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반려동물 사료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오사카무역관 하마다유지
  • 2025-05-23
  • 출처 : KOTRA

코로나 19사태를 계기로 반려동물 사료 시장 확대

개보다 고양이 관련 제품에 수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이익을 창출하는 추세

상품명 및 HS 코드

 

일본의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반려동물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고급화 트렌드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HS코드 2309.10에 해당하는 반려동물용 조제식료품은 수입 품목 중에서도 비중이 크며, 기능성·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해외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력이 높은 일본 시장은 품질과 안전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 수입업체에는 철저한 품질관리와 일본 기준에 맞춘 제품 기획이 요구된다.


HS Code

범주

2309.10

개나 고양이용 사료(소매용으로 한정한다)

[자료: 일본 재무성]

 

<제품 이미지>

[자료: 기업 홈페이지]

 

시장 동향

 

2023년도 일본의 반려동물 사료 시장 규모(제조사 출하액 기준)는 전년 대비 6.3% 증가한 4878억 엔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 바 있다. 품목별로는 개 사료가 1994억 엔, 고양이 사료가 2676억 엔, 그 외 소형 동물·조류·어류용 사료 등 기타 반려동물 사료가 209억 엔으로 추산됐다.


이러한 시장 확대의 배경에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제품 가격 인상이 일정 부분 작용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반려동물과의 접촉 시간이 증가하고 신규 반려가구가 늘어난 점도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비교적 관리가 용이한 고양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고양이 관련 제품의 수요 확대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일본의 인구 감소와 맞벌이 세대 증가에 따른 수요 감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응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이나 일본산 제품의 수출을 모색하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반려동물 사료 시장규모 추이 (출하액 기준)>

(단위: 억 엔, %)


2019

2020

2021

2022

2023

(전망)

2024

()

2025

(예측)

2026

(예측)

유형

개사료

1,677

1,767

1,792

1,876

1,994

2,038

2,066

2,114

(전년 대비 증감률)

+0.5

+5.3

+1.4

+4.7

+6.3

+2.2

+1.4

+2.3

고양이사료

2,009

2,168

2,332

2,507

2,676

2,815

2,973

3,125

(전년 대비 증감률)

+8.5

+7.9

+7.6

+7.5

+6.7

+5.2

+5.6

+5.1

기타사료

183

194

199

206

209

208

208

208

(전년 대비 증감률)

+1.0

+6.3

+2.2

+3.9

+1.1

-0.1

+0.0

-0.3

반려동물 사료 합계

3,869

4,129

4,323

4,590

4,878

5,061

5,247

5,447

(전년 대비 증감률)

+4.5

+6.7

+4.7

+6.2

+6.3

+3.7

+3.7

+3.8

* 주: 회계연도 기준 (4월부터 다음 해 3월 말)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HS 코드 2309.10의 2024년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3.2% 증가한 7억4813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중 태국산 제품이 약 41%를 차지해 최대 수입국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중국, 한국, 미국 순으로 수입 비율이 높았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24년에 전년 대비 약 6.3% 증가한 7528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산 반려동물 사료의 일본 내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최근 3년간 수입 동향 (HS Code 2309.1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 세계

752,787

725,010

748,132

100.0

100.0

100.0

3.2

1

태국

306,882

307,790

309,439

40.8

42.5

41.4

0.5

2

중국

112,130

111,134

114,062

14.9

15.3

15.2

2.6

3

한국

72,019

70,846

75,280

9.6

9.8

10.1

6.3

4

미국

60,737

46,015

48,832

8.1

6.3

6.5

6.1

5

네덜란드

36,405

28,359

35,400

4.8

3.9

4.7

24.8

6

호주

33,970

25,264

28,877

4.5

3.5

3.9

14.3

7

캐나다

20,735

24,561

25,541

2.8

3.4

3.4

4.0

8

체코

20,622

15,152

19,770

2.7

2.1

2.6

30.5

9

영국

15,754

19,510

19,186

2.1

2.7

2.6

-1.7

10

이탈리아

13,298

16,573

16,256

1.8

2.3

2.2

-1.9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5.22)]

 

경쟁 동향

 

2023년도 매출액 기준 1위인 Mars Japan은 개와 고양이용 사료를 중심으로 제품을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상온 파우치 타입 제품에 강점을 보인다. 최근에는 무첨가 또는 기능성을 강조한 고부가가치 제품군의 판매가 호조를 나타내고 있다. 업계 2위인 Inaba Petfood는 매년 10% 이상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고양이용 사료의 판매가 두드러진다. 드라이 타입보다 웨트 타입 제품의 판매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반려동물의 소형화 및 고령화 추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고가격대의 프리미엄 사료 시장에서는 Royal Canin Japan, Hill’s Colgate Japan 등 해외 브랜드가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이들은 고기 함량, 건강 기능성, 반려동물별 맞춤식 제공 등의 프리미엄 요소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Petline은 동물 병원 전용 펫푸드 제품을 새롭게 개발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산 요법식 ‘Dr.'s Care’, 종합 영양식 ‘Dr.'s Diet’, 그리고 요법식 ‘Dietics(다이에틱스)’ 등의 브랜드를 중심으로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매출액 순위 (2023년도 출하액 기준)>

