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 in 유럽' 개최기
- 현장·인터뷰
- 프랑스
- 파리무역관 곽미성
- 2025-05-23
- 출처 : KOTRA
-
KOTRA, 롯데,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공동 주최행사
유럽 13개국 바이어 100여 개사와 소비재 중소기업 50개사 B2B 상담 진행
행사 개요
2025년 5월 8일부터 13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유럽 판로개척을 위한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 in 유럽’이 개최됐다. 이는 KOTRA와 롯데,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공동 주최한 행사로, 유럽 바이어들이 밀집한 비즈니스 허브인 프랑스 파리에서는 처음 개최됐으며, 유럽 전체로는 2022년 독일 상담회 이후 두 번째다. 기업들의 지속적인 요청으로 3년 만에 다시 유럽 현지에서 K-브랜드를 소개하게 됐다.
<행사 개요>
행사명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 in 유럽
(2025 Korea Brand Expo in Europe)
주최 /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벤처기업부 /
롯데그룹, Kotra,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구분
B2C 판촉
B2B 상담
일시
5.8.(목)~11.(일)
5.12.(월)~13.(화)
장소
Porte de Versailles (파리)
Pavillon Vendome (파리)
참가 규모
소비재 중소기업 24개사
소비재 중소기업 50개사
유럽 13개국 바이어 100개사
내용
참가기업 제품 판촉전,
체험 이벤트
B2B 수출 상담회, B2B 쇼케이스
[자료: KOTRA 파리 무역관]
행사 내용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는 해외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B2B 상담 및 B2C 판촉을 지원하는 행사다. 2016년부터 롯데 홈쇼핑과 대중소 협력 재단의 동반진출 사업으로 시작됐고, 2022년부터 롯데그룹의 대표 동반성장 프로그램으로 확대됐다. KOTRA는 2017년부터 공동으로 주관하며 협력하고 있다.
<Pavillon Vendome 행사장에서 열린 행사 현장 모습>
[자료: KOTRA 파리 무역관 직접 촬영]
파리에서 열린 올해 행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4일간의 B2C 판촉 행사와 이틀 간의 B2B 상담 행사로 구성됐다.
우선, B2C 판촉 행사는 5월 8일부터 11일까지, 유럽 최대 소비자 박람회인 파리 종합박람회(Foire de Paris)와 연계해 진행됐다.
파리 종합박람회는 120년 전통을 보유한 박람회이자, 와인, 식품 등 소비재 전시판매전으로 매년 50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방문해 제품을 홍보, 구매하는 축제다. 올해 행사에는 4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B2C 판촉 행사에는 우리 기업 24개사가 참가했다. 특히 카이스트 연구진이 개발한 탈모 방지용 샴푸 ‘그래비티’, 발이 편한 신발 ‘르무통’ 등 국내 인기 브랜드 체험 공간에 약 4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했으며, 행사 기간 2350건의 판매 건수를 기록하며, 준비 물량이 완판되는 성과로 K-브랜드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5월 12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B2B 상담 행사에는 뷰티 기업(29개사) 외, 라이프 스타일(8개사), 식품(9개사), 패션(4개사) 분야의 국내 중소기업 50개사가 참여했다.
지난해 102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국내 화장품 수출 실적을 반영해 참여 기업의 60%가 뷰티 기업으로 구성됐다. 또한, KOTRA 유럽 지역 무역관을 통해 모집한 프랑스, 독일, 스페인 등 유럽 13개국 바이어 100여 개사가 참여했다. 총 511건의 상담과 6396만 달러 규모의 상담 실적이 집계됐으며, 상담을 마친 바이어 중 약 80% 이상이 적극적인 계약 진행 의사를 밝혀 이른 시일 이내 수출 실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행사 기간 참가 기업 상품 전시 쇼케이스가 진행됐고, 롯데 홈쇼핑 라이브커머스 ‘엘라이브’를 통해 파리 현장 라이브 방송도 진행됐으며, 행사 참여 기업 제품과 현지 인기 상품을 소개해 큰 호응을 얻었다.
<B2B 행사 참가기업 게시판 및 행사장 입구>
[자료: KOTRA 파리 무역관 직접 촬영]
참가 기업 및 바이어 인터뷰
① 참가 기업 N 사 인터뷰
N 사는 이번 코리아 브랜드 엑스포 2025에 처음 참가해 유럽 시장을 겨냥한 냉동 해산물 요리 키트를 선보였다. N 사는 2010년에 이 음식을 메인으로 레스토랑을 개업, 2019년 제조 공장 HACCP를 완료한 후, 2020년부터 B2B 사업을 시작한 기업이다. ‘인스턴트 라면보다 더 쉽게 빠르게 조리할 수 있고, 바나나보다 더 낮은 칼로리의 한국을 담은 건강 음식’이라는 점을 모토로 내세웠다.
