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소비자 전자 제품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트렌드는?
- 트렌드
- 홍콩
- 홍콩무역관 Bonnie Lo
- 2025-04-09
- 출처 : KOTRA
-
홍콩 소비자 전자 제품 시장은 2029년까지 72억5600만 달러로 완만하게 성장 전망
웨어러블, 스마트 AI, 친환경, 세대를 초월한 인플루언서 마케팅, 신규 브랜드 약진 등 주요 트렌드에 주목해야
소비자 전자 제품 시장 동향
Statista에 따르면, 소비자 전자(consumer electronics)는 개인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 가전제품 및 장비를 의미한다. 소비자 전자제품 시장은 개인용 컴퓨팅 장치,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 모바일 기기, 스마트 홈 제품 등 여러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있다. 아래 본문에서는 Euromonitor의 기준에 따라 소비자 전자제품을 △컴퓨터 및 주변 기기,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장비, △가정용 소비자 가전, △휴대용 소비자 가전 크게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해 살펴보겠다.
Euromonitor에 따르면, 홍콩의 소비자 전자제품 총 판매액은 2019년 301억1000만 홍콩 달러(약 38억6400만 달러)에서 2023년 344억7000만 홍콩 달러(약 44억1800만 달러)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소비자 전자제품 판매액은 2029년에는 566억5000만 홍콩 달러(약 72억5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9년 소비자 전자제품 판매 규모 추이 및 전망>
* 주: 예측 및 시나리오 기준일은 2024년 7월 8일, 적용 환율은 USD 1 = HKD 7.8 (2024.3.31.)
[자료: Euromonitor]
주요 카테고리 및 세부 유형별 판매 추이
소비자 전자 제품의 4가지 주요 카테고리 중, 휴대용 소비자 가전이 가장 인기 있는 제품군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휴대용 소비자 가전제품의 총 판매액은 216억4900만 홍콩 달러(약 27억7500만 달러)를 넘어서며 전체 판매액의 약 58.3%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컴퓨터 및 주변 기기가 25.5%, 가정용 소비자 가전이 16.2%,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기기가 0.05%의 비중을 차지했다.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장비를 제외한 모든 카테고리의 판매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세부 유형별로 살펴보면, 모든 유형의 휴대용 소비자 전자제품의 판매액이 증가했으며, 그중에서 2024년의 경우 웨어러블 전자제품의 성장률이 12.7%로 가장 높았다. 특히 스마트 워치 판매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81.9%의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홍콩 소비자들이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 추적 및 운동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모바일 전화기와 휴대용(포터블) 플레이어도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1% 이상의 판매액 증가를 기록했으며, 코로나 이후 홍콩 소비자들의 이동성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휴대용 소비자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기기 제품의 판매액은 2024년 전년 대비 12.3% 감소하면서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Euromonitor는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차량에 내장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만족하며 업그레이드를 원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한, 스마트폰과 무선 스피커 등 다른 소비자 가전제품의 품질과 기능이 향상되면서, 홍콩 소비자들은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보다 기능이 다양하면서도 휴대하기 편리한 대체 제품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비의 판매액은 2019년부터 2024년까지 97.8% 크게 감소했다. 이는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으로 홍콩 운전자들이 별도의 차량 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구매하지 않고 스마트폰의 GPS 기능에 의존하게 됐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홈 오디오 씨어터 제품 판매도 2024년 전년 대비 9.1% 감소했다. 이는 젊은 홍콩 소비자들이 홈 오디오 및 시네마 시스템보다 무선 스피커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22~2024년 홍콩 소비재 전자 제품 카테고리 및 세부 품목별 판매액 추이>
(단위 : US$ 백만, %)
품목
2022년
2023년
2024년
2023년 대비 2024년 증가율
소비재 전자제품
33,569
34,472
37,126
+7.7
- 컴퓨터 및 주변기기
9,200
9,276
9,462
+2.0
- 차량용 기기
23
20
18
-10
- 가정용 기기
5,227
5,543
5,997
+8.2
·홈오디오 씨어터
750
682
