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알루미늄 호일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5-04-07
- 출처 : KOTRA
-
2024년 한국, 중국의 2위 알루미늄 호일 수입 대상국
중국 알루미늄 호일 시장은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산업 전환 추진 중
상품명 및 HS CODE
알루미늄 호일의 HS코드는 7607.11로, 두께가 0.2mm 이하로 압연보다 더 가공하지 않은 것으로 정의된다. 알루미늄 호일은 강한 열전도성, 내부식성, 재활용성 등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식품 포장, 의약품 포장, 배터리 및 전자제품 등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해당 뉴스에서는 전자제품용 알루미늄 호일(电子铝箔)을 다루고자 한다.
상품명
HS 코드
알루미늄 호일
7607.11
시장동향
중국은 세계 최대의 알루미늄 호일 생산국이자 소비국이며, 중국의 알루미늄 호일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 스마트 전자제품의 빠른 보급 및 5G 통신 기술, 신에너지 자동차, 신에너지 전력, 제조업 스마트화 전환 등 신산업 분야의 급속한 발전이 전자 알루미늄 호일(电子铝箔)에 대한 수요를 크게 증가시켰다.
관즈하이네이컨설팅(观知海内咨询)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전자 알루미늄 호일(电子铝箔) 시장 규모는 60억 위안(약 1조 원)을 기록할 예정이며, 이는 2020년 29억2000만 위안에 비해 거의 2배 증가한 것이다.
<2024년 중국 전자 알루미늄 호일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
[자료: 관즈하이네이컨설팅]
중국에서 전자 알루미늄 호일(电子铝箔)은 주로 알루미늄 전해 축전기의 전극 및 리튬 배터리 양극 집전체(锂电池正极集流体)에 활용되고 있으며, 이 두 분야의 시장 수요는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그다음으로 PCB(인쇄 회로 기판) 12%, 기타 첨단 전자부품 관련 품목 8% 순이다.
<2024년 중국 전자 알루미늄 소비구조>
(단위: %)
[자료: 관즈하이네이컨설팅]
수출입 동향
중국은 알루미늄 호일의 최대 수출국이며, 2024년 중국 알루미늄 호일 수출액은 33억463만 달러로, 전년 대비 18.6% 증가했다. 주요 수출 지역을 보면, 멕시코를 제외한 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수출한 금액이 전체 수출액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대(對) 한국 수출액은 1억8661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3% 증가했다.
<중국 알루미늄 호일(HS 760711) 수출 규모>
(단위: US$ 만, %)
순위
국가
수출액
수출 비중
증감률
('24/'23)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 세계
404,275
278,735
330,463
100.0
100.0
100.0
18.6
1
인도
31,045
29,901
35,541
7.7
10.7
10.8
18.9
2
멕시코
24,849
22,278
24,527
6.1
8.0
7.4
10.1
3
태국
36,887
19,515
24,060
9.1
7.0
7.3
23.3
4
인도네시아
25,132
14,950
21,388
6.2
5.4
6.5
43.1
5
사우디아라비아
20,601
17,090
19,702
5.1
6.1
6.0
15.3
6
아랍에미리트
24,404
16,348
19,607
6.0
5.9
5.9
19.9
7
한국
23,566
16,468
18,661
5.8
5.9
5.6
13.3
8
일본
22,459
14,974
16,714
5.6
5.4
5.1
11.6
9
말레이시아
12,563
9,640
11,852
3.1
3.5
3.6
22.9
10
베트남
10,600
7,898
11,797
2.6
2.8
3.6
49.4
[자료: GTA, 2025.03.27.]
중국은 알루미늄 호일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으나, 일부 고품질 알루미늄 호일 제품은 수입에 의존해 왔다. 특히, 2020년 이전 중국은 배터리용 및 전자제품용 알루미늄 호일의 순수입국이었다.
중국 정부에서 밀어내기식 저가 수출 위주의 구조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산업을 전환하면서 중국 국내에서도 고품질 알루미늄 호일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수입 금액도 점차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4년 중국 알루미늄 호일 수입 금액은 9308만 달러로 이는 2023년, 2022년 대비 각각 20.4%, 51.7% 감소한 규모다.
