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 구조로 전환하는 2024년 상하이시 경제 실적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5-04-11
- 출처 : KOTRA
-
해양장비, 대형 LNG선박,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출 폭풍 성장
교육/문화/오락 소비 증가, 생활용품 및 의료보건 소비 하락
상하이 주요경제 지표
<2024년 상하이 주요성과 및 2025년 목표>
구분
2024년
2025년 목표
목표
성과
GDP
5% 증가
5% 증가
약 5% 증가
일반 공공예산 수입
5% 증가
0.7% 증가
2% 증가
연구개발 비용 GDP중 비중
4.5%
4.4%
약 4.5%
신규 다국적기업 지역본/R&D센터 설립수
다국적 기업 50개 이상
60개/30개
60개
신규 일자리 수
55만명 이상
62.2만명 증가
약 60만 명 증가
(신규 취업자 수)
도시 실업률
5% 이내
4.2%
5% 이내
1인당
가처분 소득
GDP와 유사
(5% 증가)
4.2% 증가
GDP와 유사
(5% 증가)
주민소비가격
3% 상승
0.3% 상승
약 2% 상승
[자료: 상하이시 정부]
[GDP] 2024년 GDP 5조 위안 초과
2024년 상하이 경제는 안정적으로 성장했는데, 이는 상하이 GDP 통계로 확인할 수 있다. 2024년 상하이 GDP는 5조392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 성장을 거두며 목표를 달성했다. 최근 몇 년간 상하이 GDP는 2017년 3조 위안, 2020년 4조 위안, 2023년 5조 위안을 넘어서는 등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2025년에는 전년과 같이 GDP 5% 성장을 목표로 내세웠다.
<2015~2025년 상하이 GDP 추이>
(단위: 억 위안, %)
[자료: 상하이통계국]
상하이 GDP 중 제3차 산업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 제3차 산업은 약 4조2189억 위안으로 전체 GDP중 차지하는 비중이 78.2%로 전년 대비 3%p 증가했다. 2024년 상하이 제1차 산업은 99억7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0.9% 감소한 반면, 제2차 산업과 제3차 산업은 1조1638억 위안과 4조2189억 위안으로 각각 2.4%와 5.7% 증가했다.
<2017~2024년 상하이 산업별 비중>
[자료: WIND]
[산업] 3차산업 및 3대 선도산업(집적회로, AI, 바이오의약) 뚜렷한 증가세
2024년 상하이 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제1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99.7억 위안으로 0.9% 감소했고, 제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1조1638억 위안으로 2.4% 증가했으며, 제3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4조2189억 위안으로 5.7% 증가했다. 그중 교통운송, 창고 및 우편업이 19.2%, 정보 전송,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이 12.9%로 모두 두자리수 성장을 기록했다.
<2024년 상하이 제3차산업 주요 산업별 부가가치 및 성장률>
(단위: 억 위안, %)
[자료: 상하이시 인민정부]
상하이시의 산업 생산액 데이터를 보면, △집적회로 △AI △바이오의약으로 구성된 3대 선도산업이 성장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3대 선도산업의 생산 규모는 1조8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하며 두자리 수의 성장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 중 집적회로 생산액의 증가율은 20.8%로 눈에 띄게 성장했으며,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AI 역시 7.5%의 성장세를 보여줬다.
<2024년 주요 산업별 생산액 성장률>
(단위 %)
[자료: 상하이시 인민정부]
상하이시 산업 생산량의 경우, 리튬이온 배터리, 노트북 컴퓨터, 집적회로, 센서 및 마이크로컴퓨터 장비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8.6%, 20.5%, 11.3%, 10.9% 및 10.8% 증가했다.[소비] 상하이 소매판매 총액 중국 도시 1위 고수, 교육/문화/오락 소비 7.5% 증가
2024년 상하이 1인당 가처분소득은 8만8366위안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한 반면, 1인당 소비액은 5만2722위안으로 전년 대비 0.4% 증가에 그쳤다.
<2019~2024년 상하이 1인당 가처분소득과 소비액 증감률>
[자료: WIND]
2024년 상하이 사회소비품 소매판매 총액은 1조794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1% 하락했지만, 전국 도시 중 1위를 유지했다. 그중 소매판매 총액의 92%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도소매업 소매액은 2.9% 하락했으며, 숙박 및 요식업 소매액은 5.4% 하락했다.
