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AE 직원 고용 가이드 A to Z
- 투자진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경미
- 2025-05-22
- 출처 : KOTRA
-
UAE 인적자원부 권고에 따라 투명하고 합법적인 고용 절차 준수
프리존 구역에 위치한 기업이 아니라면 개정된 에미라티제이션 정책에 주목
UAE에 진출을 희망하거나 진출한 민간기업(Private Sector)은 UAE 인적자원부의 권고에 따라 고용주와 근로자 간 공정하고 합법적인 고용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이에 UAE 인적자원부에서 규정한 민간기업의 직원 고용 절차는 크게 1) 잡 오퍼 레터(Job Offer Letter), 2) 근로 허가(Work Permit), 3) 근로계약서(Employment Contract), 4) UAE 거주비자(Residence Visa) 발급 순으로 진행된다.
잡 오퍼 레터(Job Offer Letter)
UAE 노동법(Federal Decree-Law No. 33 of 2021)에 따라 고용주는 직원을 정식 고용하기 전에 입사일, 급여, 직무, 근로 조건 등이 명시된 잡 오퍼 레터를 제시해야 한다. 이 잡 오퍼 레터에 고용주 및 근로자 양측이 각각 서명할 경우 법적 구속력을 갖게 된다. 양측 서명 이후 고용주는 어떠한 조항도 변경하거나 대체할 수 없고 만약 변경을 원할 경우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UAE 인적자원부에서는 아래 내용들이 잡 오퍼 레터에 포함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잡 오퍼 레터 구성 내용>
구분
주요 내용
직위 및 직무 내용
근로자의 직위 및 직무에 대한 역할과 책임에 대한 설명
급여 및 혜택
기본급(Basic Salary), 각종 수당(주거 보조비, 교통비, 식비 등) 및 보너스 등 금전적 혜택에 대한 설명
근무 시간 및 위치
근무 시간 및 요일, 근무지에 대한 설명
수습기간
수습기간 및 이 기간에 고용이 취소될 수 있음을 설명
휴가
연차, 병가 및 기타 휴가에 대한 설명
근로 계약 기간
근로 계약 기간에 대한 설명
근로 해지 조항
고용주 혹은 근로자 중 한 명이 근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조건에 대한 설명
[자료: UAE 인적자원부, UAE Amer Center]
UAE 인적자원부에 양측의 서명이 들어간 잡 오퍼 레터 사본을 제출하면 UAE 인적자원부 데이터베이스에 자동 등록되고, 이후 민간기업은 해당 문서를 바탕으로 근로 허가증(Work Permit)을 신청할 수 있다.
근로 허가증(Work Permit)
외국인(한국인 포함)의 근로 허가를 신청하기 위해 기업은 유효한 UAE 사업자등록증(Trade/Commercial License)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UAE 노동법에 의거 UAE 인적자원부에서 규정된 고용 절차에 따라 발급된 근로 허가증(Work Permit) 없이 UAE에서 일하는 것은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된다. UAE 2022년 장관령 제37호(Cabinet Resolution No. 37 of 2022)는 근로 허가증 관련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근로 허가증 발급 및 갱신 비용은 250~3450 디르함(약 9만~130만 원)까지 상이하며 기업 분류 기준(티어 1~3)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기업 카테고리별 근로 허가증(2년) 발급 비용 – UAE 비거주자 대상>
