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반찬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5-05-28
  • 출처 : KOTRA

무첨가ㆍ저염ㆍ무당 등 건강한 제품 수요 증가

젊은 소비층을 잡기 위해 차별화된 맛의 제품 개발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품명

HS Code

반찬

200599

 

시장 동향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 따르면, 2024년 중국 반찬 시장 규모는 약 182억 위안(약 3조5284억 원)으로 전년 대비 3.3% 성장했다.

 

<중국 반찬 시장 규모 현황>

(단위:  위안)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종류별로 보면, 반찬의 점유율 순위는 절임류(泡菜类, 60.3%), 장아찌류(酱菜类, 9.9%), 짜차이류(榨菜类, 6.1%) 순이었다. 절임류가 매출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다양한 선호를 반영한 기타 반찬류가 꾸준히 출시되며 반찬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이 매년 증가하는 모습이다.

 

<중국 반찬 시장 종류별 점유율>

(단위: %)

 

[자료: 쯔옌컨설팅(智研咨询)]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중국 반찬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 성장을 유지해 2029년 233억 위안(약 4조5174억 원) 규모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 반찬 시장 규모 전망>

(단위: 억 위안)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수입 동향

 

지난해 중국의 반찬 수입은 전년도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반찬 수입 규모는 약 693만 달러로 전년 대비 34.1% 감소했다.

 

<중국 반찬 수입 추이>

(단위: US$ )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국가별로 보면, 2024년 중국 반찬 수입액에서 멕시코산이 178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이탈리아산이 77만 달러, 독일산이 72만 달러, 인도네시아산이 66만 달러, 호주산이 55만 달러 순이었다.

 

<주요 국가별 반찬 수입 현황>

(단위: US$ , %)

순위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률('24/'23)

 

총계

 6,019

 10,518

 6,927

 -34.1

1

멕시코

 730

 1,495

 1,778

 18.9

2

이탈리아

 640

 814

 766

 -5.9

3

독일

 740

 934

 721

 -22.8

4

인도네시아

 114

 217

 661

 204.1

5

호주

 259

 410

 554

 35.0

6

대만

 786

 616

 524

 -15.0

7

스페인

 305

 363

 459

 26.4

8

미국

 259

 2,864

 302

 -89.5

9

태국

 558

 1,121

 278

 -75.2

10

베트남

 451

 326

 206

 -36.7

11

폴란드

 58

 157

 126

 -20.2

12

북한

0

0

 101

 73,223.9

13

한국

 502

 641

 80

 -87.5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대비 87.5% 감소한 8 달러로 전체 수입국에서 13위를 기록했.

 

<중국 대한국 반찬 수입 추이>

(단위: US$ )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경쟁 동향

 

반찬 산업은 노동집약적이며 시장 진입장벽이 높지 않아 메이저 업체 아니라 소규모 제조업체들이 난립해 있는 상황이다. 소규모 업체의 제품군은 대부분 중저가 상품에 집중돼 있으며, 저렴한 가격은 중국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한편, 프리미엄 시장은 우장(乌江), 위취안(鱼泉)  자금력과 대규모 유통망을 보유한 대기업에 의해 주도되는 모습이다.

 

<중국 반찬 시장 업체별 점유율>

(단위: %)

 

[자료: chinabaogao(中国报告大厅)]

 

소비자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면서 반찬 시장이 전반적으로 품질의 고급화ㆍ브랜드화ㆍ다양화 추세다. 높은 기술력과 제품력을 보유한 대기업들의 시장 집중도가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저염ㆍ유기농ㆍ무첨가 등 건강함을 표방한 제품과 소비자의 다양한 입맛을 만족시키기 위한 신제품 역시 잇달아 출시되고 있다.