<2020~2024년 상하이 소매판매 총액 변화추이>
(단위: 억 위안, %)
[자료: 상하이 통계국, WIND]
<2024년 주요 도시별 사회소비품 소매판매 총액>
(단위: 억 위안)
[자료: WIND, 각 도시 통계국]
2024년 상하이 주민 소비성향을 보면 교육/문화/오락 관련 소비가 7.5% 증가했으며, 반면 생활용품 및 서비스관련 소비와 의료보건소비(의료, 보건용 약품, 의료기계, 서비스 등)가 각각 4%, 3.4%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상하이 소비구조>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2024년 상하이는 관광, 문화, 스포츠 전시회 연계를 강화하고, ‘’55쇼핑 페스티벌(五五购物节)“, ”상하이 최초 출시(首发上海)“글로벌 신제품 출시(全球新品首发季)“, ”상하이 여름(上海之夏)“등 행사를 개최했고, 소비쿠폰 발행, ”이구환신“ 지원 정책 등을 내세워 소비를 촉진했다. 2025년에도 관련 소비 촉진 행사 및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수출입] 아세안 국가 수출입 6.9%증가, △해양장비 △대형 LNG선박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3개 품목 수출 폭풍 성장
2024년 상하이시의 수출입 총액은 4조2700억 위안으로 2023년 대비 1.3% 증가했다. 그중 수출은 1조8200억 위안으로 4.6% 증가했고, 수입은 2조4500억 위안으로 1% 감소했다.
<2016~2024년 상하이 수출입 총액>
(단위: 억 위안)
[자료: 상하이 해관, WIND]
2024년 상하이 3대 무역파트너는 유럽, 아세안국가, 미국으로 상하이 수출입 총액의 43.7%를 차지하고 있다. 그중 아세안국가 수출입은 6.9% 증가한 반면, 유럽, 미국은 각각 4.8%, 0.2% 감소했다. 2024년 중동, 러시아, 인도 등 신흥국가와의 수출입은 각각 13.9%, 23.7%, 13.9% 성장하는 등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2024년 상하이 주요 수출입 국가>
(단위: 억 위안, %)
No.
국가
수출입
수출
수입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1
미국
4786.42
-0.18%
2772.61
-0.06%
2013.82
-0.35%
2
일본
3721.91
-4.88%
1237.21
-13.56%
2484.70
0.13%
3
대만
2587.75
9.02%
741.65
-7.64%
1846.10
17.53%
4
독일
2410.88
-8.86%
714.63
-6.02%
1696.25
-10.01%
5
한국
2148.37
6.57%
802.10
3.52%
1346.27
8.48%
6
호주
1967.60
-12.36%
500.34
-7.18%
1467.27
-13.99%
7
홍콩
1887.45
15.03%
1708.70
13.85%
178.75
27.69%
8
베트남
1325.01
17.74%
519.13
36.29%
805.88
8.25%
9
스위스
1286.61
-6.68%
61.22
4.26%
1225.39
-7.17%
10
싱가포르
1195.50
11.18%
647.76
12.94%
547.73
9.18%
11
러시아
1149.92
23.72%
426.65
25.43%
723.27
22.73%
12
말레이시아
1123.27
5.14%
383.95
19.12%
739.32
-0.90%
13
프랑스
1104.23
2.09%
238.73
18.86%
865.50
-1.73%
14
이태리
1059.59
-4.91%
247.52
2.46%
812.06
-6.94%
15
브라질
1007.70
-3.97%
245.58
23.12%
762.12
-10.32%
총액
42680.87
1.29%
18176.01
4.63%
24504.85
-1.04%
[자료: 상하이해관]
2024년 상하이 수출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야는 기계 및 전기제품이다. 2024년 상하이의 기계 및 전기제품 수출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1조2400억 위안으로 상하이 수출 총 액의 68.1% 차지했으며, 그중 해양 공정 장비 수출은 151억5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40.5배의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줬다. 이는 2023년 10월 발표된 "<상하이 선박 및 해양 공정 장비 산업 고품질 발전 행동 계획(2023-2025년)> 발행에 관한 통지" 이후 성장이라 눈길을 끈다. 또한 상하이 '녹색무역'의 신속한 발전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대형 LNG선박의 수출도 전년 대비 400%, 67.3% 증가하며 내수에 이어 수출도 신에너지, 친환경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짐작케 하였다.