620
-9.1
·홈비디오
4,477
4,862
5,378
+10.6
- 휴대용 기기
19,119
19,632
21,649
+10.3
·헤드폰
1,560
1,600
1,659
+3.6
·이미징 디바이스
1,083
1,125
1,158
+2.9
·모바일폰
15,239
15,489
17,240
+11.3
·포터블 플레이어
342
357
397
+11.2
·웨어러블 기기
914
1,060
1,195
+12.7
* 주: 예측 및 시나리오 기준일은 2024년 7월 8일
[자료: Euromonitor]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Apple이 1위이고 Samsung이 2위를 기록하며 전체 시장점유율의 절반 정도 차지하고 있어 홍콩 소비자 가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타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2023년 22.9%에서 2024년 26.5%로 3.6%p 증가하며 두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홍콩 소비자들이 점점 다양한 신규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를 소비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Euromonitor에 따르면 샤오미(Xiaomi)와 화웨이(Huawei) 같은 중국 주요 본토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도 전체 시장 점유율이 감소했으나, 일부 제품(특히 텔레비전과 헤드폰)에서의 시장 점유율은 가격 대비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크게 증가하며 품목별 차이를 보인 것으로 분석했다. 홍콩 소비자들 사이에서 중국 본토 소비자 가전제품의 인기는 품목별로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유통 채널
홍콩 소비자들은 전자제품을 온라인 상점보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며 대다수는 전자제품 전문 매장에서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Euromonitor에 따르면, 2024년 홍콩 소비자의 78.4%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전자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상점에서 구매한 비중은 21.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홍콩 소비자들은 Fortress, Broadway, Suning과 같은 지역 오프라인 전자제품 매장을 방문해 다양한 휴대폰 모델을 실제로 보고 여러 기능을 테스트하며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경향이 있다. 또한, 매장 내 전문가에게 개인 취향에 맞춘 제안을 받는 것을 좋아한다. 2024년 소비자 전자제품의 오프라인 판매 비중은 78.4%로 2022년 대비 0.8% 포인트 증가하며 완만한 성장을 보인 반면, 온라인 판매 비중은 2024년 21.6%로 2022년 대비 0.8% 포인트 감소하였다.
<홍콩 내 소비자 전자제품의 유통 경로별 판매 비중>
(단위 : %)
유통경로
2022년
2023년
2024년
소매점포
77.6
78.8
78.4
- 전자가전 전문소매상
74.2
75.5
75.4
- 기타 소매상
3.4
3.3
3.0
온라인 샵
22.4
21.2
21.6
[자료: Euromonitor]
홍콩 소비재 전자 시장의 주요 트렌드
1) 인공지능(AI) 등 스마트 기능 기반의 제품 수요 증가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들은 제품의 AI 등 스마트 기능이 강화된 제품을 소개해 왔다. 최신 기술과 기능에 관심이 많은 홍콩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이러한 기능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스마트 TV, 스마트폰, 스마트워치와 같이 AI 기능이 포함된 소비자 전자제품은 홍콩 소비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삼성 갤럭시 AI 시리즈는 단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능, 스마트 비디오 편집기, 즉석 번역 및 AI 기반 음성 비서와 같은 다양한 AI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을 제공하고 있다. 샤오미15 스마트폰 시리즈 또한 텍스트, 소리, 이미지 처리에 첨단 AI 기술을 통합한 브랜드 자체 AI 시스템인 "샤오미 하이퍼 AI"를 탑재해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홍콩에서 인기 있는 휴대용 소비자 전자제품 사진>
Samsung Galaxy S25 Series
Samsung Galaxy Tab S10
Samsung Galaxy Tab S10+
Xiaomi 15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 촬영]
Statista에 따르면, 홍콩 소비자의 약 40%는 안전과 보안을 매우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많은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들은 홍콩 내수 시장 판매 확대를 위해 강화된 보안 시스템을 강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HONOR Magic 7 Pro AI 스마트폰은 영상 통화 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설계된 획기적인 안티 스푸핑 얼굴 인식 기능을 선보였다. 이 기술은 상대방이 딥페이크 등 AI 기반 얼굴 변환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지 감지해 의심스러운 활동이 발견되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내 잠재적인 사기나 범죄를 방지하도록 한다.
