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성형 AI 시대, 일본의 취업 활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 트렌드
- 일본
- 도쿄무역관 진석순
- 2025-04-09
- 출처 : KOTRA
-
생성형 AI가 가져오는 취업 준비의 혁신...기업별로 개인 맞춤형 ES 및 이력서를 신속하게 작성
AI와 함께 진화하는 취업시장...스타트업 기업이 다수를 차지해 초기 시장 진입이 더욱 수월할 전망
생성형 AI 시대, 일본의 취업 활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본의 채용 방식은 온라인과 대면 방식을 병행하는 것이 일반화됐을 뿐만 아니라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는 맞춤형 정보 제공부터 문서 작성, 면접 준비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취업 준비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어 기업의 채용 방식뿐만 아니라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준비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개인의 취향이나 행동 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생성형 AI 기술이 이제는 채용 시장에서도 널리 활용되는 것이다. 3월 취업활동 해금과 함께 본격적인 기업 채용이 시작된 지금, 학생들의 활용 사례를 통해 생성형 AI가 바꾸는 미래의 취업 준비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생성형 AI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심층학습(Deep Learning)을 기반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기존 AI가 데이터를 해석하고 분류하는 역할을 했다면 생성형 AI는 직접 텍스트, 이미지, 코드 등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는 지속적으로 알고리즘이 발전하면서 정확도가 향상되고 있으며, 비즈니스,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생성형 AI 기술로는 OpenAI의 ‘ChatGPT’, Google의 ‘Gemini’, Microsoft의 ‘Copilot’ 등이 있으며 이들은 자연스러운 문장 생성, 이미지 생성,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취업 활동 해금, 2026년도 졸업자(신졸) 채용 스케줄
2026년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일본 기업의 채용이 지난 3월 1일 해금되면서 본격적인 취업 활동이 시작됐다. 인력 부족으로 인해 기업들은 초임 인상 등 우대 정책을 내세우며 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다.
취활 해금(就活解禁)이란 기업의 채용 활동을 해금하는 것으로, 정부가 총괄하는 규칙에 근거해 일본 국내 기업이 신규 졸업자 채용을 시작하는 것을 일컫는다. 취활 해금일은 ‘졸업·수료 예정자 등의 취직·채용 활동에 관한 요청 사항’ 내의 ‘취직·채용 활동 일정’으로 기재된다. 이때, 다수의 상장기업이 가맹하고 있는 일본 최대 재계 단체인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를 통해 각 기업에 요청이 전달된다. 경단련에 의한 취활 규칙은 신규 졸업자 일괄 채용*을 전제로 학생들의 학업을 보장하기 위해 설정됐으나, 강제력은 없어 일부 기업들은 이를 따르지 않고 조기 채용을 진행해 왔다. 이에 따라 2018년 취활 해금 규칙이 철폐됐지만,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2025년 졸업자까지는 기존 일정을 유지하도록 주도하고 있다.
* 주: 일괄 채용 (新規学卒一括採用)이란, 그 해 신졸자나 차년도 졸업 예정자들의 졸업 시점을 기준으로 한꺼번에 직원을 채용하는 일본 특유의 채용 시스템을 지칭
2026년 졸업 예정자를 위한 채용 일정이 정부 관계 부처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됐다. 그러나 이 일정은 어디까지나 원칙일 뿐, 많은 기업이 독자적인 스케줄을 운영하고 있어 실제 채용 과정은 기업별로 다를 수 있으며, 최근에는 조기 채용이 점점 일반화되면서 인턴십을 통한 선발, 조기 면접을 실시하는 등, 기업들은 개별적인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신졸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기존의 채용 일정뿐만 아니라 기업별 독자적인 채용 흐름을 파악하고 보다 전략적인 취업 활동을 펼칠 필요가 있다.
