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네수엘라 디젤 엔진 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김민정
  • 2025-05-23
  • 출처 : KOTRA

15년 이상된 차량 비율 80%… 품질·가격 경쟁력 갖춘 한국산 부품 주목

중국산 점유율 상승 속, 보급형 제품 전략 필요

상품명 및 HS 코드

 

기타 엔진부품의 HS 코드는 840999로, 주로 디젤 엔진 또는 일반, 다용도 부속품을 포함한다.

 

시장동향


베네수엘라는 노후 차량 비중이 매우 높은 국가로, 자동차 부품 특히 디젤 엔진 부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지 생산 기반이 미비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부품은 수입에 의존하며, 중국, 미국, 한국 등이 주요 공급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금년 상반기 기준, 한국산 부품의 수출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자동차 부품 시장은 대부분 노후 차량을 기반으로 형성돼 있으며, 신차 수입과 현지 생산이 극도로 제한된 상황에서 중고차와 차량 정비에 대한 수요가 중심이 되고 있다. Favenpa(파벤파,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협회)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전체 차량의 79.9%가 15년 이상의 연식을 가지고 있으며, 차량 평균 수명은 22.5년이다. 이에 따라 차량 유지를 위해 엔진 부품, 점화플러그, 필터류, 브레이크 패드, 배터리 등 소모품에 대한 수요가 높으며, 중고 부품과 재제조 부품에 대한 선호도도 뚜렷하다. 자동차 부품의 현지 생산 기반은 사실상 전무하여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 미국, 브라질, 일본, 한국 등이다. 이 중 중국 제품은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산 부품은 현대, 기아 차량 보유자를 중심으로 품질에 대한 신뢰를 얻고 있다.


현지 유통 구조는 공식 수입업체 외에도 병행 수입, 중고 거래, 위조품 유통이 혼재돼 있으며, 대형 정비소보다는 중소형 정비업체가 시장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베네수엘라 소비자들은 가격 민감도가 높아 품질보다는 가격이 구매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유통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한국 기업이 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현대, 기아 등 현지에서 많이 사용되는 차량 모델에 적합한 부품을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재제조 부품이나 보급형 제품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 온라인 플랫폼 활용, 정비업체 대상의 네트워킹 확대 등을 통해 유통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기적으로는 품질 보증과 브랜드 인지도를 통해 정품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져야 한다.

 

베네수엘라 디젤 엔진 부품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가장 최근 확인할 수 있는 GTA 통계에 따르면, 베네수엘라의 디젤 엔진 부품 수입액은 2021년 600만 달러에서 2023년 3600만 달러로 꾸준히 수요가 증가했다. 중국, 미국, 파나마가 주요 공급원이며, 한국은 전체 14위를 차지하며 유의미한 수요 증가를 보여준다.

 

<베네수엘라 HS 코드 840999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2023년 점유율

‘23/’22 증감율

총합

6,073

26,802

36,024

100.0

34.4

1

중국

1,434

15,945

21,659

60.1

35.8

2

미국

3,294

6,154

7,702

21.4

25.2

3

파나마

274

1,450

2,434

6.8

67.8

4

홍콩

13

174

778

2.2

348.2

5

튀르키예

36

488

647

1.8

32.5

6

이탈리아

129

255

460

1.3

80.3

7

스페인

497

527

297

0.8

-43.7

8

아랍에미리트

2

8

261

0.7

3135.9

9

리투아니아

-

87

249

0.7

184.6

10

브라질

164

389

191

0.5

-51.0

14

대한민국

0

93

119

0.3

27.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 5. 16.]

 

경쟁동향

 

베네수엘라 자동차 부품 시장에는 다양한 유통업체가 존재하는데, 베네수엘라는 자동차 부품 생산이 부족하여 주로 수입 부품에 의존한다. 특히, 경쟁력 있는 가격과 점차 개선되는 품질로 현재 중국산 부품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보고타 무역관이 현지 유통업체 E와 인터뷰한 결과, 베네수엘라에는 제조 결함에 대한 보증 시스템이 완전히 갖춰지지 않았으며 복제품이 광범위하게 유통되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주요 디젤 엔진 부품 유통 기업>

기업명

대표 상품 및 설명

ENG Power Generation
https://www.engpowergeneration.com/ACCESSORIES_PARTS_DIESEL.htm

Caterpillar, Cummins, Perkins 등 주요 브랜드의 실린더 헤드, 피스톤, 오일 펌프 등 다양한 부품을 취급한다. 또한, 엔진 매뉴얼, 모니터링 장비, 연료 컨디셔닝 시스템 등도 함께 제공한다.