<'안티 스푸핑 얼굴 인식 기능'을 보유한 HONOR Magic 7 Pro AI 스마트폰>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 촬영]
2) 휴대용 소비자 전자제품의 인기는 지속 상승
코로나 기간에 정착한 새로운 근무 방식과 라이프스타일이 코로나 후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gan McKinley 사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2024년에도 직원의 80%가 하이브리드 또는 원격 근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하이브리드 또는 원격 근무를 선호함에 따라 헤드폰, TWS(True Wireless Stereo) 이어버드, 무선 스피커에 대한 홍콩 소비자들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Statista에 따르면, 홍콩 소비자의 40% 이상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첨단 기술을 갖춘 고품질 오디오 성능과 경험을 제공하는 이어폰과 TWS 이어버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SONY와 Bose의 이어폰 및 TWS 이어버드는 소음 제거 기능과 고해상도 오디오를 지원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홍콩에서 인기 있는 해드폰 및 이어버드 제품 예시>
Sony WH-1000X M5
Bose QuietComfort Earbuds
[자료: KOTRA 홍콩무역관 자체 촬영]
코로나 이후 많은 홍콩 사람들이 건강과 웰빙을 더욱 중시하게 됐다. Statista에 따르면, 홍콩 소비자의 58%가 건강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싶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트렌드는 운동 기록과 건강 상태를 추적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의 인기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워치 시리즈는 운동 중 심박수 모니터링, 달리기나 자전거와 같은 야외 활동을 위한 GPS 추적 등 다양한 운동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가민(Garmin) 스마트워치는 수면 코치 기능과 명상 가이드를 도입해 사용자가 수면의 질을 최적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돕고 있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홍콩에서 인기 있는 스마트워치 제품 사진>
Samsung Galaxy Watch Series
Garmin Forerunner, Instinct, Vivoactive, Venu Series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 촬영]
3) 친환경 제품에 대한 선호는 여전
홍콩 사람들은 지속 가능한 소비와 에너지 효율적인 제품 구매를 선호하고 있다. Sustainable Consumer Choice Survey 2024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70%가 품질과 가격이 비슷할 경우 지속 가능성 요소를 갖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또한 73%는 브랜드, 제품, 서비스 등을 선택할 때 지속 가능성 요소를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Statista 자료에 따르면, 홍콩 소비자의 40%는 전자 제품을 선택할 때 에너지 효율성을 세심히 살펴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이 주목을 끌면서 Acer는 친환경 Aspire Vero 노트북 시리즈를 출시했다. 이 시리즈는 소비자가 이미 사용한 재활용(PCR) 소재로 제작되며, 포장은 100% 재활용 가능하며 노트북 스탠드로도 재사용할 수 있다. 이 노트북 시리즈는 제품 수명 주기(Product Life Cycle)에서 탄소 중립을 목표로 해 사용자가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ACER Vero Series 온라인 판매 사진>
[자료: Fortress 공식 웹사이트]
텔레비전도 지속 가능성이 중시되는 품목 중의 하나다. Euromonitor에 따르면 주요 제조사들은 8K 텔레비전 개발을 중단하고, 에너지 사용량 측면에서 8K 대신 4K 텔레비전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은 홍콩의 에너지 효율 라벨링 제도에서 레벨 1(전기를 적게 소비하는 가전제품에 부여) 라벨을 받은 4K 스마트 텔레비전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다.