N 사의 대표는 “수산물과 특별한 양념장을 개발해 만든 이 요리 키트가 유럽인들에게는 무척 생소할 수 있는 아이템이지만, 호기심을 가지고 시식을 해본 바이어들의 좋은 반응을 보면서, 이번 첫 유럽 전시회 참가에 큰 의미가 있다고 느꼈다. 특히 유럽 아시안 푸드 유통업체에서도 매우 큰 관심을 보이며, 앞으로 유럽 시장에서 해당 제품이 승산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평을 들었다. 일반 소비자들이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일반 식품점 외에도, 한국 식당으로부터 벌크 패키지 주문 문의도 들어왔다. 매운맛 레벨을 표기하고, 건강식품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우는 방식의 시식 홍보 마케팅에 대한 의견도 들었다. 앞으로 유럽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보일 것으로 생각한다”라며 기대감을 보였다.
② 바이어 P 사 인터뷰
프랑스 바이어 P 사는 이미 다양한 한국 식품들을 수입 유통하고 있으며, B2C와 B2B를 겸하는 대형 기업이다. P 사측은 "몇 년 전 150여 개의 한국 식품들을 수입했으 반응이 너무 저조해서 한국적 특색이 강한 식품보다는 유럽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터내셔널한 제품들을 만나보고 싶다"라는 의견을 앞서 밝힌 바 있었다.
이후 P 사 바이어는 이번 코리아 브랜드 엑스포 2025 전시장을 특별한 기대 없이 둘러본 다음, 마음에 드는 기업 한국 M 사, N 사와 현장 주선으로 미팅을 했는데, “몇 년 사이 바뀐 프랑스에서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기와 기대 이상의 높은 품질에 다시 한번 수입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한국 기업 M 사가 한국에서 제조한 고품질 음료에 관해 “유럽의 어린이와 젊은 세대에게 어필될 만한 캐릭터를 조합한 음료”라며 스낵 제품과 함께 높게 평가했으며, “냉동 해산물 요리 키트를 개발 제조한 N 사의 제품은 생소하지만, 맛의 수준이 무척 높고, 무엇보다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레시피가 있어 유럽 시장에서 충분히 새로운 한국 음식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본다"라며 기대감을 보였다.
시사점
이번 ‘브랜드 엑스포 in 유럽’ 행사는 한국의 뷰티를 비롯한 식품, 생활 소비재에 대한 유럽 소비자와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을 눈으로 확인할 기회였다. 무엇보다 현지 소비자 및 업계 종사자와의 직접적인 만남은 참가자들이 현지 시장의 특성과 구체적인 수요 내용을 알아갈 기회가 됐다. 유럽의 바이어들은 한국 소비재의 강점으로 고유의 독창성을 꼽고 있으며, 유럽 수출 과정에서 요구되는 절차와 규정에 대한 준비와 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K-콘텐츠 인기가 한국식 라이프 스타일과 한국산 소비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면서, K-Food에 대한 프랑스 소비자들의 수요가 그 어느 때보다 확장되고 있다. 친환경, 투명성 등이 강조되는 유럽 소비자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까다로운 수입 규제에 대응하면서, 유럽 시장에 맞는 다양한 방식의 마케팅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프랑스에서 격년으로 열리는 유럽 최대 규모의 식품 박람회 SIAL과 같은 행사에 참여해 영업 활동을 펼치는 것도 좋은 방법이므로, 유럽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
자료: KOTRA 파리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프랑스 '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 in 유럽' 개최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체코 고속철 프로젝트, 일부 구간 PPP 방식으로 연내 입찰 개시 예정
체코 2025-05-23
-
2
핀란드, SMR로 지역난방과 탈탄소화 모색...‘SMR Business Day 2025’ 참관기
핀란드 2025-05-22
-
3
중국 MZ세대 맘의 육아 혁명: 출산율 저하에도 中 유아용품 시장은 껑충
중국 2025-07-03
-
4
캐나다 화장품 라벨링 규정 A to Z
캐나다 2025-05-21
-
5
UAE 직원 고용 가이드 A to Z
아랍에미리트 2025-05-22
-
6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펼쳐진 K-모빌리티의 내일
미국 2025-07-01
-
1
2025년 프랑스 전력산업 정보
프랑스 2025-04-01
-
2
2024년 프랑스 항공 산업 정보
프랑스 2024-04-26
-
3
2024 프랑스 산업개관
프랑스 2024-04-25
-
4
2021년 프랑스 비디오게임 산업 정보
프랑스 2021-09-27
-
5
2021년 프랑스 자동차 산업 정보
프랑스 2021-09-24
-
6
2021년 프랑스 신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프랑스 202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