구분
정의 및 특징
근로 허가증 발급 비용
티어 1
- UAE 노동법(Federal Decree-Law No. 33 of 2021) 시행규칙과 관련된 모든 절차와 MOHRE(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Emiratisation, 인적자원부)가 규정하는 근로 허가, 내·외국인 고용 계약, 임금 보호 시스템(WPS)을 준수하고 하기 조항 중 한 가지 이상 달성을 통해 높은 수준의 에미라티제이션을 달성한 기업
· 할당된 에미라티제이션 비율 최소 3배 이상 달성
· NAFIS*와 협력해 연간 최소 500명의 자국민 훈련
* 자국민(Emirati) 고용 촉진을 위해 UAE 정부가 운영하는 국가 차원의 인재 등록 플랫폼
· 젊은 자국민이 소유한 중소기업(SME) 또는 혁신 프로젝트
· 노동시장의 문화 및 인구 다양성을 촉진하는 훈련 및 고용센터
· 장관의 제안에 따라 각료 회의에서 결정한 경우
· ZONE CORP(아부다비에 위치한 산업단지) 입주기업
건당 250디르함
(갱신 동일)
티어 2
- UAE 노동법(Federal Decree-Law No. 33 of 2021) 시행규칙과 관련된 모든 절차 및 MOHRE가 규정하는 근로 허가, 내·외국인 고용 계약, 임금 보호 시스템을 준수해 에미라티제이션 요건을 충족한 기업
건당 1200디르함
(갱신 동일)
티어 3
- 문화적, 인구적 다양성을 촉진해야 하는 숙련 노동자 정책을 위반한 기업
- UAE 노동법(Federal Decree-Law No.33 of 2021) 시행 규칙, 행정 규정 및 MOHRE 장관이 위임한 각료 결정 사항을 위반한 기업
건당 3450디르함
(갱신 동일)
* AED 1 = KRW 378.6 (2025.05.16.)
* 주: Knowledge/Innovation Fees와 같은 부가세에 따라 금액은 상이할 수 있음
[자료: UAE 인적자원부]
현재 UAE에 거주하면서 거주비자(Residence Visa)를 소지한 사람을 고용할 경우 근로 허가증 발급 비용은 아래와 같다.
<근로 허가증(2년) 발급 비용 – UAE 거주자(Residence 비자 소지) 대상>
구분
발급 비용
청소년 근로 허가
50디르함
임시 근로 허가
50디르함
파트타임 근로 허가
50디르함
교육 허가
50디르함
근로자 Testing 허가
50디르함
UAE 거주비자 소지자 근로 허가
50디르함
골든비자 소지자 혹은 프리랜서 비자 소지자 근로 허가(2년)
250디르함
* 주: Knowledge/Innovation Fees와 같은 부가세에 따라 금액은 상이할 수 있음
[자료: UAE 인적자원부]
2024년 3월 6일부터 근로 허가 신청은 불필요한 종이 문서 작업 없이 정부 온라인 플랫폼 “Work Bundle (https://workinuae.ae/index-en.html)”을 통해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근로 계약서(Employment Contract)
근로계약서는 고용주 및 근로자 양측이 서명한 잡 오퍼 레터를 바탕으로 최종 서명돼야 한다. UAE 노동법에 따라 고용주는 근로자에게 최대 6개월까지 수습 기간(Probation period)을 부여할 수 있고 수습 기간 완료 후 계속 근무할 경우 완료한 수습 기간은 총 근무 기간으로 포함해 계산된다. 만약 고용주가 근로자의 수습 기간 내에 어떤 이유로든 해고할 경우 사전에 서면으로 통지해야 한다. UAE 노동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근무 형태의 유형은 아래와 같다.