순위

기업명

1

Mars Japan

2

INABA-PETFOOD

3

Unicharm

4

ROYAL CANIN JAPON

5

Nestle Japan

6

PETLINE

7

Hill’s Colgate Japan

8

Marukan

9

Doggyman Hayashi

10

Petio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유통 구조

 

일본 반려동물 사료 유통 시장에서는 Lovely Pet과 Japell이 대표적인 전문 도매 상사로 자리 잡고 있다. 수입업체와 제조업체 대부분은 이들 도매상을 통해 홈센터, 양판점, 드러그스토어 등 주요 소매 채널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두 업체는 특히 홈센터에서 35.1%, 드러그스토어에서 24.7%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전문점에서는 16.0%, GMS(종합 슈퍼)에서는 12.4%, 온라인 소매점에서는 10.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타 채널의 점유율은 1.6% 수준이다.


다만, 이러한 전문 도매 상사들은 자체상표(PB, Private Brand) 제품을 제외하고는 직접 수입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대부분의 경우 일본 내에 거점을 두고 있는 수입 상사를 통해 제품을 공급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물류 안정성과 효율적인 유통을 꾀하고 있다.


<유통별 대표 기업()>

업태

기업명

URL

전문 도매상

Lovelypet

https://www.lovelypet.co.jp/

Japell

https://www.japell.com/

소매 전문점

AEON PET

https://www.aeonpet.com/

Onelove

https://www.pet-onelove.com/

홈센터

Cainz

https://petsone.cainz.com/

Valor

https://homecentervalor.co.jp/corporate/petworld

잡화 체인점

PPIH

https://www.donki.com/j-kakaku/product/list.php?cid=30

드러그 스토어

MatsukiyoCocokara

https://www.matsukiyococokara-online.com/store/catalog/category/view/categories/006/17

[자료: 기업 홈페이지]

 

관세율 및 인증

 

WTO 협정 관세율은 아래와 같다. 통관 시 소비세 10%가 부가된다. 수입상(또는 제조, 판매사)은 농림수산성에 사업자 신고 및 제품 표시를 해야 한다.

 

<관세율>

HS Code

기본

WTO협정

RCEP

2309.10

010

, 고양이용 사료(소매용으로 제조한 것에 한함)

1. 유당 포함량이 중량의 10%이상의 것

1kg/70 (중량비율에 의한 유당 함유율이 10%를 넘는 1%마다 7엔을 더한 금액)

1kg/59.50 (중량비율에 의한 유당 함유율이 10%를 넘는 1%마다 6엔을 더한 금액)

1kg/40.49 (중량비율에 의한 유당 함유율이 10%를 넘는 1%마다 4.13엔을 더한 금액)

091

, 고양이용 사료(소매용으로 제조한 것에 한함)

2. 상기 제품 이외의 것

  (1) 기밀용기에 넣은 것(용기와 함께 1개의 중량이 10kg 이하의 것에 한함)

무세

무세

무세

092

, 고양이용 사료(소매용으로 제조한 것에 한함)

2. 상기 제품 이외의 것

 (2) 기타의 것

 A. 과세가격이 1kg 70엔을 넘는 것(조단백질)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35%미만의 것에 한함)

무세

무세

무세

093

, 고양이용 사료(소매용으로 제조한 것에 한함)

2. 상기 제품 이외의 것

 (2) 기타의 것

   (a) 분말, , 프레이크, 펠릿, 큐브 및 기타 이와 유사한 형태의 것(Sucrose로 계산한 당류의 함유량이 전 중량의 5%미만으로 유리전분의 함유량이 20%미만인 것, 또한 Crude protein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35%미만의 것에 한하는 것으로 하며, 정령에 정한 선별방법에 의한 분리가 가능한 부서진 쌀 및 쌀가루의 함유량 합계가 전중량의 10% 이상의 것을 제외함)

무세

무세

무세

099

, 고양이용 사료(소매용으로 제조한 것에 한함)

2. 상기 제품 이외의 것

 (2) 기타의 것

   (a) 그 이외의 것

60/kg

36/kg

-

[자료: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실행 관세율표]

 

시사점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일시적으로 증가했지만, 장기적으로는 맞벌이 세대의 증가와 인구 감소의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펫푸드 시장에서는 일본산 원료를 사용하고 보존료를 첨가하지 않은 프리미엄 제품의 인기가 높다.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여기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사람의 식품과 유사한 품질 기준으로 사료를 제조하려는 경향도 뚜렷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개와 고양이의 사육 두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소형견과 고령견의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반려동물 사료의 전체 생산량이 큰 폭으로 확대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층이 저가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질 경우, 일본 국내 시장이 축소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일본 기업들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일본 수입 상사들이 해외 제품에 기대하는 바는 명확하다. 단순히 일본 제품과 동등한 수준의 품질이 아닌, 그보다 높은 부가가치나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제품이 실제로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지, 자사 제품이 어떤 부가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시회 참가나 현지 유통망 조사를 통해 철저한 사전 분석을 해야한다.

 


자료: 일본 재무성, 야노경제연구소, GTA, 일본펫푸드협회, 기업 홈페이지, 업종별 심사사전, KOTRA 오사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반려동물 사료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