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고무 씰(Seal) 및 개스킷(Gasket) 부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난징무역관
  • 2025-06-10
  • 출처 : KOTRA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시장, 전기차·친환경·자동화 수요 확대로 연평균 5.8% 수준의 안정적 성장세

2024년 한국산 수입은 전년보다 4.2% 감소한 5270만 달러, 중국 전체 수입시장은 추세적인 하락세 보이고 있어

상품명 HS 코드


상품명

HS CODE

고무 씰(Seal) 및 개스킷(Gasket)

4016.93


HS 코드 4016.93은 가황(硫化) 고무(경질 고무 및 셀룰러 고무 제외)로 제작된 가스켓, 와셔 및 기타 밀봉 제품을 나타낸다. 중국에서는 해당 코드를 아래와 같이 세분화하고 있다.

- 4016.9310: 기계 또는 자동차 산업 등에서 사용되는 가황 고무제 개스킷, 와셔 및 기타 밀봉 제품

- 4016.9390: 기타 용도의 가황 고무제 개스킷, 와셔 및 기타 밀봉 제품


이러한 분류는 제품의 용도에 따라 수출입 시 정확한 통관 및 세율 적용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개스킷(Gasket)과 씰(Seal)은 두 부품 또는 표면 사이의 틈을 메워 기체, 액체, 먼지 등의 누출을 방지하고, 진동, 소음, 압력, 온도 등에 대한 완충 또는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밀폐용 부품이다. 


개스킷은 일반적으로 탈착이 가능한 평면형 밀폐재로, 기계 접합부, 배관 연결부, 엔진 플랜지 등에 사용되며, 고무, 금속, 섬유, 복합소재 등으로 제작된다. 씰은 회전축이나 운동 부품 주위에 설치돼 동적인 밀폐 기능을 수행하며, 오일씰, O-링, 샤프트 씰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들 제품은 누출 방지와 함께 내구성, 내열성, 내화학성이 요구되며, 자동차, 기계, 항공우주, 전자, 건설 등 다양한 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시장 동향


Market Research Future(MRFR)에 따르면,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47억 달러(약 6조5800억 원) 규모이며, 2024년에는 약 49억2000만 달러(약 6조8900억 원), 2035년에는 약 92억 달러(약 12조9000억 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예측 기간(2025~2035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5.8%로 추산된다. 산업 자동화, 전기차 시장 확장, 친환경 규제 강화 등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2018~2035년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시장 규모 추이>

(단위: US$ 십억)

 

[자료: Market Research Future(MRFR)]


최근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시장에서는 고기능성, 지속 가능성, 디지털 전환이라는 세 가지 축이 핵심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우선, 산업 전반에서 성능과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금속, 고무, 복합소재 등 첨단 소재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온·고압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밀폐재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또한, 친환경 트렌드가 강화되면서 제조사들은 재활용 가능하거나 생분해되는 소재를 활용하고,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생산 공정을 도입하고 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최근 들어 환경 규제를 점진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건설 및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친환경 씰링 솔루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제조공정 전반에서 스마트화 및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자동화 설비의 도입과 스마트 공장 운영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품질 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업계 전반에서 관측되고 있다.


국가 차원의 환경 보호 정책 강화 및 산업 고도화 전략에 따라, 재생고무 활용 확대, 친환경 소재 도입, 생산 공정의 스마트화 등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기존 전통 산업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고무제품 산업이 지속가능하고 기술 중심적인 방향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對韓) 수입 규모


2024년 중국의 고무 씰 및 개스킷(HS CODE: 4016.93) 제품의 총 수입액은 11억3400만 달러(약 1조5876억 원)로, 전년 대비 4.2% 감소했다. 국가별 수입 규모를 살펴보면, 주요 상위 10개국은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대만, 한국, 영국, 중국, 멕시코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수입 중 80% 이상을 상위 10개국이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2024년 기준 약 5270만 달러(약 738억 원)를 기록하며 7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중국 전체 고무 씰 및 개스킷 제품 수입액의 4.6%에 해당한다.  


