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산업용 밸브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김현재
  • 2025-05-30
  • 출처 : KOTRA

제조업부터 에너지까지 넓은 분야를 아우르는 일본의 산업용 밸브

높은 기술강점을 바탕으로 특정 산업군에 특화된 밸브 제조가 일본시장 진출의 키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코드 및 관세율>

HS코드

상품명

848180

- HS 8481(4자리): 파이프∙보일러 동체∙탱크∙통이나 이와 유사한 물품에 사용하는 탭∙코크∙밸브와 이와 유사한 장치(감압밸브와 온도제어식 밸브 포함)

- HS 848180(6자리): 그 밖의 기기

[자료: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 수입통계품목표]


밸브는 다양한 크기, 재료, 구조, 기능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용도와 설비에 사용되기 때문에 분류 방법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재료에 따라 '주철 밸브', '청동 밸브'라고 부르기도 하고 용도에 따라 '전력 밸브', '선박용 밸브'라고 부르기도 한다. 구조 기준으로는 아래와 같이 크게 6가지의 기본적인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용도별 밸브종류>

유형

그림

특징

구형 밸브

- 본체가 둥근 모양을 하고 있어 구형밸브 또는 글로브(globe) 밸브라고 불림. 통과하는 액체 또는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데 우수하며 동시에 유체의 흐름 차단 성능이 높기 때문에 스톱 밸브라고도 불림

- 장점 : 유체의 유량 조절에 우수, 유체 차단 성능 높음

- 단점 : 급격한 개폐가 불가능하며,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가 직선이 아니기에 해당 부분에서 유체의 흐름이 약해짐. 유체를 배출해야할 때 부적합

게이트 밸브

유로가 직선이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작으며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유체를 강하게 흐르게 하거나 완전히 닫혀 유체를 완전히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됨. 밸브 본체가 유로의 절반만 도출된 중간개도에서는 유량을 조절하지 않음

- 장점 : 유체를 완전히 차단하는 성능

- 단점 : 급격한 개폐가 불가능하며, 자주 개폐해야하는 경우에 부적합함. 유로가 직선인 볼 밸브와 비교할 때 높이가 높아 공간을 차지하며, 중대형 구경의 경우 버터플라이 밸브보다 무겁고 크기가 큼

볼 밸브

- 구멍을 관통한 볼이 밸브 본체를 이루고 있으며, 구멍의 방향을 배관과 일치시키면 유체가 통과하고, 방향을 90도만 회전시키면 유체를 차단할 수 있음

- 장점 : 급격한 개폐 가능. 본체를 컴팩트하게 설계 가능. 볼 내부의 유로 형태를 변경해 쉽게 삼방향 밸브로 제작 가능

- 단점 : 유량 조절에는 부적합함. 기본적으로 중간 개도에서 사용하지 않음. 볼을 지지하는 밸브 좌석을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 200도 이상의 유체에서는 부적합

버터플라이 밸브

- 링 안의 원판(밸브본체)을 90도 회전시켜 개폐가 가능하며, 중간개도에서의 유량 조절 기능에도 우수함.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설치에 용이

- 장점 : 급격한 개폐 가능. 공간절약 가능. 유량조절 가능

- 단점 : 밸브본체와 접하는 밸브좌석이 고무 소재로 제작된 일반적인 밸브는 고온, 고압 유체에서는 적합하지 않음. 소재를 금속으로 변경하는 등의 대응 필요

역류방지 밸브

- JIS 밸브 용어에는 “역류방지밸브”라고 기재돼 있으나 “역류밸브”라고 부르거나 “체크밸브”라고 부르기도 함. 배관 내에서 역류가 발생했을 때 중간에서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

다이아프램 밸브

- 다이아프램이란 격벽, 격막, 횡격막이라는 의미로 고무나 불소수지 등 부드러운 소재로 만들어진 막을 서로 붙이거나 떼어내는 식으로 유체 통로를 개폐함. 구동부가 유로와 다이어프램으로 차단돼 있어 불순물이 유체에 섞이는 일이 없음. 식품, 의약품, 화학, 반도체 관련 플랜트에서 자주 사용

