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벨라루스 헤어두피제품 시장 트렌드
  • 트렌드
  • 벨라루스
  • 민스크무역관 장윤성
  • 2025-04-22
  • 출처 : KOTRA

한국산 헤어 및 두피 케어 제품의 수출 증가 추세

집에서 사용이 쉬운 가정용 전문 제품에 대한 관심도 급증

시장동향

 

Euromonitor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헤어 및 두피 케어 시장의 규모는 2억3450만 벨라루스 루블(약 7300 달러)으로 나타났으며 매년 5~10% 성장하여 2025 25070 루블에서 2029 35560 루블 시장 규모가 것으로 예상된다.

 

<벨라루스 헤어 케어 시장 규모>

(단위: BYN 백만)

[자료: Euromonitor 자료 기반 민스크무역관 작성]

 

시장 조사기관인 STATISTA社의 통계에 따르면, 샴푸 기타 헤어·두피 관련 제품인 컨디셔너, 헤어 마스크, 스타일링 헤어 컬러링 제품을 포함한 벨라루스의 전체 헤어 케어 제품 시장은 2025 11514 달러 규모인 것으로 예상되며 2030년까지 평균 2.8%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벨라루스 시장의 특성으로 매스마켓 대량 판매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지만, 전문샵에서 사용 가능했던 제품을 가정에서 쉽게 이용할 있도록 가정용 전문 제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보편적인 제품에서 특정 헤어 타입과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해 설계된 스페셜 제품으로의 전환이 이뤄지며 곱슬머리, 민감한 두피, 손상된 머릿결 회복 등을 위한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제품 성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황산염과 파라벤이 없는 천연 성분의 제품을 선호한다. 이는 환경 친화적이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세계적 현상으로 벨라루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수입동향, 대한 수입규모

 

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인 2022년 4월부터 벨라루스 통계청(BelStat)은 대외 무역에 대한 세부 통계를 대외적으로 발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Global Trade Atlas 자료를 통해 벨라루스로의 수출국 통계를 확인하면 2022년, 2023년에 벨라루스로의 샴푸 수출액은 거의 유사한 약 1700만 달러에 달했으며(러시아 포함 시 4000만 달러 이상), 주요 공급국은 폴란드, 리투아니아, 튀르키예이다. 2024년에는 샴푸 수입이 소폭 감소해 총 수입액은 약 1400만 달러이며, 주요 공급국은 리투아니아, 폴란드, 이탈리아, 튀르키예, 한국이다. 통계 상 반영이 안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수입 1위 국가는 러시아일 것으로 추정되며, 2021년 샴푸 수입의 약 79.3%(2800만 달러)를 차지한 바 있어, 후로도 70% 내외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으로부터의 샴푸 수입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에는 전년 대비 37% 성장한 85만 3000달러를 기록했으며 2023년에도 전년대비 70%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 화장품 및 뷰티 제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2025년 역시 한국 샴푸의 대벨라루스 수출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벨라루스 샴푸 국가별 수입동향 (HS코드 330510 기준)>

(단위: US$ 천)

순위

2022

2023

2024

국가

수입액

국가

수입액

국가

수입액

보고 국가 총계

17,273

보고 국가 총계

17,421

보고 국가 총계

14,550

1

폴란드

2,711

리투아니아

2,335

리투아니아

1,353

2

튀르키예

2,129

폴란드

1,609

폴란드

1,107

3

리투아니아

1,297

튀르키예

1,115

이탈리아

1,088

4

이탈리아

641

이탈리아

955

튀르키예

1,030

5

한국

366

한국

621

한국

853

6

헝가리

217

프랑스

465

프랑스

497

7

프랑스

180

스페인

220

라트비아

170

8

스페인

128

헝가리

198

스페인

159

9

영국

94

라트비아

165

에스토니아

100

10

라트비아

69

독일

83

카자흐스

97

*330510포함 제품류: Shampoos For Hair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

 

기타 헤어 케어 제품의 경우, 2024년 수입액은 11% 감소한 29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국은 리투아니아, 이탈리아, 폴란드이며 다른 유럽 국가로부터의 수입 규모는 많이 줄어들었으나 아직 수입은 진행되고 있다. 2024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4% 증가하여 65만 5000달러에 달했다.

 

<벨라루스 기타 헤어 케어 제품 국가별 수입동향 (HS코드 330590 기준)>

(단위: US$ 천)

순위

2022

2023

2024

국가

수입액

국가

수입액

국가

수입액

보고 국가 총계

17,434

보고 국가 총계

32,793

보고 국가 총계

29,047

1

리투아니아

1,563

리투아니아

6,867

리투아니아

3,912

2

이탈리아

1,525

폴란드

2,116

이탈리아

3,411

3

폴란드

1,485

이탈리아

1,857

폴란드

1,795

4

튀르키예

580

튀르키예

773

한국

655

5

독일

443

라트비아

642

튀르키예

598

6

우크라이나

349

한국

575

독일

415

7

한국

287

독일

477

라트비아

266

8

헝가리

241

헝가리

459

세르비

241

9

네덜란

192

영국

225

헝가리

233

10

라트비아

188

프랑스

161

에스토니아

207

*330590포함 제품류: Preparations For Use On The Hair, Nesoi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

 

2022~2024년 통계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통계를 발표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포함되지 않다. 그러나 러시아로부터의 헤어 및 두피 케어 제품 수입은 2022년 이전과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가장 큰 비중(약 70~80%)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2022년까지 벨라루스에 이러한 제품을 공급하던 주요 공급국 중 하나였던 우크라이나는 벨라루스에 대한 공급을 크게 줄이거나 완전히 중단한 것으로 추측된다. 