<Samsung의 4K 스마트 TV>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자체 촬영]
4) SNS를 활용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효과적, 고령층도 예외 없어
Statista의 ‘Social Media Hong Kong’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의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2021년 670만 명에서 2024년 700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이로 인해 홍콩의 소셜 미디어 광고 시장에서 단위당 평균 수익이 2021년 62.1 달러에서 2024년 80.4 달러로 30%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소셜 미디어 채널 중에서 홍콩 사람들이 월평균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플랫폼은 YouTube(22.3시간)이며, 그다음으로 Facebook(13.5시간)과 Instagram(12.5시간)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의해 영향을 받은 소비자들이 일반 인터넷 사용자보다 해당 기업 제품에 대해 더 높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소비자의 전자제품 구매에 대한 관심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도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효과와 소셜 미디어 광고를 통한 판매 확대 등을 고려해, 주요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들은 홍콩 소비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인기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발하게 인플루언서 마케팅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삼성은 최근 홍콩 MZ 세대 사이에서 인기 있는 신인 가수 Yan Ting과 Mandy Tam, 아역 배우 Sean Wong, 유튜버 Ansheles를 초대해 Galaxy AI 시리즈를 홍보하는 소셜 미디어 광고 시리즈를 YouTube, Facebook, Instagram에서 제작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또 다른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인 SONY는 홍콩 가수 Jace Chan을 통해 LinkBuds TWS 이어버드 제품을 자사 소셜 미디어 채널에서 홍보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했다.
<홍콩의 유명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소셜 미디어 광고 예시>
Samsung Galaxy AI Series
Sony LinkBuds Series
[자료: Samsung Hong Kong 공식 유튜브, SONY Hong Kong 공식 인스타그램]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소비자의 인터넷 사용률은 2022년 81.8%에서 2023년 84.2%로 증가했고, 스마트폰 보급률 또한 2020년 68.1%에서 2022년 90.7%로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들은 젊은 가수 및 인플루언서와 협업하는 것 외에도 고령층 사이에서 인기 있는 유명인들을 초청해 제품을 홍보하기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삼성은 2024년 베테랑 배우 Michael Hui를 통해 최신 AI 기반 스마트폰 Galaxy S25 Ultra를 홍보하는 소셜 미디어 광고를 제작했다. 이처럼 지역과 세대에 맞는 유명인을 초청해 소셜 미디어에서 자사 제품을 홍보함으로써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들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다양한 세대의 잠재 고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삼성의 소셜 미디어 광고>
[자료: Samsung Hong Kong 공식 페이스북]
현지 전문가 인터뷰
KOTRA 홍콩무역관은 홍콩 최대 온라인 쇼핑몰 중 하나인 H사의 소비자 전자제품 카테고리 K씨와의 인터뷰를 통해, 홍콩 소비자 전자 시장 트렌드와 한국 기업이 홍콩 시장 진출 시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물어보았다.
Q1: 홍콩 소비자 전자 시장의 트렌드는 무엇인가요?
A1: 홍콩 소비자 전자 제품 시장은 전자상거래 시장의 발달과 신유통(New Retail)의 영향을 받아 온라인과 오프라인 및 스마트 물류 기능의 융합이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소비자들은 스마트 휴대용 기기를 선호하며, 5G가 보급되면서 고성능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기술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Q2: 홍콩에서 가장 인기 있는 소비자 전자제품은 무엇인가요?
A2: 스마트 조명, 보안 시스템, 스마트폰, 태블릿 및 스마트 홈 기기가 가장 인기가 많으며, 특히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가진 혁신적인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워치를 비롯한 무선 이어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휴대 편의성과 건강 관리 지원 기능 덕분에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Q3: 한국 기업이 홍콩 시장에 진출할 때의 강점과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A3: 한국 기업은 OLED, 5G와 같은 첨단 기술과 혁신적인 디자인을 바탕으로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한류 문화는 젊은 고객층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홍콩 내 시장 경쟁이 치열하고 가격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다국어 지원 등을 통한 현지화 노력, 체계적인 사후 서비스(A/S)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EPSR(Electrical Products (Safety) Regulation)와 같은 전기 안전 관련 규정을 포함한 홍콩 내 법규를 준수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제품별로 인증 요건을 사전에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을 권장하고 싶습니다.