2024년 중국의 대(對) 한국 수입 금액은 2293만 달러로 전체 수입국의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3개 지역의 수입 금액은 총 수입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 알루미늄 호일(HS 760711) 수입 규모>
(단위: US$ 만, %)
순위
국가
수입액
수입 비중
증감률
('24/'23)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 세계
19,263
11,687
9,308
100.0
100.0
100.0
-20.4
1
일본
8,354
5,791
5,474
43.4
49.6
58.8
-5.5
2
한국
6,848
4,054
2,293
35.5
34.7
24.6
-43.5
3
대만
624
381
346
3.2
3.3
3.7
-9.0
4
미국
223
225
277
1.2
1.9
3.0
22.9
5
중국*
278
273
257
1.4
2.3
2.8
-5.8
6
독일
907
266
222
4.7
2.3
2.4
-16.7
7
호주
199
131
151
1.0
1.1
1.6
15.0
8
태국
1,153
214
52
6.0
1.8
0.6
-75.7
9
스웨덴
430
35
45
0.2
0.3
0.5
30.0
10
뉴질랜드
333
111
34
1.73
0.95
0.37
-68.99
* 주: 중국에서 생산한 후 해외로 출하한 상품이 원산지 규정에 따라 변형 가공해 중국으로 수입되면 ‘대 중국 수입’으로 집계됨
[자료: GTA, 2025.04.07.]
경쟁 동향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기존 수입에 의존하던 첨단 전자부품을 중점 발전 분야로 지정하고, 각종 산업정책 및 세금 혜택 등을 통해 관련 산업의 발전을 지원하며 국산화를 가속해 왔다. 전자 알루미늄 호일 산업도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급속하게 발전하며 중국 내 관련 기업들이 성장했다.
다만, 대부분 중소기업들은 전문적인 기술 요구 및 거대한 자금 장벽으로 인해 점차 시장에서 퇴출되고 있으며, CR5(업계 상위 5개 기업 집중도)는 2023년 45%에서 2028년에는 60% 이상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내 주요 전자 알루미늄 호일 생산기업은 아래 표와 같다.
<중국 전자 알루미늄 호일 생산 대표기업 리스트>
회사명
지역
특징
Xinjiang Joinworld
(www.joinworld.com)
신장
중국 최초의 전자제품용 알루미늄 호일 생산업체
알루미늄계 신소재 순환 산업체인* 보유
* "전력 → 고순도 알루미늄 → 전자 알루미늄 호일 → 배터리 알루미늄 호일"
Dongyangguang Aluminum
(https://www.hec.cn/)
광둥성
중국 대표적인 전자 알루미늄 호일 생산기업으로 알루미늄합금 주조부터 호일 압연에 이르는 완전한 산업 사슬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생산 능력은 12만 톤임.
ChinaLCO Aluminum Foil
(https://zllb.chinalco.com.cn/)
윈난성
중국알루미늄그룹(ChinaLCO) 소속 기업으로 글로벌 수준의 초박형 알루미늄 호일 생산이 가능함.
IS0 9002, 독일 DQS, IS014001 인증 보유
Yongjie New Material
(http://www.dongnanal.com/)
저쟝성
고성능·고정밀도 알루미늄 호일 연구개발 및 생산하는 국가급 기술기업
배터리, 전자제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의 고품질 알루미늄 호일 생산
Guangtou Zhengrun
(-)
광시성
신에너지 자동차, 스마트 가전제품 산업에 사용하는 고순도 알루미늄 호일 제품 자체 연구개발 완료
중국 광시성 지역의 국가급 전정특신(전문화·정밀화·특성화·혁신) 강소기업임
Keyuan Electronic Aluminum Foil
(conron.net)
허난성
중국 전자 알루미늄 호일 생산 선두 업체
응용 산업 분야를 위한 고품질의 전문 알루미늄 호일 생산
[자료: 기업별 웹사이트]
유통 구조
중국에서 전자 알루미늄 호일은 다양한 유통 경로를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주로 직접판매(直销模式)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고객층에 따라 직접판매, 대리상 협력,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업 조달 등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주요 차이점은 아래 표와 같다.