 

한국무역협회 통계 자료에 따르면, 한국 헤어케어 제품의 대벨라루스 수출은 매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5년간 샴푸 수출은 8.6배, 기타 헤어케어 제품은 3.4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2024년 벨라루스의 한국 헤어 케어 제품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2020

2021

2022

2023

2024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HS코드 330510

99

125

185

88

366

98

621

70

853

37

HS코드 330590

193

13

306

58

287

-6

575

100

655

14

[자료: KITA 통계 자료 기반으로 민스크무역관 작성]

 

경쟁 동향

 

벨라루스의 헤어 및 두피 케어 제품에는 샴푸, 발삼, 마스크, 세럼, 두피 스크럽, 빗질을 용이하게 하는 스프레이, 헤어 끝을 복원하는 오일, 비듬, 탈모 및 과도한 기름기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 등 소비자들의 취향, 피부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있다.

 

제조 및 판매 업체들은 높아진 소비자 눈높이에 따라 아미노산 콤플렉스, 식물 추출물,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및 기타 활성 성분과 같은 혁신적인 성분을 도입하여 제품 라인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신제품 중에는 분자 헤어 복원용 시리즈와 헤어 성장 촉진 및 영양 공급에 초점을 맞춘 트리콜로지 라인 등도 있다.

 

<벨라루스에서 판매되는 헤어 케어 제품>

[자료: KOTRA 민스크무역관 직접 촬영]

 

전세계 많은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벨라루스 헤어 케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은 다국적 기업의 브랜드 제품이다. L'Oréal(브랜드: Garnier, L'Oreal Paris, Vichy 등), Henkel (브랜드: Schwarzkopf, Syoss, Gliss, Shauma 등), Procter & Gamble (브랜드: Head&Shoulders, Pantene, Timotei 등) 기업 제품들이 점유율의 6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기업들의 제품 비중은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그리고 다국적 기업의 제품은 주로 공장이 있는 러시아를 통해 벨라루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벨라루스 헤어 케어 주요 기업(2024년 기준)> 

기업명

주요 브랜드

L'Oréal Groupe

Garnier, L'Oréal Paris, Vichy

Henkel AG & Co KGaA

Schwarzkopf, Syoss, Schauma, Shamtu

Procter & Gamble Co, The

Head & Shoulders, Pantene

Belita-Viteks SPB OOO

Bielita, Viteks

Unilever Group

Dove, Chistaya Liniya, Timotei, Clear

[자료: Euromonitor 자료 기반으로 민스크무역관 작성]

 

벨라루스 제조업체가 만든 헤어 케어 제품도 인기가 없는 것은 아니다. 벨라루스 현지 기업의 제품도 시장에서 꽤 많이 유통되고 있는데,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생산 및 판매되고 있으며, 유사한 종류의 제품을 수입 외국 제품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그 중에서도 인기가 많은 제품은 다국적 기업에 이어 전체 시장의 약 8~10%를 점유하고 있는 벨라루스 기업 Belita-Vitex의 제품이다.

 

또한, Tashe Professional, Modum, Belkosmex, SelfieLab도 벨라루스를 대표하는 유명 브랜드인데, 매스 마켓부터 프로페셔널 라인까지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며, 천연 성분과 혁신적인 기술을 결합하여 국내 시장에서 안정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Tashe Professional은 혁신적인 포뮬러와 천연 성분으로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는 전문 헤어 케어 화장품 브랜드이다. Modum, Belkosmex, CleanCosmic(브랜드 SelfieLab) 특정 헤어 및 두피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고도로 전문화된 천연 제품 제조업체이다.