<UAE 노동법에 따른 근무 형태 유형>
구분
정의
정규직(Full Time)
한 명의 고용주 아래 전일제로 근무
시간제 근로(Part Time)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요일에 한해 한 명 이상의 고용주를 위해 근무
임시직(Temporary Work)
특정 업무에 배정된 근로자, 업무 완료에 따라 계약 종료
유연 근무(Flexible Working)
고용주의 업무 니즈에 따라 근무 시간 및 요일 변동 가능
재택 근무(Remote Work)
직장이 아닌 외부에서 업무 수행 가능
잡 쉐어링(Job Sharing)
하나의 업무를 여러 근로자가 분담해 수행, 시간제 근로 방식의 규정으로 적용
[자료: UAE 정부 포털]
양측이 서명한 근로 계약서를 바탕으로 UAE 인적자원부에 입국 허가증(Entry Permit)을 신청해야 한다. 이 입국 허가증은 보통 60일간 유효하고 직원이 합법적으로 이 기간 동안 UAE에 체류할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고용주는 직원의 거주비자(Residence Visa)를 취득하기 위한 단계를 60일 이내에 마무리해야 한다. 추후, 이 입국 허가증이 UAE 거주비자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입국 허가증은 GDRFA(General Directorate of Residency and Foreigners Affairs) 웹사이트(https://www.gdrfad.gov.ae/en/services), ICP(Federal Authority For Identity, Citizenship, Customs & Port Security) 웹사이트 또는 앱(https://smartservices.icp.gov.ae/echannels/web/client/guest/index.html#/dashboard), DUBAI NOW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오프라인의 경우 ICP에 등록된 타이핑 센터(https://icp.gov.ae/en/typing-offices/) 또는 GDRFA에 등록된 타이핑 센터(https://www.gdrfad.gov.ae/en/customer-happiness-centers)를 직접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UAE 거주비자(Residence Visa)
본격적으로 UAE 거주비자를 신청하기 위해서 근로자는 UAE 정부에서 지정한 에미레이츠 보건센터(EHS, Emirates Health Services) 또는 UAE 보건청(MOHAP,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이 지정한 의료 기관에서 건강검진(Medical Fitness Test)을 받아야 한다. 기본적인 혈액 검사 외에도 결핵(TB, Tuberculosis), HIV/AIDS, 간염(Hepatitis B & C) 등 전염병 검사들로 구성돼 있으며 검진 결과는 24~48시간(VIP 30분, 최대 48시간) 이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과거에 폐결핵을 앓았지만, 현재는 비활성화된 상태인 폐결핵 상흔만으로도 건강검진 부적합 판정을 받을 수 있고, 이는 비자 발급 거절 사유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건강검진 적합 판정 결과가 나오면 고용주는 근로자 유형에 따라 그린비자(Green Visa), 거주비자(Residence Visa/Standard Work Visa), 골든비자(Golden Visa) 중 1개를 신청할 수 있다. 민간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2년짜리 거주비자를 제공받을 수 있고, 비자 발급에 필요한 비용은 보편적으로 기업 측이 모두 부담하는 편이다.
근로 허가증부터 UAE 거주비자 발급까지 일련의 과정은 민간기업에 소속된 인사팀에서 처리하거나 PRO(Public Relations Officer) 서비스 업체 또는 Tasheel 및 Amer Center와 같은 행정 기관을 통해서도 절차 대행을 신청할 수 있다.
<UAE 거주비자의 종류>
구분
정의 및 특징
거주 가능 기간
그린비자
(Green Visa)
- (프리랜서 혹은 자영업자) UAE 인적자원부에서 승인된 프리랜서 또는 Self-Employment 허가증 보유자
- (숙련 노동자) 법률가, 기업 임원 등 UAE 인적자원부에서 국제노동기구의 국제표준직업분류 기반으로 구분한 전문직이면서 월 급여 최소 1만5000디르함 이상(최소 학사 학위 보유)
5년
거주비자
(Residence Visa/Standard Work Visa)
- 근로계약을 체결한 외국인에게 기본적으로 발급되는 비자
2년
골든비자
(Golden Visa)
- 전문직(의사, 과학자, 운동선수, 투자자, 기업가, 박사학위 소지자)의 경우 신청 가능
- 고용주(Sponsor) 없이 비자 유지 가능
10년
[자료: UAE 정부 포털]
아울러 고용주는 근로자의 UAE 거주비자 발급 이후 UAE 정부에서 2023년부터 시행 중인 실업보험(ILOE, Involuntary Loss of Employment)을 의무 가입시켜야 한다. 실업보험료는 근로자가 월 또는 연 단위로 납부해야 하고, 만약 민간기업 근로자가 실업보험에 미가입할 경우 기업 측에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월 급여가 1만6000디르함(약 600만 원) 이하일 경우 연간 보험료 60디르함(약 2만2000원), 월 급여가 1만6000디르함(약 600만 원) 초과일 경우 연간 보험료는 120디르함(약 4만5000원)이다. UAE 실업보험제도 관련 내용은 아래 KOTRA 해외시장뉴스 자료에서 보다 상세히 확인 가능하다.
