, Global Trade Atlas, SABER, ECDB, KOTRA 리야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아라비아 스포츠웨어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