수입의 경우, 에너지 및 광물자원의 수입량이 증가했으며, 민생소비가 회복세를 보였다. 2024년 상하이 기계 및 전기제품 수입은 전년대비 1.4% 증가한 1조600억 위안으로 상하이 총 수입액의 43.3%를 차지했으며, 그중 집적회로 수입은 2.2% 증가했다. 석탄, 철광석, 천연가스 등 광물자원의 수입단가가 하락했지만 수입량은 각각 55.5%, 22.8%, 19.3% 증가했다. 와인, 건조/신선 과일, 의료보건품 등 민생 소비제품의 수입은 각각 32.4%, 9.3%, 1.6% 증가했다.
[투자유치] 신규 법인설립수 전년 대비 1% 하락
2024년 상하이시 *실제 외자 이용액은 177억 달러로 전년 대비 26.6% 감소했으며, 신규 법인설립 수는 5956개로 전년 대비 1.0% 하락했다.
* 실제 외자 이용액: 중국과 외국기업이 계약 체결후 실제 도달한 외자 금액
업종별로 실제 외자 이용액 3대 산업은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도매/소매업 △과학연구 및 기술서비스업이다. 그중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실제 외자 이용액은 71억8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5.8% 증가했고, 도매/소매업은 32억8200만 달러로 13.9% 증가한 반면, 과학연구 및 기술서비스업은 43.4% 하락한 26억500만 달러에 달했다.
<2019~2024년 상하이시 외자 유치현황>
(단위: 억 달러, %, 개)
연도
외국인 투자액
신규 법인설립
실제 이용액
증감률
설립수
증감률
2019년
190.48
10.1
6800
21.5
2020년
202.33
6.2
5751
-15.4
2021년
225.51
11.5
6708
16.6
2022년
239.45
6.2
4054
-35.1
2023년
240.87
0.5
6017
38.3
2024년
173.76
-26.6
5956
-1.0
[자료원: 상하이시 통계국]
상하이는 여전히 적극적으로 외국 기업을 유치하고자 하며, 특별히 다국적기업 지역본부와 R&D 센터 설립을 장려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상하이 소재 다국적기업 지역본부 누적 수는 1016개에 달했으며, 그중 세계 500대 기업이 설립한 본부는 66개이다. 또한, 2024년 기준 상하이 R&D센터는 총 591개에 달한다.
전망 및 시사점
상하이시 경제는 2024년에 안정적으로 성장했으며, 특별히 소비 진작을 위한 여러 정책을 펼치는 것이 눈에 띈다. 또한, 급변하는 경제 환경에 따라 AI 등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 구조 전환을 추구하며, 기업 유치를 위해 비즈니스 환경 조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하이시 우웨이(吴伟) 상무 부시장은 ”최근 몇 년간 상하이는 시장화, 법치화, 국제화된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전력을 다했으며, 비즈니스 환경 구축은 각종 개혁을 이끌었고 안정적인 성장과 새로운 질적 생산력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또, ”상하이는 향후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의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할 것이며, 행정, 정책, 대외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개혁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은 '14차 5개년 계획'의 마무리 해로 상하이는 개혁개방을 전면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 확대뿐만 아니라 내수 확대 및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과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하이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상하이시의 경제 구조 전환 동향을 파악하며, 대외개방을 확대하는 상하이 정책을 모니터링 하여 기회요인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상하이시 정부, 상하이통계국, 상하이상무위원회, WIND, 상관신문(上观新闻), 중공망(中工罔) 등 자료 KOTRA 상하이 무역관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 첨단산업 중심의 경제 구조로 전환하는 2024년 상하이시 경제 실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中 국가보조금이 중국 가전시장에 가져온 변화
중국 2025-04-11
-
2
36년 연속 GDP 1위의 중국 광둥성 2024년 경제 성적표
중국 2025-04-11
-
3
중국 최대 식품 전시회를 통해서 본 2025년 식품 산업 트렌드
중국 2025-04-11
-
4
독일 ‘2025 IDS 치과 기자재 전시회’ 참관을 통해 살펴본 치과 산업의 혁신과 트렌드
독일 2025-04-11
-
5
멕시코 중부의 제조 중심지, 케레타로
멕시코 2025-04-11
-
6
‘사이버 보안은 국가 공동과제’ 캐나다, 전략으로 방향 제시하다
캐나다 2025-04-11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