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네덜란드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 상품DB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한문갑
  • 2025-05-23
  • 출처 : KOTRA

공기청정 기능과 냉각효과 등이 합쳐진 2-in-1 제품 인기

코로나19 이후 교실, 사무실과 집안 내 청결에 대한 관심으로 수요 지속

상품명 및 HS코드


HS코드

상품명

8421

원심분리기(원심탈수기 포함), 액체 또는 기체용 여과기 및 청정기

8421.39

기타



공기청정기는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상 HS코드 8421에 속한다. 이 코드는 '원심분리기(원심탈수기 포함), 액체 또는 기체용 여과기 및 청정기’를 포괄하는 품목군이다. 이 가운데 공기청정기와 같은 제품은 세부 분류인 8421.39로 분류된다. 이는 공기 중의 먼지, 냄새, 유해 물질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 가정용은 물론 산업용 제품도 포함된다. 무역 서류 작성 시 HS코드 8421.39를 정확히 표기하는 것은 통관 지연을 방지하고, 수출입 시 세율이나 인증 조건을 명확히 적용받는 데 매우 중요하다.


시장동향


2024년 네덜란드에서 판매된 공기처리기기(air treatment appliances)는 총 116만4100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약 2% 증가한 수치다. 제품 유형별로는 공기냉각기기(에어컨 및 냉각팬 등)의 판매량이 56만1600대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공기청정기 44만7100대 가습기 9만5000대 제습기 6만400대로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 고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네덜란드 내 에어컨과 냉각 팬 등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대부분의 주택과 아파트에 에어컨 설치율이 낮은 상황이기 때문에, 향후 냉방기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게 전망되고 있다. 한편, 2024년 한 해 동안 공기청정기 판매는 전년 대비 8% 증가했다. 그중에서도 공기정화 기능과 냉각 기능이 결합한 2-in-1 제품이 높은 인기를 보였다. 모던한 디자인을 갖춘 복합형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2010~2028년 네덜란드 공기처리제품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천 대)

 

[자료: Euromonitor]


공기청정기 수요는 이미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많이 증가한 바 있다. 위생 및 청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졌고, 이를 일상에서 유지하려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수요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또한 팬데믹 이후, 건강과 웰빙에 대한 인식 확대, 도시 내 알레르기 및 천식 등 호흡기 질환 증가, 그리고 실내 공기질에 대한 우려가 공기청정기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에는 대기오염을 외부 환경 문제로 여겼지만,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실내 공기질이 외부보다 더 나쁠 수 있다는 경고도 이어지고 있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네덜란드의 공기청정기 제품(HS Code 8421.39) 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25.7% 증가한 4억567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고온 현상과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른 수요 확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2024년 기준 주요 수입국은 독일(점유율 20.1%) 중국(15.3%) 미국(11.9%)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중국산 공기청정기 수입액은 전년 대비 무려 198.8% 증가해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는 가격 경쟁력 및 복합 기능 탑재 모델 확대 등의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4년 기준, 네덜란드는 한국으로부터 310만 달러 규모의 공기청정기를 수입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55.0% 증가한 수치다. 한국산 제품은 기능성, 디자인, 브랜드 신뢰도를 바탕으로 해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점유율 확대를 보이고 있다. 한편, 네덜란드의 공기청정기 주요 수입국 Top 10 중 아시아 국가는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이 포함돼 있으며, 이들 세 국가 모두 2023년 대비 수입액이 큰 폭으로 증가해 아시아 제품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는 추세다.


<네덜란드 공기청정기 제품(HS Code 8421.39) 수입 동향>

(단위: US$ 만,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46,195

36,341

45,670

100.0

100.0

100.0

25.7

1

독일

10,086

10,565

9,179

21.8

29.1

20.1

-13.1

2

중국

3,943

2,341

6,994

8.5

6.4

15.3

198.8

3

미국

3,893

4,786

5,449

8.4

13.2

11.9

13.9

4

말레이시아

11,430

1,860

4,723

24.7

5.1

10.3

153.9

5

남아공

716

1,159

3,476

1.5

3.2

7.6

199.9

6

벨기에

1,876

2,427

2,935

4.1

6.7

6.4

20.9

7

영국

2,872

2,750

2,516

6.2

7.6

5.5

-8.5

8

프랑스

1,367

1,206

1,405

3.0

3.3

3.1

16.5

9

이탈리아

1,050

987

1,010

2.3

2.7

2.2

2.3

10

태국

324

567

997

0.7

1.6

2.2

75.8

18

한국

399

200

310

0.9

0.6

0.7

55.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7.)]