Pekparts Venezuela
https://www.pekparts.com/engines-venezuela

Deutz, CNH, Bosch, Kolbenschmidt, Goetze, Nüral, Victor Reinz, Volvo, Mahle 등 다양한 브랜드의 디젤 엔진 부품을 취급한다. 건설 기계, 발전기, 중장비, 트랙터, 버스 등 다양한 종류에 맞는 엔진 부품과 가스켓, 필터 등을 유통한다.

Engine Family
https://client-diesel.com/en

Cummins, MTU, DEUTZ, Nissan 등 세계적인 브랜드의 디젤 엔진 부품을 공급한다. 엔진, 크랭크축, 실린더 블록, 인젝션 펌프, 피스톤 등 다양한 부품을 제공하며, OEM 및 애프터마켓 제품 모두 취급한다.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2024]

 

유통구조

 

인터넷 정보가 제한돼 있는 베네수엘라의 상황을 고려하여 우리 기업은 KOTRA 보고타 무역관을 통해 베네수엘라 바이어를 발굴할 수 있다. 우선, 우리 기업의 베네수엘라 바이어 발굴 요청을 접수하고, KOTRA 보고타 무역관 베네수엘라 담당 직원을 통해 잠재 바이어를 발굴한다. 이후 FAVENPA(파벤파) 또는 CANIDRA(카니드라) 등 현지 유관기관을 통해 바이어 영업 활동을 확인하여, 우리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바이어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Favenpa 소개>

기관명

Favenpa (Cámara de Fabricantes Venezolanos de Productos Automotores)

베네수엘라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협회

주요 역할

o 국내 자동차부품 제조업체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보호

o 국내 생산 장려하는 정책 추진

o 불공정 경쟁과 밀수 방지를 위한 활동 전개

o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기술 규정 개발

o 업계의 국제 시장 통합 지원

o 노동 문제, 환경 보호, 기술 혁신 등의 분야에서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제공

연락처

(전화번호) +58 (0212) 238.28.82 / +58 (0212) 238.27.42

(이메일) favenpa@favenpa.org

홈페이지

https://www.favenpa.org/

[자료: Favenpa 홈페이지, KOTRA 보고타 무역관 재구성]

 

<Canidra 소개>

기관명

Canidra (Cámara Nacional de Comercio de Autopartes)

전국 자동차부품 상공 회의소

주요 역할

o 자동차부품의 수입, 유통 및 판매를 담당하는 기업들을 대표

o 회원사들이 공정한 시장 환경에서 사업할 수 있도록 보장

o 규제, 세무 및 상업 관련 자문을 제공

o 전문성 향상과 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박람회, 비즈니스 미팅, 교육 프로그램 운영

o 정부와 민간 부문 간의 가교 역할

o 경제 환경 개선 및 자동차부품 유통에 필요한 허가 및 인증 절차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

연락처

(전화번호) +58 (0212) 265.87.87

(이메일) comunicacionescanidra@canidra.org

홈페이지

https://www.canidra.org/

[자료: Canidra 홈페이지, KOTRA 보고타 무역관 재구성]

 

또는 Expo Canidra(엑스포 카니드라, 베네수엘라 자동차 부품 전시회) 참가를 통해 현지 자동차 부품 시장 조사와 기업 제품 홍보를 하며 바이어를 발굴할 수 있다.