<UAE 실업보험제도 관련 자료>
제목
링크 주소
UAE, 국내 실직자 지원하고자 실업보험제도 도입('23.4.20)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HkqEKGiuSbCF.do
[자료: KOTRA 해외시장뉴스]
에미라티제이션(Emiratisation)
민간기업 고용주라면 UAE 정부의 고용 정책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2022년 5월에 공표한 장관령(Ministerial Resolution No. 279)에 따라 UAE 정부는 50인 이상 직원을 고용한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에미라티제이션’이라는 UAE 자국민(Emirati) 고용 의무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자국민 역량 개발과 고용 증대를 목표로 시행된 이 정책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숙련 노동자(Skilled Workers)에 대한 에미라티 직원 비율을 매년 2%씩 증가시켜야 하며, 2026년까지 총 10%의 에미라티 고용률을 달성해야 한다.
현재 UAE 사업자등록증 발행기관이 자유무역지대(Free Zone)일 경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고, 두바이 혹은 아부다비 경제관광부(The Department of Economy and Tourism)일 경우 의무 적용 대상이다. 에미라티제이션 정책을 준수하지 않는 민간기업은 2023년 1월부터 미채용된 에미라티 1인당 매월 6000디르함(약 227만 원)의 벌금이 부과되고, 이 금액은 2026년까지 매년 1000디르함(약 37만 원)씩 증가한다.
2023년 7월 10일 UAE 인적자원부는 민간기업 대상 에미라티제이션 정책에 대한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에 2024년부터는 20인 이상 49인 이하로 근로하는 민간기업도 2025년까지 최소 2명의 에미라티를 고용해야 한다. 이전에는 50인 이상 근로하는 민간기업 대상이었으나 대상의 범위가 확장됐고, UAE 정부는 적용 대상 14개 산업군을 아래와 같이 공표했다.
<에미라티제이션 적용 대상 14개 산업군>
정보 및 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행정 및 지원 서비스업
교육업
보건 및 사회복지업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업
광업 및 채석업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운송 및 물류업
호텔 및 숙박업
[자료: 2023년 장관령 제455호(Ministerial Resolution No. 455 of 2023)]
따라서 민간기업의 산업군이 위 14개 산업 분야에 속해 있고, 근로자가 20인 이상 49인 이하일 경우 에미라티제이션 고용 조건을 필수 충족해야 한다. 만약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아래 벌금을 부과받게 된다.
<에미라티제이션 미충족 기업 대상 벌금 기준>
구분
금액
2024년 중 에미라티를 고용하지 않은 경우(’25. 1월 기준)
9만6000디르함
2025년 중 에미라티를 고용하지 않은 경우(’26. 1월 기준)
10만8000디르함
[자료: 2023년 장관령 제455호(Ministerial Resolution No. 455 of 2023)]
만약 해당 목표 연도 종료 이후 에미라티 고용인 수가 감소할 경우, 최대 2개월 이내에 대체자를 고용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벌금을 즉시 납부해야 한다. 또한 2023년 4월 개정된 결의안(CABINET RESOLUTION NO. 44 OF 2023)에 따라 에미라티제이션 정책을 피하기 위해 근로자 수를 고의로 줄이거나, 직무를 임의로 변경할 경우 행정 처벌 또한 강화됐다. 1차 위반의 경우, 10만 디르함(약 3700만 원), 2차 위반의 경우 30만 디르함(약 1억1000만 원), 3차 이상 위반할 경우 50만 디르함(약 1억8900만 원)까지 벌금을 납부해야 한다. 위반 기업은 위반 이전 상태를 기준으로 연간 에미라티제이션 목표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에 UAE 메인랜드(Mainland)에 위치한 민간기업(20인 이상 근로자 보유)들은 2024년부터 에미라티를 고용 중이며, UAE 인적자원부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월 1일 기준 민간기업에서 총 13만1883명의 에미라티를 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UAE 에미라티제이션 정책 관련 내용들은 아래 KOTRA 해외시장뉴스 자료에서 보다 상세히 확인 가능하다.