경쟁 동향


현재 네덜란드 공기청정기 시장에서 주목받는 브랜드로는 다이슨(Dyson)과 샤오미(Xiaomi)가 대표적이다. 다이슨은 비교적 높은 가격대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와 성능을 바탕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공기 청정 기능에 난방 및 냉각 기능까지 결합한 혁신적인 모델을 지속 출시하며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한편,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을 중시하는 소비자층에게는 샤오미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실용적인 기능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젊은 층 및 중저가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는 모습이다. 제품 선택 시 네덜란드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중 하나는 소음 수준(데시벨)이다. 프리미엄 제품군의 경우, 기본적인 공기 정화 기능은 대부분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냉난방 기능, 습도 조절 등 부가 기능의 유무와 디자인, 기술 혁신성 등이 주요 경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네덜란드 공기청정기 제조사별 인기 제품>

브랜드/모델명

제품 특징

이미지

Venta

LP60

- 3중 듀얼 필터 시스템

- 최대 사용 면적: 75㎡까지 커버 가능해 넓은 공간에 적합

- 전력 소모가 적고, 소음도 매우 낮아 24시간 사용에 적합

Xiaomi

Air Purifier 4

- 3중 필터 시스템

- 음이온 방출 기능

- 스마트 기능: OLED 디스플레이로 공기질, 온도, 습도 실시간 표시. Mi Home 앱 연동 및 음성 제어

Philips

AC0820/10

- 바이러스, 알레르기 및 오염물질 99.9% 제거

- 대기모드에서 소음 없이 기 정화, 표시등, 불빛 최소화

Dyson

HP09

- 3-in-1 기능: 공기청정기, 온풍기, 선풍기 기능

- HEPA H13 필터: 0.1마이크론 크기의 초미세먼지까지 99.95% 제거하며, 알레르기 유발 물질, 박테리아, 냄새, 가스 등도 포집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 구조


네덜란드 공기청정기 시장에서는 이커머스(e-commerce) 채널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는 추세다. 특히 가전제품 온라인 유통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했으며, 이후에도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Media Markt 등 전통적인 오프라인 유통망도 여전히 일정 수준의 시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전체 유통 채널 중에서 그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네덜란드 소비자들은 가격 비교, 상품 리뷰 확인, 빠른 배송 등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공기청정기와 같은 가전제품 구매에서도 온라인 플랫폼 활용도가 높아지는 모습이다.

 

관세율 및 인증


한-EU FTA 협정에 따라, 공기청정기(HS Code 8421.39)의 EU 수출 시 관세율은 0%가 적용된다. 그러나 무관세 혜택과 별개로, 유럽연합(EU)의 환경 및 제품 안전 규제는 엄격하게 적용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공기청정기와 같은 전기·전자 장비는 EU 수출 시 반드시 RoHS 지침(Directive 2011/65/EU)을 준수해야 한다. RoHS는 납(Pb), 카드뮴(Cd), 수은(Hg), 6가 크롬(Cr6+) 등 특정 유해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로, 정해진 농도 이상이 포함된 제품은 EU 시장 내 유통이 금지된다. 또한, WEEE 지침(Directive 2012/19/EU)에 따라, 제조업체와 판매자는 제품의 수거, 재활용, 재사용, 해체 및 복구와 관련된 의무를 부담해야 한다. 이는 EU 내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전환을 위한 핵심 규제로, 수출업체는 제품 출시 전 관련 인증 및 등록 요건을 철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시사점


네덜란드 공기청정기 시장은 실내 공기질과 건강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실내 활동 시간이 늘어나고, 오염물질 및 알레르기 유발 요인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면서, 공기청정기는 일상생활에서 점점 더 필수적인 가전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호흡기 건강에 대한 우려가 사회 전반에 퍼지면서, 최근 전 세계적인 보건 위기를 계기로 청정한 공기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된 것도 수요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덜란드 정부 차원에서도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조치를 적극 추진 중이다. 예를 들어, 교육문화과학부는 학교 교실 내 이산화탄소(CO₂) 측정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일부 학교에서는 공기청정기 도입을 시범적으로 확대 적용하는 등 공공부문에서도 관련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흐름을 고려할 때, 공기청정기 제품의 네덜란드 시장 내 전망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NOS, fd.nl,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네덜란드 공기청정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