 

<베네수엘라 자동차 부품 전시회 Expo Canidra>

일자

2025년 5월 15일(목)-17일(토)

장소

Centro Comercial Lider, 카라카스

규모

2024년 3천여 명 이상 방문, 2025년 108개 기업 참가

성격

매년 개최되는 베네수엘라 최대 규모의 자동차 부품 전시회

2025년 기준

전시부스 임차비용

 

구 분

비 용(달러)

구 분

비 용(달러)

2m x 2m / 4㎡

1,800

4m x 3m / 12㎡

5,400

3m x 2m / 6㎡

2,700

5m x 3m / 15㎡

6,750

4m x 2m / 8㎡

3,600

6m x 3m / 18㎡

8,100

3m x 3m / 9㎡

4,050

코너 / 9㎡

4,050

5m x 2m / 10㎡

4,500

-

[자료: CANIDRA 홈페이지, KOTRA 보고타 무역관 재구성]

 

초기 오더를 통해 바이어의 영업력이 확인되면, 현지 전시회 참가 또는 마케팅 비용을 지원하여 한국 제품을 전문으로 하는 유통망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베네수엘라의 중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물류, A/S 등 마케팅 차별화 전략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 베네수엘라로 물류 운송 시, 부산에서 출발하여 파나마, 미국 마이애미에서 환적하여 베네수엘라에 도착하거나, 콜롬비아에 도착하여 국경을 통해 육로로 운송한다. 2025년 3월 기준 컨테이너 크기와 관련 없이 약 6천 달러이며, 선적 기간은 약 45일에서 50일 소요된다.

 

관세율

 

한국과 베네수엘라 간 맺은 FTA 및 협정은 현재 존재하지 않기에 상품의 전체 가격에 비례하여 일반 관세가 부과된다. 이외에 CIF 기준으로 1% 부과되는 수입세와 CIF 가치에 기타 세금을 합산한 금액의 16%으로 산정되는 부가가치세가 추가로 발생한다. 베네수엘라 정부가 2024년 4월 공식 간행물 GACETA OFICIAL(가세타 오피시알)을 통해 발표한 HS 코드 840999의 관세율은 다음과 같다.

 

<베네수엘라 HS 코드 840999 관세율>

품목명

HS 코드

관세

엔진 블록 및 오일 팬, 크랭크케이스)

8409.99.12.00

16%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

8409.99.14.00

흡기 매니폴드 및 배기 매니폴드

8409.99.15.00

밸브 가이드

8409.99.17.00

직경200mm미만 피스톤

8409.99.29.00

실린더 라이너, 슬리브

8409.99.30.00

30kg미만 연결봉

8409.99.49.00

직경200mm미만 실린더 헤드

8409.99.59.00

직경20mm미만 인젝터/인젝터 헤드

8409.99.69.00

직경200mm미만 피스톤 링

8409.99.79.00

 

기타

8409.99.99.00

직경200mm이상 피스톤

8409.99.21.00

2%

30kg이상 연결봉

8409.99.41.00

직경200mm이상 실린더 헤드

8409.99.51.00

직경20mm이상 인젝터/인젝터 헤드

8409.99.61.00

직경200mm이상 피스톤 링

8409.99.71.00

실린더 헤드에 용접된 직경 200mm 이상 실린더 라이너

8409.99.91.00

[자료: GACETA OFICIAL Extraordinario 6804호, KOTRA 보고타 무역관 재구성]

 

반면, 2025년 3월 6일 베네수엘라 정부는 대통령령 제5104호를 발표하여 특정 품목에 대한 수입세 및 부가가치세(VAT) 면제를 2025년 6월 30일까지 연장했다. 본 대통령령에 따르면 면세 혜택을 받기 위해 수입자는 수입 신고 시 다음 세 가지 문서를 전자 형식으로 세관에 제출해야 한다. 첫째, 수입하려는 물품에 대한 상세 내역서, 둘째, 수입자 명의로 발행된 상업 송장, 셋째, 해당 물품에 적용되는 법적 규정을 포함한 문서이다. 이 모든 정보는 전자 형식으로 제출돼야 하며, 이는 선서 진술서로 간주되므로 허위 정보가 제출될 경우 면세 혜택이 박탈된다. 또한, 세관은 면세 수입에 대한 전체 내역을 상세히 기록해야 하며, 여기에는 해당 물품의 HS 코드, 수입자 정보, CIF 가격, 적용된 면세 금액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는 매달 SENIAT(베네수엘라 국세청)과 MPPEF(경제부)에 보고돼야 한다.


아울러, 수입자는 면세 혜택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정한 정기 평가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해당 혜택은 철회될 수 있다. 본 혜택은 2025년 6월 30일까지 유효하며, 이 법령의 발효와 함께 이전의 대통령령 제5071호는 폐지된다. 또한, CNP 또는 CPNI(국가 생산 부족)을 입증하는 증명서를 발급받을 경우, 해당 문서를 근거로 추가적인 면세 혜택을 신청할 수 있는 절차도 마련돼 있다.