- 장점 : 구동부의 누출이 없으며 청소가 용이함

- 단점 : 다이아프램 재료에 따라 유체의 온도 등 사용조건이 까다로움. 고압에는 부적합함

* 주: 중간개도(中間開度): 밸브 본체가 중간 정도 유로로 나와있는 것

[자료: 일본밸브공업회, 야마토밸브, 다이아밸브]

 

시장동향


일본 경제구조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일본의 밸브 제조업 사업소 수는 460개로 집계됐다. 이 중 대부분은 소규모 기계 가공을 전문으로 하는 공장으로, 자체 브랜드 제품 제조 및 판매를 하는 곳은 150여 개사에 불과했다. 경제산업성 생산동향통계조사(금속제품)에 따르면, 2023년도(2023년 4월~2024년 3월)의 밸브 생산액은 전년도에 비해 6.6% 감소한 532억3백만 엔이었으며, 무게(톤)와 수량(개) 모두 전년도보다 낮은 결과를 기록했다.


<일본 내 밸브 생산액 및 생산중량 추이>

[자료: 일본밸브공업회]

 

밸브 품종별 생산액을 살펴보면, 자동조절밸브(32.9%), 스테인리스밸브(23.6%), 급배수전류(21.3%) 순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밸브 생산액>

[자료: 일본밸브공업회]

 

연도

스테인리스밸브

주단강밸브

주철밸브

황동 밸브

고온고압밸브

자동조절밸브

급배수밸브

합계

2020

112,946

13,209

56,233

26,716

4,294

145,184

102,071

460,654

2021

153,630

12,364

58,265

33,201

4,810

173,293

115,984

551,547

2022

165,177

11,334

61,131

31,579

3,482

182,497

112,759

567,959

2023

125,355

13,397

64,548

35,075

4,491

174,436

112,900

530,203

[자료: 경제산업성 생산동태통계조사]

 

또한 2023년도의 수요부문별 밸브 출하액을 보면, 건축설비용(53.9%), 상하수도용(14.2%)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2014년도(건축설비용 39.1%, 상하수도용 14.7%)와 비교하면 특정 용도 관련 밸브 사용이 예전보다 집중됐음을 알 수 있다. 한편, 2014년에는 두각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2023년에는 반도체용이 2.4%를 차지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2014년, 2023년 수요부문별 출하액 비율>

* (2014년)공업회 소속 95개사, (2023년)공업회 소속 82개사 대상 조사

[자료: 일본밸브공업회]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4년 일본의 산업용밸브(HS 848180) 수입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12억5332만 달러였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2021년에는 수입액이 12억 달러 대를 기록했으나, 엔데믹 이후 13억 달러로 증가했다. 상위권 수입처 동향을 살펴보면, 중국이 꾸준히 25% 내외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은 일본의 밸브 수입처 중 6위(2024년 기준)로 약 5338만 달러를 수입했으며, 최근 꾸준히 4% 내외의 수입 점유율을 보였다.

 

<일본의 최근 3개년 밸브(HS 848180)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량

비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

전체

1,328,246

1,300,322

1,253,322

100.0

100.0

100.0

-3.6

1

중국

360,109

347,020

315,711

27.1

26.7

25.2

-9.0

2

미국

235,193

247,000

296,175

17.7

19.0

23.6

19.9

3

베트남

209,561

181,373

170,521

15.8

13.9

13.6

-6.0

4

독일

64,162

70,552

90,422

4.8

5.4

7.2

28.2

5

대만

71,299

88,062

55,513

5.4

6.8

4.4

-37.0

6

대한민국

46,884

52,790

53,382

3.5

4.1

4.3

1.1

7

태국

54,083

50,427

43,779

4.1

3.9

3.5

-13.2

8

말레이시아

23,469

34,699

40,012

1.8

2.7

3.2

15.3

9

스위스

104,135

50,090

30,937

7.8

3.9

2.5

-38.2

10

이탈리아

21,477

21,006

20,047

1.6

1.6

1.6

-4.6

*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5.22.)]