채용 일정 주요 단계
① 3월 1일 이후: 기업 설명회 개최
이 시기엔 많은 기업이 단독 또는 합동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최근에는 업종별, 채용 대상별 맞춤형 합동 설명회도 증가하고 있으며, 원칙적으로 6월부터 시작되는 면접을 3월부터 진행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② 6월 1일 이후: 본격적인 전형 시작
최근에는 채용 활동이 앞당겨지면서 6월 시점에서 이미 복수의 내정(최종합격)을 받은 학생이 많아지고 있다. 기업들은 인턴십 경험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어필하거나 면접 기회를 늘려 우수한 인재 를 채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③ 10월 1일 이후: 내정자 관리 및 팔로우
기업들은 내정자 연수, 사원과의 교류회 등을 통해 내정자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노력한다. 특히 내정자들이 업무와 직접 관련된 실무 내용, 기본 비즈니스 매너 등의 교육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맞춘 연수 프로그램과 정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2026년 졸업자 기준 취업 일정>
[자료: 마이나비 2026 홈페이지]
AI가 바꾸는 신졸 채용과 취업 준비
과거에는 ES*와 이력서를 작성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최근엔 AI 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 주: Entry Sheet (엔트리 시트, 입사 지원서)
채용 정보 전문사이트 마이나비 조사에 따르면, 2025년 졸업 예정자 중 37.2%가 생성형 AI를 사용해 취업 준비를 했다고 답변해, 2024년 졸업자(18.4%)와 비교하면 약 2배가량 증가했다. 이들은 특히 AI를 활용해 ES 초안 작성, 자기 분석, 면접 예상 질문 대비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우선순위가 낮은 기업에 지원할 때 AI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실제로 기존의 취업 준비 과정에서는 ES를 기업마다 다른 양식을 작성해야 했는데, 작성 중 오타, 정보 누락, 번거로움 등이 있어 지원자들이 서류 작성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그 때문에 학생들은 면접 준비나 취업 희망 기업 분석에 집중할 시간을 더 많이 확보하지 못했다.
그러나 생성형 AI는 취업 준비의 모든 과정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예컨대 AI를 활용한 ES 및 이력서 생성 기술은 자연어 처리(NLP)와 머신러닝을 통해 개인 맞춤형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몇 시간이나 걸리던 작업을 수 분 내에 수행하고, ES와 이력서 간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오류를 최소화해 준다. 또한, 지원하는 업계 동향, 기업 문화, 요구 역량 등 요구 사항을 분석해 최적화된 서류를 작성해 원하는 기업 전형별 맞춤형 대응이 가능하다.
<기존 취업 준비 방식과 AI 활용 방식 비교>
분야
기존 취업 준비 방식
AI 활용 방식
자가진단
스스로 강점 및 약점 분석
AI 설문을 통한 자기 분석
기업 조사
기업 홈페이지 및 뉴스 검색
AI가 최신 정보 요약
ES(입사 지원서)
구성 및 문장 직접 작성
AI가 초안 생성 후 수정
경어 변환
직접 문장 수정
AI가 구어를 문어체로 변환
면접 준비
친구나 멘토와 연습
AI 면접관과 모의 면접
취업 준비에 특화된 AI 서비스
이렇듯 AI가 주도하는 변화 속에서 취준생들은 기존 방식과 AI의 장점을 조합해 효과적인 취업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그중에도 취업 준비에 특화된 주요 AI 서비스는 3가지로, 설문을 통해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는 ① AI 기반 자가 진단, AI가 기업 홈페이지, 뉴스, 리뷰 등을 분석해 기업 정보를 요약해 주는 ② AI 기업 조사, 지원 기업별로 맞춰서 지원 동기, 자기 PR 초안을 AI가 작성해 주는 ③ ES(엔트리 시트) 작성 등이 있다.
<생성형 AI 서비스를 활용한 5가지 사례>
No
적용 항목
방법
예시
1
자가진단
설문에 대한 대답으로 자기분석 실시
AI를 통한 강점 및 약점 분석
2
기업 조사
필요한 최신 정보를 효율적으로 입수
AI가 기업 사풍 및 사업 내용 정리
3
ES(입사 지원서)
초안 문장을 AI가 생성
지원 동기 및 자기 PR 문장 추천
4
경어 변환
구어에서 올바른 문어체 경어로 변환
면접 답변 및 이메일 작성 지원
5
면접 준비
AI와의 소통을 통해 효과적인 면접 훈련
AI 면접관과 모의 면접 진행
아울러, 취업 준비생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취업 정보 사이트는 양대 산맥인 '마이나비'와 '리쿠나비'를 비롯해 'doda 캠퍼스', '오퍼 복스', '캐리터즈 취직활동'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OpenAI가 개발한 ChatGPT를 바탕으로 ES 및 이력서 작성, 지원 동기 및 자기 PR 문장 추천 등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가 학생들의 인기를 끌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취업 정보 사이트 예시>
서비스명
마이나비 2026
리쿠나비 2026
doda 캠퍼스
오퍼 복스
캐리터즈 취직활동
제공사
Mynavi Corporation
Recruit Co., Ltd.
