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전자집적회로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김현재
- 2025-05-16
- 출처 : KOTRA
-
일본 전자집적회로 산업 회복세 및 수입감소에 따른 대응 전략 다변화 필요
상품 정보
<상품명 및 HS코드>
HS코드
상품명
854239
- HS 8542(4자리): 전자집적회로
- HS 854239(6자리): 기타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 수입통계품목표]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란 하나의 실리콘 반도체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 다이오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부품을 한 장의 기판(칩) 위에 결합한 전자 부품을 의미한다. IC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등 부품의 크기는 nm(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단위로 측정될 정도로 매우 미세하며 IC에는 이러한 전자 제품이 수 mm에서 20mm 정도 크기의 칩 위에 수천만 개에서 수십억 개나 배치돼 있다. 이러한 IC는 고도의 처리능력과 대량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이를 활용해 컴퓨터의 마이크로프로세서(MPU, CPU),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메모리, 센서, 전원 회로 등 다양한 종류의 IC가 개발되고 있다.
IC는 처리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IC, 디지털 IC, 혼합 IC 세 가지로 구분된다. 아날로그 IC는 빛, 소리, 압력, 온도, 심박수 등 연속적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IC로 트랜지스터의 증폭 기능을 활용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처리한다. 아날로그 IC는 신호 증폭, 필터링, 전력 변환 등에 사용되며 오디오 기기, 무선 통신, 전원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디지털 IC는 0 또는 1이라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IC로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의 스위칭 동작을 활용해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 디지털 IC는 컴퓨터, 스마트폰, 기타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되며 고속도의 정확한 계산능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혼합 IC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IC로 동일한 IC 내에 아날로그 회로와 디지털 회로가 공존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그 역방향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혼합 IC는 양 유형 신호처리의 가교 역할을 한다.
시장 동향
일본은 과거 반도체 분야에서 높은 세계 점유율을 보였으며, 2000년 IC 생산액은 4조4000억 엔을 넘어섰으나 그 이후 한국과 대만 등 해외 제조업체의 강세에 밀려 쇠퇴했으며, 2020년에는 1조7070억 엔으로 정점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 전환(DX)의 가속으로 가전제품, 자동차,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반도체 수요가 국내외로 증가했고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일본 내 생산이 회복세를 보인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월별 생산액은 2024년 10월까지 13개월 연속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두 자릿수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2024년 1~10월 일본의 전자집적회로 누적 생산액 또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2.6% 증가한 2조2299억 엔으로 이미 2023년 연간 생산액인 2조1082억 엔을 뛰어넘었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기준 일본의 기타 전자집적회로(HS 854239) 수입금액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1.7% 감소한 102억401만 달러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줄곧 감소세를 보였다. 국가별 수입을 살펴보면 3년 연속 60% 내외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대만이 압도적 1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절대적인 수입액은 2022년의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한편, 일본의 전자집적회로 수입국 기준으로 한국은 2022년에는 2위, 2023년에는 5위를 기록하다가 2024년에는 6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을 살펴보아도 2022년에는 8.0%지만 2023년, 2024년에는 그 절반 수준인 4%대를 기록하고 있다.
2024년 수입액이 현저히 감소한 이유로는 일본 정부의 경제 안보가 저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일본 정부는 경제 안보상 중요물자로 지정한 반도체 분야의 설비투자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반도체 신공장이 잇따라 가동되는 2025년 이후 IC의 일본 국내 생산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최근 3개년 전자집적회로(HS 854239)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2022
2023
2024
증감률(’24/’23)
-
전체
17,231,698
(100%)
14,946,171
(100%)
10,204,016
(100%)
-31.7
1
대만
10,327,715
(59.9%)
9,814,008
(65.7%)
5,883,918
(57.7%)
-40.1
2
태국
722,469
(4.2%)
656,408
(4.4%)
637,148
(6.2%)
-2.9
3
미국
1,084,177
(6.3%)
942,485
(6.3%)
629,251
(6.2%)
-33.2
4
중국
1,134,070
(6.6%)
749,328
(5.0%)
576,807
(5.7%)
-23.0
5
싱가포르
492,963
(2.9%)
419,551
(2.8%)
547,983
(5.4%)
30.6
6
한국
1,382,721
(8.0%)
628,115
(4.2%)
485,188
(4.8%)
-22.8
7
말레이시아
785,293
(4.6%)
626,730
(4.2%)
481,928
(4.7%)
-23.1
8
필리핀
507,702
(2.9%)
430,727
(2.9%)
444,557
(4.4%)
3.2
9
독일
317,639
(1.8%)
256,080
(1.7%)
268,108
(2.6%)
4.7
10
아일랜드
117,534
(0.7%)
152,611
(1.0%)
59,126
(0.6%)
-61.3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 4. 21.), 괄호 안은 점유율, 순위는 2024년 기준]
경쟁동향
제조사명
이미지
특징
소니
- 이미지 센서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자동차, 산업용 로봇 등에 납품하고 있음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 MCU(마이크로 컨트롤러), SoC(System-on-Chip), 아날로그 및 전력 반도체 분야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음
- 최근 산업용 및 IoT 분야로 사업을 확장
키옥시아
- 도시바의 NAND 플래시 메모리 사업에서 분사해 자회사로 설립된 기업으로, 2024년 3분기 기준 글로벌 NAND 플래시 메모리 시장에서 15.1%의 점유율(세계 3위)을 차지
- NAND 플래시메모리, SSD, eMMC, UFS 등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성능 NAND 개발에 주력
로옴
- 전력 반도체(SiC, GaN), 아날로그 IC, 센서, 저항기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음
- 전기차 및 산업용 전력 제어 분야에서 강점을 보임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 구조
집적회로의 최종 사용자에게 달하기까지 주요 공급망 흐름은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일본의 집적회로 유통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직접판매와 상사를 통한 간접 유통이다. 직접판매란 반도체 제조사가 최종 고객에게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대량 주문 고객이나, 기술적 요구 조건이 정교한 고객과의 거래에서 주로 적용된다. 반면, 상사를 통한 유통은 반도체 상사가 다양한 제조사의 제품을 한곳에서 취급하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을 소량으로 필요로 하는 고객에게 적합하며, 상사가 재고관리, 수요예측, 물류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어 적정한 단가에 유연성이 필요한 중소 규모 기업 고객에게 주로 적용된다.