 

벨라루스 시장에 진출한 한국 브랜드로는 La’dor, Masil, Kerasys, Esthetic House, Ryo, Evas, Aromatica, Kundal 등이 있다. 또한, 샴푸와 함께 트리트먼트, 헤어팩, 염색약 등 대부분의 헤어·두피 제품의 경우 손상된 모발 관리, 탈모 방지, 새치 커버 등 다양한 기능이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되어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예브로옵트(Evroopt) 같은 일부 대형 유통 매장에서는 한국제품 전용 매대를 설치하여 한국의 트렌디한 제품을 별도로 홍보하고 있으며 한국의 프리미엄 제품 수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라루스 헤어·두피 제품 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벨라루스 시장에 아주 오래전부터 진출해 자리 잡은 다국적 기업의 제품을 상대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한국 화장품 제품들이 벨라루스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게 되고 독자적인 한국 화장품 매장이 들어서면서 한국 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벨라루스 내 판매되는 한국 헤어 케어 제품 예시>

제품 사진

상세 정보

브랜드명: La’dor

제조사: 제이피프로페셔널

제품명: DAMAGE PROTECTOR ACID SHAMPOO, 900ml

소비자 가격(US$): 12.0

브랜드명: Masil

제조사: (주)수안향장

제품명: 9 Protein Perfume Silk Balm Sweet Love, 180ml

소비자 가격(US$): 17.4

브랜드명: Kerasys

제조사: 애경산업

제품명: Moisturizing Conditioner, 600ml

소비자 가격(US$): 12.0

브랜드명: Esthetic House

제조사: 에스테틱하우스

제품명: CP-1 LPP COLLAGEN REPAIR HAIR MASK, 300ml

소비자 가격(US$): 15.8

브랜드명: Ryo

제조사: 아모레퍼시픽

제품명: Deep Cleansing Cooling Conditioner, 550ml

소비자 가격(US$): 17.1

브랜드명: Aromatica

제조사: (주)아로마티카

제품명: rosemary root enhancer, 100ml

소비자 가격(US$): 19.0

브랜드명: WELCOS

제조사: (주)웰코스

제품명: Around Me Scalp Scaling Shampoo Plus, 500ml

소비자 가격(US$): 12.3

[자료: KOTRA 민스크무역관 종합]

 

유통구조

 

벨라루스에서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샴푸와 헤어 및 두피 관리 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주요 유통 채널은 소매 체인(슈퍼마켓, 대형마트, 화장품 전문점), 약국(치료 및 특수 제품 유통), 미용실 및 전문 유통업체(프로페셔널 및 특수 제품 유통)이다.

 

물류 면에서 철로, 해운을 통한 한국으로부터의 직수입도 있으나 러시아를 중심으로 인접국에서 수입되어 들어오는 물량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팬데믹의 영향, 편리함과 제품 정보의 가용성으로 전자상거래가 인기를 얻으면서 소비자들이 다양한 제품과 브랜드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는데, 대형 인터넷 쇼핑몰, 온라인 뷰티 스토어를 통한 판매도 이뤄지고, 자사 쇼핑 사이트를 통해 직판이 이뤄지기도 한다. 유통은 경쟁이 치열하며 효과적인 마케팅과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벨라루스 두발용 제품류(HS 코드330510, 330530, 330590) 수입 관세율은 6.5%(벨라루스는 EAEU 회원국으로서 러시아,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과 함께 역외 공동관세율을 적용)이며, 벨라루스의 부가가치세는 20%이다.

 

또한 벨라루스로 두발용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Declaration of conformity (유아용품의 경우 국가 등록(State Registration)) 인증서류 구비가 필요한데, EAEU 통합인증인 EAC인증 마크가 필요하다. 샴푸 인증에 대한 주요 세관 규정은 TR CU 009/2011(TR on safety of perfume and cosmetic products)이다.

 

시사점

 

화장품이나 스킨케어 제품에 비해 아직 한국의 헤어·두피 제품은 벨라루스 시장에 많이 진출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 기업 간의 경쟁이 낮고 시장 진출 기회의 폭이 넓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벨라루스 수입업체들은 최근 몇 년간 한국산 샴푸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부 외국 브랜드가 시장을 떠나면서 한국 제품들을 벨라루스 소비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고 언급했다. 또한, 일부 벨라루스 대형 유통사는 매년 헤어·두피 제품을 포함한 트렌디한 한국 제품을 발굴하려고 노력한다고 밝혔다.  

 

벨라루스 소비자들이 헤어·두피 제품의 품질 및 성분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보임에 따라 천연 성분 유기농 샴푸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샴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를 충족하는 관련 한국 제품들이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 고품질/기능성 샴푸 제품의 경쟁도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벨라루스 뷰티산업의 트렌드를 가장 폭넓고 빠르게 접할 수 있는 채널 중 하나로 민스크에서 개최되는 InterStyle 전시회를 들 수 있는데, 이 벨라루스 미용 전시회 참가하여 잠재 바이어들을 만나면서 벨라루스의 헤어·두피 시장 트렌드를 살펴보는 것도 벨라루스 시장 진출을 위한 좋은 방안 중 하나일 것이다.

 

전시회명

InterStyle

특징

벨라루스에서 열리는 유일한 미용제품 관련 전시회

개최시기

2025년 11월 5~8일 (매년 11월에 개최)

홈페이지

https://interstyle.by

장소

Football Arena (Minsk, Pobediteley Ave., 20/2)

 

 

자료: Global Trade Atlas, Euromonitor, Statista, KITA, 벨라루스 언론 등 KOTRA 민스크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벨라루스 헤어두피제품 시장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