시사점
홍콩의 소비자 전자제품 시장은 그간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홍콩에서 웨어러블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가 가장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기기 시장은 상대적으로 크게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소비자들은 스마트 및 AI 기능이 있는 전자 제품을 선호하고, 구매 의사 결정 시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며,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영향을 많이 받고, 기존의 인기 있는 브랜드 외에 남들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소비자 전자제품 브랜드를 찾는 매우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홍콩의 전체 소매 판매 실적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홍콩의 소매 판매 총액은 2023년 4066억4900만 홍콩 달러(약 521억9858만 달러)에서 2024년 3768억4700만 홍콩달러(약 483억9103만 달러)로 약 7.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홍콩 정부가 발표한 2025년 1월 소매 판매 실적에 따르면, 1월 소매 판매 실적은 3.0% 감소하며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으나, 2024년 말 대비 감소세가 상대적으로 둔화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홍콩 소매 시장 분위기를 감안했을 때, 우리 기업들은 앞서 언급된 홍콩 소비자 전자제품 시장 트렌드를 고려해 전략적으로 홍콩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홍콩 소비자는 소비자 전자제품을 주로 오프라인으로 구매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적극적인 마케팅 홍보 활동도 중요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다만, Hong Kong Commercial Daily에 따르면, 2024년부터 타오바오(Taobao), 징둥닷컴(JD.com), 핀둬둬(Pinduoduo) 등 여러 중국 본토 온라인 쇼핑몰이 홍콩으로의 직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 본토의 주요 소셜 미디어 채널인 샤오홍슈(小红书)는 홍콩에서도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위에 언급된 중국 본토 온라인 쇼핑몰들은 홍콩 로컬 인플루언서를 초청해 샤오홍수에서 홍콩으로의 직배송 서비스를 홍보하는 등 오프라인 및 온라인 마케팅 캠페인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는 2025년 1~12월 1년간 중국 본토 온라인 쇼핑몰에서 전자제품을 구매할 경우 중국 시민들에게 최대 2000위안(약 275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하는 소비 진작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본토 여행 허가증과 본토 휴대폰 번호를 보유한 홍콩 시민들도 이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올해 더 많은 홍콩 사람들이 중국 본토 쇼핑몰을 통해 전자제품을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자료: 홍콩무역발전국 (HKTDC), 홍콩통계청, Samsung, SONY, Fortress, Statista, 유로모니터, Hong Kong Business, Hong Kong Commercial Daily, South China Morning Post,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소비자 전자 제품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트렌드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기능을 넘어 감성 케어까지 공략하는 중국 바디케어 시장 트렌드
중국 2025-04-09
-
2
생성형 AI 시대, 일본의 취업 활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일본 2025-04-09
-
3
기후변화 시대, 해수 담수화 인프라 확대에 주목하는 스페인
스페인 2025-04-09
-
4
스웨덴 스마트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
스웨덴 2025-04-08
-
5
미국 필기구 시장 동향
미국 2025-04-08
-
6
미국 시장에서 성장이 기대되는 K-메디컬 에스테틱
미국 2025-03-31
-
1
2025년 홍콩 선박 MRO 산업 정보
홍콩 2025-03-20
-
2
2024년 홍콩 화장품 산업 정보
홍콩 2024-10-30
-
3
2024년 홍콩 MICE 산업 정보
홍콩 2024-02-21
-
4
2023년 홍콩 산업 개관
홍콩 2023-06-05
-
5
2023년 홍콩 주얼리 산업 정보
홍콩 2023-05-24
-
6
2022년 홍콩 법률서비스 산업 정보
홍콩 2022-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