 

경쟁동향


제조업체

특징

키츠

1951년 밸브 제조 및 판매로 시작한 종합 밸브 제조회사로 현재 일본 국내시장 점유율 1위 기업. 전체 매출의 80% 이상이 밸브에서 발생하는 등 확대 지속

후지킨

반도체나 우주로켓용 밸브 등 다양한 분야의 밸브 제조를 하고있는 기업. “존재하지 않는 것을 창조한다.”는 기념 이념을 바탕으로 정밀한 가스 흐름 제어를 가능케하는 니들밸브 개발, 일본 최초의 우주 로켓용 밸브 장비 개발 등에 성공함

야마토밸브

1919년 설립된 건설 설비 및 일반 공업용 밸브 제조업체로 볼 밸브 분야에서 강점을 갖고 있음. 하코네 공장에서는 ISO 9001 및 ISO 14001 인증을 취득했으며 JIS 인증 제품인 청동밸브, 주철밸브를 비롯해 일본밸브공업회 규격 제품 제조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유통구조


밸브의 유통은 제조사로부터의 직판과 도매업자를 통한 판매,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도매업자를 통한 판매는 1차 유통사로서 전문상사가 있는데, 제조사와 직접 계약을 맺고 제품을 대량으로 구매해 하위 유통사나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역별로 분포돼 있어 지역 대리점은 2차 유통사로서 1차 유통사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아 판매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최근에는 이커머스를 통한 온라인 유통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렇게 판매된 밸브는 최종사용자, 엔지니어링회사, 건설사, 공사회사 등으로 납품된다.


관세율


<상품명, HS코드 및 관세율>

HS코드

상품명

관세율

848180

- HS 8481(4자리): 파이프∙보일러 동체∙탱크∙통이나 이와 유사한 물품에 사용하는 탭∙코크∙밸브와 이와 유사한 장치(감압밸브와 온도제어식 밸브 포함)

- HS 848180(6자리): 그 밖의 기기

기본, WTO협정, RCEP 모두

무관세(無稅)

[자료: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 수입통계품목표]


인증

 

<JIS 인증 마크>

[자료: JISC(일본산업표준위원회)]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 일본산업표준)은 일본의 산업 표준화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제정된 임의의 국가 표준이다. 이 JIS가 법령의 기술 기준에 인용되는 경우, 해당 법령에서 강제력을 갖게 된다. 이 밖에도 일본밸브공업회에서 제정하는 단체규격인 JV(Japan Valve Manufactures’ Association Standard)도 있다.

 

<JV 규격 리스트>

표준 번호

표제

JV3: 2022

밸브 사용자 안내

JV5: 2008

관단 방식 나사 끼움형 밸브

JV6: 1994

공업 프로세스용 조절 밸브 입회 검사 기준

JV8-1: 2007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변

JV8-2: 2007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강 스트레이너

JV9: 1998

공업용 편심형 버터플라이 밸브

JV10: 1998

부동전

JV12: 2011

고온용 비석면 조인트 시트 가스켓 선정 지침

[자료: 일본밸브공업회]

 

시사점

 

일본의 산업용 밸브 시장은 제조업부터 에너지까지 폭넓은 용도를 망라하며 건설, 상하수도 뿐 아니라 자동차, 전자기기, 화학,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발전과 함께 성장하는 시장이다. 밸브는 산업장비에 있어 필수적인 부속품으로 산업 공정 내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방향을 지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일본의 밸브 제조업체들은 탈탄소 요구에 맞추어 지속가능성이 확보된 사업전략 구상 등에도 노력하고 있으며, 반도체 등 첨단산업용 밸브 수요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 기업들은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특정 산업군에 특화된 고기능성 제품을 앞세워 시장 진입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일본 내 고객사들의 엔지니어링 요구에 대응하는 기술 지원 역량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 또한, 신뢰를 중시하는 일본시장의 특성에 맞춰 JIS 등의 규격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인증을 취득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편, 유통에 있어서는 현지 파트너사를 발굴함과 동시에 온라인 유통망을 통한 판매 모델 병행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일본 경제산업성, 일본밸브공업회, 야마토밸브, 다이아밸브, JISC, Global Trade Atlas, 주식회사 키츠, 후지킨, 야마토밸브, KOTRA 도쿄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산업용 밸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