 

<중국 반찬 시장 주요 인기 상품>

제품명

브랜드

제품 사진

가격

원산지

저염 짜차이

(清淡榨菜丝)

우장

(乌江)

0.99위안/30g

중국

저염 짜차이

(轻盐榨菜)

위취안

(鱼泉)

 

1.9위안/80g

중국

구경양배추 장아찌

(金丝酱菜)

류비쥐

(六必居)

 

5위안/70g

중국

어린이 짜차이

(学生榨菜)

Vegeteble

(味聚特)

1.9위안/63g

중국

말랭이 무침

(萝卜干)

판사오광

(饭扫光)

 

11.9위안/302g

중국

미역죽순무침

(海带笋丝)

BAO SHI

(宝食)


1.5위안/70g

중국

둬자오 꽁차이

(剁椒贡菜)

PU JIANG

(璞匠)

 

22.8위안/238g

중국

간란차이

(橄榄菜)

펑성

(蓬盛)

 

14.9위안/450g

중국

메이차이죽순무침

(梅菜笋丝)

TONG QIAN QIAO

(铜钱桥)

3위안/118g

중국

맛김치

JONGGA

(宗家府)

5위안/80g

한국

[자료: Tmall(天貓), KOTRA 선양무역관 정리]

 

유통 구조

 

중국  반찬 판매는 오프라인 매장이 주된 채널이나 최근 온라인 시장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2024년 반찬 판매에서 오프라인의 비중은 약 89%를 차지했으며, 온라인 시장의 비중은 11%로 2019년 4.7%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중국 반찬 소매채널별 판매 점유율>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수입 인증과 관세율

 

중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포장 식품은 반드시 중문으로 표기된 라벨을 부착해야 한다. 중문 라벨은 제품 명칭과 원산지, 제조업체명, 중국 내 대리상 명칭,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해야 한다.

 

<포장 식품 라벨 표시사항>

NO.

표기사항

1

식품명 / 원산지

2

생산업체의 명칭 주소, 연락처, 대리인 정보

3

생산일, 품질보증기간, 저장방법

4

순중량, 고형물 함량 (정량 포장일 경우)

5

영양성분표시

6

생산업체가 적용한 제품표준코드

7

식품의 품질등급, 가공기술 (식품표준이 요구할 경우)

8

식품생산허가(SC) 번호

9

중문 주의사항 또는 경고마크

10

수출국 식품위생 인증로고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중국으로 식품을 수출하는 모든 해외생산기업은 사전에 수입식품 해외생산기업 등록을 해야 한다. 등록 완료 후 등록 번호를 받은 기업만이 식품 수출을 할 수 있으며, 중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식품의 내ᆞ외부 포장에 해외생산기업의 중국 등록번호를 표시해야 한다.

 

<수입 식품 해외생산기업 등록 절차>

주관 기관

중국 해관총서

홈페이지

www.singlewindow.cn

등록 절차

 

인증비용

무료

인증소요기간

1주

인증유효기간

5년

제출서류

1. 업체 등록 신청서

2. 업체의 신분 증명 서류(예: 사업자등록증 등)

3. 본 규정의 요구에 부합한다는 것을 보장하는 기업의 성명

[자료: 중국 해관총서]

 

반찬 HS코드는 2005.99이며 한국으로부터 수입 13%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된다.

 

<반찬 관세율(2025)>

HS CODE

수입관세율

부가가치세율

소비세율

최혜국

한중FTA

RCEP

APTA

2005.99

5%

0%

15%

0%

13%

-

[자료: 취안룬퉁(全润通)]

 

시사점

 

중국의 반찬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 증가와 웰빙 개념 확산으로 저염ㆍ유기농ㆍ무첨가 건강함을 표방한 제품이나 젊은 소비자를 겨냥한 새로운 맛의 제품 대한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한편, 중국 반찬 시장은 수많은 기업들이 이미 진출해 있는 만큼 경쟁이 치열해 신규 브랜드의 생존이 쉽지 않은 곳으로 꼽힌다. 우리 업체들이 중국 반찬 시장에 진출해 살아남기 위해서는 고급화 및 차별화 전략에 집중해야 하며,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반찬이나 고품고기능의 제품을 개발해 중국에 특화된 수출 전략을 수립해야 것이다.

 

 

자료: Euromonitor, 쯔옌컨설팅(智研咨询), chinabgao(中国报告大厅), 한국무역협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취안룬퉁(全润通), Tmall(天貓), 중국 해관총서, KOTRA 선양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반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