<2022~2024년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HS CODE: 4016.93) 수입액 상위 10개국>

(단위: US$ 천)

연번

국가

2022년

2023

2024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23/24년)

총 계

1,297,236

1,184,171

1,133,910

-4.2%

1

미국

189,289

188,523

189,069

0.3%

2

일본

244,297

191,481

175,827

-8.2%

3

독일

199,002

183,712

156,716

-14.7%

4

프랑스

83,767

75,826

83,046

9.5%

5

이탈리아

86,507

80,926

72,837

-10.0

6

대만

89,166

62,586

65,006

3.9%

7

한국

72,801

52,986

52,698

-0.5%

8

영국

29,451

34,124

38,164

11.8%

9

중국*

31,225

40,216

32,123

-20.1

10

멕시코

26,301

29,952

29,385

-1.9%

* 중국이 수입국으로 표기된 것은,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 전략 또는 복합적인 무역 흐름에 따라 중국 내 생산 제품이 해외 수출 후 다시 역수입된 경우를 의미한다.

 [자료: 중국 해관]

 

한국의 고무제품 수출은 2021년 이후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으며, 2023년 수출액은 5299만 달러(약 742억 원)로 감소했다. 2024년에는 5270만 달러(약 738억 원)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0.5% 감소했다.


<중국의 대한(對韓) 고무 씰 및 개스킷(HS CODE: 4016.93) 수입(2020~2025.Q1)>

(단위: US$ 천)

 

[자료: 중국 해관]


한편, 2025년 1분기에는 한국산 제품의 수입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0.2% 증가한데 반해, 일본(-8.2%), 독일(-14.7%), 이탈리아(-10.0%) 등 유럽 및 아시아 전통 제조강국들의 수출액은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 내 관련 시장규모는 전반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중국산 제품의 기술 고도화와 생산비 절감 등으로 인해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입 규모도 하향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경쟁 동향


중국의 고무 씰 및 개스킷(HS CODE 4016.93) 제품은 자동차, 건설, 기계 산업에서 고무 씰 및 패킹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며, 특히 전기차 및 스마트 제조 수요 증가에 따라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업계는 친환경 고무 소재, 고온·고압 내성 강화 제품, 맞춤형 설계 씰 등 고기능성 고무 밀폐재 기술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지역별 제조 기업 분포 특징을 보면, 동부 연해 지역(저장, 장쑤, 산둥 등)에는 자동차, 공정기계, 조선 등이 밀집돼 있어 자동차 및 기계 등에 사용되는 씰 제품 시장이 크게 형성돼 있다. 쓰촨, 안후이 등 중서부 내륙 지역은 석유화학 및 에너지 설비 등을 중심으로 밀폐재 수요가 높고, 건축, 전자산업 등이 발달한 화남 지역(광둥성 등)은 창호 등 건축용 씰 및 소비가전용 고무 제품 생산 기업이 분포해 있다.


<중국 주요 고무 씰 및 개스킷 제조 기업>

기업명

지역

기업 개요

중딩홀딩스 (中鼎控股)

안후이성(安徽省)

중국 내 최대 고무 씰 제조사 중 하나. 세계 500대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에 납품하며, NVH 시스템, 엔진 및 섀시 씰 등 폭넓은 제품군을 보유함. 해외 M&A를 통해 기술 고도화 진행 중.

저장쌍건 (浙江双箭橡胶)

저장성(浙江省)

산업용 고무 제품 전문기업으로, 특히 중장비용 컨베이어 벨트와 방진 씰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며 수출 비중이 높음.

칭다오산샹 (青岛三祥橡胶)

산둥성(山东省)

배관 및 공업용 고무 씰 전문 기업. 맞춤형 금형 설계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외 플랜트 설비 공급망 보유.

장인하이다 (江阴海达橡塑)

장쑤성(江苏省)

창호, 도어 밀폐재 분야 강자. PVC, EPDM 기반 친환경 씰 제품 생산. 스마트홈 및 고급 빌딩 설계 수요에 부응하는 고단열 제품 확대 중.

쓰촨촨환과기 (四川川环科技)

쓰촨성(四川省)

화학설비, 발전소용 고내압 씰 특화 기업. 고기능성 불소고무, 실리콘 고무 제품군 보유. 원자력·신재생에너지 설비 수요 증가에 따라 성장이 예상됨.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기업 공식 보고서 및 각 사 홈페이지 종합]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유통 구조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품목은 자동차, 전자, 건설 등 다양한 산업의 부품 수요에 대응하는 중간재 산업에 해당하며, 원재료 공급 → 중간재 가공 → 제품 생산 및 조립 → 최종 사용자 납품으로 이어지는 다단계 업 사슬을 구성하고 있다.