Benesse i-Career Co., Ltd.
i-plug,inc.
DISCO Corporation
URL
https://job.mynavi.jp/2026/
https://job.rikunabi.com/2026/
https://campus.doda.jp/
https://offerbox.jp/
https://job.career-tasu.jp/top/
특징
- 구인 검색형 취준 사이트로 대기업, 중소기업, 메가벤처기업 등 폭넓게 취급
- 등록 기업 3만700개사(2025.3.28 기준)
- 적성 검사 대책 ‘WEB 테스트’ 운영
- 적성 진단 'MATCH plus' 이용 가능
- 모든 기업의 업종 및 직종 검색이 가능한 구인 검색형 취업 준비 사이트
- 등록 기업 1만1763개사(2025.3.28 기준)
- 여러 기업에 제출 가능한 공통 지원서 ‘OpenES’ 이용
- 스카우트 메시지 수신 가능
- 리쿠나비 오리지널 언어, 비언어 Web 테스트 응시 가능
- 오리콘 학생만족도 종합 4년 연속 No.1 차지
- 대기업부터 벤처기업까지 계약기업 수 누계 1만 개사 이상
- 학생 등록수 ‘25년 졸업부터 ‘28년 졸업까지 113만400명 (2024. 6. 기준)
- 기업으로부터의 오퍼 수신율 99%
- 자체 적성검사 무료 및 자기 PR 첨삭 무료 캠페인
- 2025년 졸업 학생 등록자 20만8000명 돌파
- 평균 수신 오퍼 수 41건
- 도쿄증권거래소 프라임 상장기업 중 68%가 이용
- '만나고 싶다' 알림 송신 기능
- 자체 적성 진단 이용 가능
- 입사결정자에게 축하선물 증정
- 등록 학생 수 매년 40만 명, 등록 기업 약 2만 개사
- 기업·인턴 정보·전형 대책 관련 기사 열람 가능
- 회원가입을 통해 스카우트 서비스 외 모든 기능 이용 가능
- 연간 200회 이상의 합동설명회 개최
- 어드바이저가 무료로 취업상담, 기업소개, 이력서 첨부, 면접대책, 기업추천 등 조언
[자료: 각사 홈페이지 및 보도자료]
<생성형 AI를 이용한 취업 지원 서비스 예시>
서비스명
내정군 AI
(内定くんAI)
취활 AI Jake
(就活AIジェイック)
ES Maker
SmartES
AI 취활 서포트군
(AI就活サポたくん)
취활 비서
(就活秘書)
URL
https://naiteikun-corp.com/
https://sai.jaic-g.com/
https://es.careermine.jp/
https://smartes.kokoshiro.jp/
https://ai-sapota.jp/
https://shukatsu.hisyo.me/
제공사
naiteikun Co., Ltd.
JAIC Co.,Ltd.
Ann Co., Ltd.
SHIRO Co., Ltd.
ARROW-LINK CORPORATION
Step Around Inc.