<에미라티제이션 관련 자료>
제목
링크 주소
에미라티제이션의 진화 : UAE 노동 시장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전략(’25.2.28.)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qzXgxkG7ZAEz.do
UAE, 2025년부터 달라지는 정책 및 규제(’25.2.27.)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22B7iFKjqQGs.do
UAE 자국민 고용정책 'Emiratisation' 본격화(’22.9.15.)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d0ZLhNYCV4DF.do
[자료: KOTRA 해외시장뉴스]
시사점
UAE에 진출한 기업은 직원을 고용할 때 UAE 인적자원부 권고에 따라 투명하고 합법적인 고용 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근로 허가증부터 UAE 거주비자 발급까지 일련의 직원 고용 절차들은 PRO(Public Relations Officer) 서비스 업체 또는 Tasheel 및 Amer Center와 같은 행정 기관을 통해 절차 대행을 신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처럼 우리 진출 기업들이 직원(한국인 및 외국인 포함)을 고용하게 될 경우 거주비자 발급까지의 부대 비용도 있지만, 현지 노동법에 따라 근로자의 의료보험 가입도 필수적이므로 보험료에 대한 비용까지 인건비 예산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UAE 정부가 에미라티제이션과 같은 자국민 고용 장려 정책을 적극 시행하고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만약 UAE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경우, 자유무역지대에 법인을 설립하는 것도 에미라티제이션 정책 규제를 피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자료: UAE 인적자원부, UAE Amer Center, UAE 정부 포털, UAE 2023년 장관령 제455호(Ministerial Resolution No. 455 of 2023), KOTRA 해외시장뉴스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UAE 직원 고용 가이드 A to Z)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에미라티제이션의 진화 : UAE 노동 시장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전략
아랍에미리트 2025.02.28
-
2
UAE, 2025년부터 달라지는 정책 및 규제
아랍에미리트 2025.02.27
-
3
UAE, 국내 실직자 지원하고자 실업보험제도 도입
아랍에미리트 2023.04.20
-
4
UAE 자국민 고용정책 'Emiratisation' 본격화
아랍에미리트 2022.09.15
-
1
글로벌 바이어가 주목한 프리미엄 홈라이프: 제137회 캔톤페어 2기 현장과 우리기업의 대응 전략
중국 2025-05-22
-
2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100일, 주요 정책 리뷰 세미나 참관기
미국 2025-05-22
-
3
호주 제조업의 미래를 보다: Australian Manufacturing Week 2025 참관기
호주 2025-05-22
-
4
독일 노동시장 현황과 신정부의 정책 방향
독일 2025-05-21
-
5
핀란드, SMR로 지역난방과 탈탄소화 모색...‘SMR Business Day 2025’ 참관기
핀란드 2025-05-22
-
6
두바이발 무역·투자·대출 사기 사례 유형 총정리
아랍에미리트 2025-05-21
-
1
2024 UAE 우주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10-28
-
2
2024년 UAE 방산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9-25
-
3
2024년 UAE 건설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4
2024년 UAE 전력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5
2024년 UAE 청정에너지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4-29
-
6
2021년 UAE 건설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