* 중국에서 알루미늄 호일은 주로 바이두 아이차이거우(百度爱采购), 1688 닷컴(阿里巴巴) 등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거래되고 있음
<중국 알루미늄 호일 유통 구조>
유통 구조 유형
주요 고객층
강점
약점
직접판매
(直销模式)
대기업, 국영기업
높은 이윤 및 안정적인 거래 계약
전문성이 강해 진입 장벽 및 고객 유지 비용 높음
대리상
중소기업, 지역 고객
지역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이윤 배분, 대리상 실력 차이
전자상거래 플랫폼
소량 구매층
저렴한 운영비용, 효율적인 상담 과정
경쟁이 심하고, 가격이 투명함.
기업조달
특정고객
(신에너지 등 분야)
안정적인 수요
공동 연구개발 등 협력 필요
[자료: 화징산업연구원, Market Monitor, 베이징무역관 자료 종합]
관세율 및 인증
2025년 기준, 한국산 알루미늄 호일은 중국 수출 시 알루미늄 호일의 두께에 따라 하위 3개 코드로 분류되는데, HS 코드 7607.1110(두께≤0.007mm) 기준 최혜국관세율(MFN)은 6%, 한중 FTA 관세율은 1.6%, RCEP 관세율은 3.6%다.
7607.1120(0.007mm<두께≤0.01mm), 7607.1190(0.01mm<두께≤0.2mm) 기준 최혜국관세율(MFN)은 6%, 한중 FTA 관세율은 0%, RCEP 관세율은 3.6%로 모두 한중 FTA 관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또한, 별도의 인증은 필요하지 않다.
<2025년 기준 중국 알루미늄 호일 관세율 비교>
(단위: %)
HS Code
MFN 관세
한중 FTA
RCEP
증치세
7607.1110
(두께≤0.007mm)
6%
1.6%
3.6%
13%
7607.1120
(0.007mm<두께≤0.01mm)
6%
0%
3.6%
13%
7607.1190
(0.01mm<두께≤0.2mm)
6%
0%
3.6%
13%
[자료: 2025년 중국 수출입세칙]
시사점 및 전망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신에너지 산업, 에너지 저장 및 5G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전자 알루미늄 호일의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특히, 중국은 ‘탄소중립‘ 목표 실현* 및 신흥 전략적 산업 추진을 위해 신에너지(태양광, 풍력), 재생에너지, 신형 배터리 등 관련 산업 발전에 대해 국가 차원에서 각종 혜택 정책을 내세워 전면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국가 차원의 지원 정책에 힘입어 앞으로도 전자 알루미늄 호일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자 알루미늄 호일은 각종 전자제품, 배터리, 통신설비, 자동차 전자시스템, 산업 제어시스템 등 품목의 핵심 부품인 알루미늄 전해 축전기(铝电解电容器)의 중요한 원재료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중국 ’탄소중립’ 실현 계획 3단계: ①2021년~2030년: 탄소 배출 피크 달성, ②2031년~2045년: 탄소배출 감소, ➂2045년~2060년: 탈탄소화, 탄소중립 달성
다만 중국 전자 알루미늄 호일 산업은 현재 '양적 증가'에서 '질적 향상'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으며, 이미 많은 중국 기업들이 고품질 전자 알루미늄 호일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나노 코팅 알루미늄 호일(纳米涂层铝箔)과 같은 첨단 제품 및 핵심적인 제조 설비는 여전히 수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이에 중국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은 첨단 알루미늄 호일 및 관련 제조 설비에 대한 연구 개발을 강화해 중국 시장 진출을 도모할 수 있으며, 동시에 경쟁사 동향 및 현지 정책 변화에 융통성 있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자료: 관즈하이네이컨설팅(观知海内咨询), 화징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GTA,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2025년 중국 수출입세칙, KOTRA 베이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알루미늄 호일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기능을 넘어 감성 케어까지 공략하는 중국 바디케어 시장 트렌드
중국 2025-04-09
-
2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3
중국 스마트 농업 산업 현황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
중국 2025-04-07
-
4
네 가지 키워드로 보는 중국 안티에이징 화장품 시장
중국 2025-04-07
-
5
기후변화 시대, 해수 담수화 인프라 확대에 주목하는 스페인
스페인 2025-04-09
-
6
홍콩 소비자 전자 제품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트렌드는?
홍콩 2025-04-09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