이용요금
무료
무료
무료
무료
무료
무료
특징
- ‘25년 졸업자 10만 명 이용
- 3분이면 내정 레벨의 ES 작성 가능
- 제출 기업별 맞춤형 ES 작성 및 첨삭
- 기업명을 LINE으로 보내면 업무내용, 요구 인물상, 대우 등 기업 분석 제공
- 10가지 질문으로 지원자의 강·약점을 자체 분석해 적합한 업계 제안
- 총이용횟수 40만 회 돌파
- 자신이 작성한 자기 PR, 카쿠치카, 지망 동기 작성 및 첨삭
- 면접에서 상정되는 질문 및 역질문 작성 무료
- AI 면접 연습 앱 및 자가진단 서비스와도 연계
- 6만 장 이상의 우수한 이력서를 학습한 AI에게 질문, 키워드, 글자 수를 입력해 모범이 되는 ES 작성
- 취준생이나 ES에 특화된 문장 작성 가능
- 설문 및 넣고 싶은 키워드로 완성도 높은 ES를 60초 만에 작성
- 등록자 수 5만 명(’25.2. 기준)
- 약 10만 건의 전형 통과 ES 를 학습한 AI가 최적의 문장 제안
- 지원동기 및 카쿠치카 문장을 AI가 자동 ES 생성 및 첨삭
- 특정 업계에 최적화된 특화형 표현 제안
- 에피소드를 입력하면 30초 만에 ES 생성
- LINE으로 ES 작성 지원, 첨삭, 취업 활동에 관한 질문에 답변을 해 주는 서비스
- ES 작성 및 첨삭 무제한 이용 가능
- LINE 친구 추가만으로 이용 가능
- 모든 서비스 24시간 이용 가능
- 각 취업 준비 사이트에 게재된 인기 기업의 전형 스케줄 일람화
- 취업 준비 일정 관리 기능도 탑재
- 자기 PR, 지망 동기, 카쿠치카를 AI가 대신 작성
- AI와 24시간 365일 모의 면접 및 취업 상담 가능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및 보도자료]
시사점
생성형 AI는 일본의 신졸 채용 시장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AI 활용은 효율적인 취업 준비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기업들은 AI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공정한 채용 프로세스를 구축할 것으로 보이며, 취준생들은 이 기술을 활용해 기업이 요구하는 인력 조건에 맞춰 전략적으로 취직을 준비할 것으로 전망된다.
IT 대기업 S 사에 채용된 L 씨는 KOTRA 도쿄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어로 ES나 이력서를 작성하는 작업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지만, 생성형 AI 덕분에 자연스러운 일본어로 복수의 기업 전용 지원서를 작성할 수 있었다”라며, “일본의 문화 차이를 고려한 표현도 제안해 주기 때문에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일본 기업에 취업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특히 외국인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취업을 준비하면 자신의 강점을 보다 완성도 있고 효과적으로 기업에 전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일본의 취업 준비생들이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는 내정군 AI, ES Maker, SmartES 등 생성형 AI를 이용한 취업 지원 서비스는 2022년 이후 ChatGPT 등을 활용한 신생 스타트업인 점도 참고할 만하다.
취업 활동에 특화된 생성형 AI 서비스는 취준생들의 효과적인 취업 준비 전략 수립에 많은 도움이 돼 향후 더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되는 바, 우리 기업도 AI와 함께 진화하는 취업시장의 동향이나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그 활용법에도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ChatGPT, 마이나비, 리쿠나비 등 각종 채용 전문 사이트, 각 회사 홈페이지, KOTRA 도쿄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생성형 AI 시대, 일본의 취업 활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기능을 넘어 감성 케어까지 공략하는 중국 바디케어 시장 트렌드
중국 2025-04-09
-
2
미국, 원전 르네상스 시대 개막...원전 설비 진출 기회 확대
미국 2025-04-08
-
3
BMW·벤츠는 놓치고 폭스바겐은 뛰었다… 독일 EREV 경쟁의 서막
독일 2025-04-11
-
4
‘위험’ 수준에 도달하는 페루 자외선… 수요 증가 제품은?
페루 2025-04-11
-
5
스웨덴 스마트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
스웨덴 2025-04-08
-
6
일본, 불황에도 멈추지 않는 '최애' 소비! 한국 업계가 주목해야 할 이유
일본 2025-04-10
-
1
2024년 일본 에너지산업 정보
일본 2024-11-19
-
2
2024 일본 리튬이온 전지 산업 정보
일본 2024-11-18
-
3
2021년 일본 석유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4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5
2021년 일본의 산업 개관
일본 2021-12-29
-
6
2021 일본의 정보 보안 산업
일본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