중국의 고무 씰 및 개스킷 시장은 온·오프라인 유통 구조가 병행되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알리바바, 징둥(JD.com)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산업 전문 플랫폼, 산업자재 구매 플랫폼을 통해 구매자에게 접근한다. 오프라인에서는 생산업체(직영점, 산업 전시회 등)와 중간상(지역 총판, 산업 대리점 등)을 통해 유통 채널을 구축하며, 이들 제품은 최종적으로 기업 구매 부서, 수리업체, 철물점, 건자재점, 개인 및 가정 소비자 등 다양한 수요처에 도달한다.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유통 구조>


[자료: KOTRA 난징무역관 정리]


관세율 및 인증 절차


중국 고무제품 (HS Code: 4016.93) 기준 대(對)한국 수입 관세율은 아래와 같다.


<중국 고무 씰 및 개스킷 대(對) 한국 수입 관세율>

Hs Code

MFN(2025)

FTA(2025)

RCEP(2025)

4016.9310

8%

0%

0%

4016.9390

15%

0%

0%

* HS 코드 6자리 기준으로는 세부 품목 조회가 불가능하므로, 중국 세관의 8자리 HS 코드 기준으로 조회 및 분석함

[자료: 중국 해관]


중국에서 HS Code 4016.93 제품은 용도 및 적용 산업에 따라 인증 및 규제 요건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해당 제품은 중국 강제인증제도(CCC)의 직접 적용 대상은 아니나, 자동차, 식품, 전자, 위생 관련 산업용 제품에 포함될 경우 특정 인증을 요구받을 수 있다.


먼저, 자동차 산업용 고무 씰의 경우, 제품이 완성차 안전성과 직결되는 부품으로 간주되면 CCC 인증(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샤프트, 도어 밀폐용 씰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반면, 일반 산업용 씰이나 건축용 고무 개스킷 등은 강제 인증 대상이 아닌 경우가 많다.


또한, 식품과 접촉하는 고무 씰 및 개스킷은 반드시 중국 식품안전 국가표준(GB 4806.11-2023)을 충족해야 하며, 이는 고무 재질의 화학물질 이행, 중금속 함량, 냄새 및 외관 요건 등을 규정하고 있다. 전자기기나 의료장비용 씰의 경우에도, 기기의 전기적 안전성과 관련될 경우 CB 인증* 또는 CQC 자율 인증** 등의 요건이 발생할 수 있다.

 * CB 인증(Certification Body Scheme, CB Scheme): IECEE(국제 전기전자기기 시험인증제도)에서 운영하는 국제 전기기기 인증 상호인정제도

** CQC 자율 인증 (China Quality Certification): 중국질량인증센터(CQC)에서 발급하는 중국 국내 자율인증 제도로, CCC 강제 인증 대상이 아닌 제품에 대해 기업 스스로 제품 품질과 안전성을 입증하고자 할 때 활용


일부 고무 제품은 최종 사용자의 구매 조건에 따라 ISO 9001, IATF 16949(자동차 품질), ROHS(유해물질 제한 지침), REACH(화학물질 등록·평가·허가·제한 제도)와 같은 국제 품질·환경 인증을 요구받는 경우도 있다.


산업용 고무 부품에 대해서는 제품 시험성적서, 품질검사보고서 제출 요구가 많으며, 중국표준화연구원(CNIS), 질량인증센터(CQC), 시장감독관리총국(SAMR) 등의 기관이 인증 규정과 관련된 행정 지침을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HS Code 4016.93에 해당하는 제품을 중국에 수출하거나 현지에서 제조할 경우, 제품의 최종 사용처 및 기능에 따른 인증 요건을 사전에 검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자동차, 식품, 전자기기 등 민감 산업에 공급되는 제품일수록 인증 요건이 강화되는 추세다.


시사점


중국의 고무 씰 및 개스킷 시장 규모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데 반해 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산 제품들이 가격 경쟁력과 기술 추격을 통해 수입 제품들을 대체하면서 시장 내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시장에서는 고기능성, 친환경, 스마트 기술 접목 등이 중요한 경쟁 요소가 될 것으로, 관련 기업들은 기술 혁신, 품질 강화, 규제 대응 전략을 강화해 시장 내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할 시점이다.



자료: Market Research Future(MRFR), unsplash, 관즈하이내신컨설팅(观知海内信咨询), 관옌보고망(观研报告网), 중진기신국제컨설팅(中金企信国际咨询), 중국 해관(中国海关),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중국인민정부 인증감독관리위원회(CNCA), 중국표준화연구원(CNIS), 중국식품안전국가표준(GB 4806.11-2023), KOTRA 난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고무 씰(Seal) 및 개스킷(Gasket) 부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