<집적회로(IC) 반도체 제조공정 및 유통 과정>
[자료: 일본 경제산업성,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자료 종합해 KOTRA 도쿄무역관 제작]
관세율
HS코드
상품명
관세율
854239
- HS 8542(4자리): 전자집적회로
- HS 854239(6자리): 기타
기본, WTO협정 모두
무관세(無稅)
인증 및 수출규제
일본에서 집적회로 반도체의 제조 및 판매에 필요한 별도의 인증은 없다. 수출규제와 관련해서는 최근 일본 경제산업성이 안전보장 무역관리 제도의 일환으로 군사전용이 가능한 화물 또는 기술이 우려국 또는 테러리스트에게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무기에 대한 캐치올 규제 강화’를 위한 각의 결정을 실시했다. 이는 안보상 우려가 높지만 리스트 규제의 대상이 아닌 화물 중 특정품목에 대해서는 UN무기금수국이 아닌 일반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수출일지라도 용도 요건과 수요자 요건 등 객관 요건을 적용해 경제산업성의 허가 취득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정품목 중에는 집적회로(HS 854231, 854232, 854233, 854239)가 포함돼, 한국을 우회한 제3국으로의 최종 수출을 계획하고 있을 시 유의해야 한다.
시사점
일본의 집적회로(IC) 산업은 과거의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의 쇠퇴를 딛고, 디지털 전환 수요 확대와 정부 주도의 산업 재건 정책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인다. 특히 대만의 TSMC 공장이 있는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제조 투자와 생산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수입 의존도는 점차 낮아지고 있다. 반면, 한국의 IC 수출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단순 공급자 역할에서 벗어난 전략 전환이 요구된다. 또한, 일본은 반도체를 안보 자산으로 간주하며 이와 관련된 법령 제∙개정 및 통제 강화에 나서고 있어, 한국기업이 일본 시장은 물론 제3국을 통한 우회 진출을 도모할 경우 수반되는 리스크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생성형 AI의 확대, EV용 파워반도체 확산은 집적회로에 대한 수요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임을 방증한다. 한국 기업은 기존에 우위를 점하던 제품의 경쟁력 외에도 현지 수요처의 기술 사양 대응, 인증 요건 변화, 유통채널 최적화 전략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중장기적으로는 일본 정부의 반도체 산업 자립 정책에 따라 공급자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협력 모델 개발과 현지화 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료: 경제산업성, JETRO, 지지통신, Global Trade Atlas, 테스콤미디어, 히타치,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로옴, 소니 세미콘, 키옥시아, KOTRA 도쿄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전자집적회로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금속 성형 가공 기계 시장 동향
미국 2025-05-30
-
2
미국 항공기 부품 시장 동향
미국 2025-05-16
-
3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 동향
태국 2025-05-14
-
4
방글라데시 자동차 엔진오일 시장동향
방글라데시 2025-05-15
-
5
급변하는 경쟁환경 속, 일본산 AI는 지금 어디까지 왔나
일본 2025-05-15
-
6
미국 물류 자동화의 미래, 로보틱스가 만드는 아마존의 스마트 창고
미국 2025-05-16
-
1
2025년 일본 농산물 산업 정보
일본 2025-07-03
-
2
2024년 일본 에너지산업 정보
일본 2024-11-19
-
3
2024 일본 리튬이온 전지 산업 정보
일본 2024-11-18
-
4
2021년 일본 석유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5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6
2021년 일본의 산업 개관
일본 2021-12-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