<베네수엘라 대통령령 5104호 특별 면세 품목>

관련 조항

세금 감면

적용 대상 (수입 주체)

적용되는 840999 하위 코드

적용 조건

Artículo 3°

- 수입 90% 면제

- 부가세 90% 면제

- Administración Pública Nacional(중앙정부 공공기관)

- 개인 및 법인, 자체 자금으로 수입 시

8409.99.12.00 8409.99.14.00 8409.99.15.00 8409.99.17.00 8409.99.29.00 8409.99.30.00 8409.99.41.00 8409.99.49.00 8409.99.51.00 8409.99.59.00 8409.99.61.00 8409.99.69.00 8409.99.71.00 8409.99.79.00 8409.99.91.00 8409.99.99.00

- 최종 수입에 한함

- 중고 제품 가능

Artículo 4°

- 수입세 100% 면제

- 부가세 100% 면제

Ministerio del Poder Popular para la Energía Eléctrica(전력부) 및 그 산하기관들

8409.99.21.00

- 전력부 또는 산하기관이 직접 수입

- 최종 수입에 한함

Artículo 5°

- 수입세 100% 면제

- 부가세 100% 면제

Ministerio del Poder Popular de Atención de las Aguas(수자원부) 및 그 산하기관들

8409.99.99.00

- 수자원부 또는 산하기관이 직접 수입

- 최종 수입에 한함

Artículo 6°

- 수입세 100% 면제

- 부가가치세 100% 면제

Ministerio del Poder Popular de Desarrollo Minero Ecológico(개발광업생태부), Corporación Venezolana de Guayana(베네수엘라 구아야나 공사) 및 그 산하기관들

-

- 반드시 해당 부처 또는 공기업이 직접 수입해야 함

- 최종 수입에 한함

[자료: GACETA OFICIAL Extraordinario 6890호, KOTRA 보고타 무역관 재구성]

 

인증

 

베네수엘라 바이어가 자동차 부품 수입 시, 해당 제품이 COVENIN(베네수엘라 산업표준위원회)의 품질 규정을 만족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 품질 규정은 SENCAMER(베네수엘라 기술 표준원)의 사이트(www.sencamer.gob.ve)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바이어는 제품 도착 3주전에 SENCAMER에 품질 보증서를 신청하면 된다. 품질 보증 절차는 보통 수입자가 진행하며, 수입자는 수출자에게 제품 세부 사양서를 요청하여 SENCAMER에 제출하면 품질 보증서를 확보할 수 있다.

 

통관

 

베네수엘라 제품 통관을 위해서는 스페인어로 작성된 Commercial Invoice와 Packing List가 필요하고 이 외에 Bill of Lading을 비롯한 기타 서류가 필요하다. 세계은행이 발표하는 통관 효율화 지수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베네수엘라는 2.1 포인트를 기록하며 콜롬비아, 페루 등 다른 중남미 국가들 대비 통관 효율성이 낮은 편이라는 점도 참고할 수 있다.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페루 통관 효율화 지수 비교>

[자료: 세계은행]

 

시사점

 

베네수엘라 자동차 부품 시장은 노후 차량 중심의 특성과 중국산 부품의 높은 점유율로 인해, 한국산 부품이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동시에 물류, A/S 등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베네수엘라 시장은 독특한 환경과 제한적인 금융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현지 경험이 풍부한 기업과의 협력과 고객 대상 할부 결제 옵션 제공이 중요하다. 특히, 중국산 부품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물류 효율화와 신속한 사후관리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현지 유통망과 금융 여건에 맞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베네수엘라는 최신 시장 데이터 및 현황을 확인하기 다소 어려우며, 비교적으로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시장처럼 다가올 수 있으나, KOTRA 보고타 무역관은 베네수엘라를 관할하면서 지속적인 바이어 발굴 및 행사 개최를 추진하고 있으므로 상담을 통해 언제든 베네수엘라 시장 진입에 관심 있는 우리기업 지원이 가능하다.

 


자료: GTA, GACETA OFICIAL, SENIAT, World Bank, FAVENPA, Pexels 등 KOTRA 보고타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네수엘라 디젤 엔진 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