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스마트 농업 산업 현황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
- 트렌드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5-04-07
- 출처 : KOTRA
-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의 스마트화·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있는 중국 농업
2025년 중국 스마트 농업 시장 규모 1200억 위안 돌파 전망
중국은 최근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5G 등 차세대 IT 기술을 전통 농업 기술과 융합해 생산 효율성과 정밀도를 높이는 스마트 농업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농업의 생산·관리 방식 전반을 스마트화·자동화 방향으로 전환하고, 농업 산업 구조를 전면 재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이러한 변화를 뒷받침할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제도적 기반 정비를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시장 현황
스마트 기술의 실용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고,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도 뒷받침되면서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스마트 농업 시장 규모는 약 1050억 위안으로 집계되며, 2025년에는 120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스마트 농업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최근 몇 년간, 스마트 품종 개량, 스마트 재배·사육, 스마트 물류 서비스, 농산물 품질·안전 관리 및 전 주기 이력 관리 시스템 등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 생명공학과 차세대 IT 기술도 농업 현장에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현재 스마트 농업 시장에서는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가 36%, 스마트 재배가 3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농약 살포용 드론(20%), 스마트 사육(12%), 농기계 자율주행(1%) 등 활용 기술의 적용 분야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중국 스마트 농업 시장 구조>
(단위 : %)
[자료 :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산업 벨류체인
스마트 농업 산업은 기초 자원 및 기술(업스트림), 생산 및 운영(미들스트림), 가공 및 유통(다운스트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업스트림은 생산 이전 단계를 말하며, 사료, 비료, 농기계 등 기본적인 원자재와 장비,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차세대 정보기술이 포함돼 있다. 미들스트림은 스마트 농업의 핵심으로, 디지털 농업, 정밀 농업, 농업용 IoT, 스마트 농업 기술 등 세부 분야로 구성된다. 마지막 다운스트림은 농산물의 가공, 유통, 서비스 분야로, 농촌 전자상거래, 신선식품 전자상거래, 콜드체인 물류, 농업 금융 등 세부 분야로 나눠지며, 이러한 분야는 스마트 농업 기술을 기반으로 농산물의 부가가치와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스마트 농업 벨류체인>
[자료 :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시장경쟁 현황
중국의 스마트 농업 기업은 크게 IT 대기업, 특정 분야 선도기업, 농업기술 혁신 기업, 그리고 전통 농업 기업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DJI Agriculture(大疆农业), 화웨이(华为), 알리바바 클라우드(阿里云) 등 IT 대기업은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농업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XAG(极飞科技), Top Cloud-Agri Tech (托普云农) 등 기업들은 각각 드론, 스마트 장비 등 특정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부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Beidahuang Group(北大荒), New Hope Group(新希望), Wen's Food Group(温氏股份) 등 전통 농업 기업들도 스마트 사육 시스템을 도입하고, 자율주행 농기계 등을 적극 활용하며 스마트 농업 분야에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중국 스마트 농업 주요 기업 현황>
구분
기업명
주요 기술 및 성과
IT대기업
(互联网与科技巨头)
DJI Agriculture
(大疆农业)
- 전 세계 농업용 드론 시장 점유율 70% 이상 차지
- 누적 서비스 제공 농지 면적: 약 666,670㎢ 이상
- 정밀 살포 기술을 통해 농약 사용량 30% 절감
화웨이
(华为)
- ‘디지털 농업 클라우드 플랫폼(数字农业云平台)’을 출시하고, 5G와 AIoT(인공지능 융합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해 신장(新疆) 지역 면화 재배지에 물·비료 자동 공급 시스템 구축
- 물 사용량 기존 대비 약 40% 절감
알리바바 클라우드
(阿里云)
- 중국 농업농촌부(农业农村部) 협력, ‘농업·농촌 빅데이터 플랫폼(农业农村大数据平台)’구축
- 전국 2000여 개 현(县)의 농산물 생산 및 유통 데이터 통합 관리
JD닷컴
(京东)
- 자사 이커머스 플랫폼 활용, ‘농장에서 식탁까지(农场到餐桌)’추적 가능한 농산물 유통 시스템을 구축해 농산물 이력 관리 체계 강화
특정 분야 선도기업
(垂直领域头部企业)
XAG
(极飞科技)
- 농업용 드론, 무인 차량, 스마트 농장 관리 시스템 특화
- 2023년 기준 서비스 면적 약 466,670㎢ 이상, 전 세계 50개 국 이상에 서비스 제공
Top Cloud-Agri Tech
(托普云农)
- 농업용 센서 및 스마트 장비 분야 특화
- 중국 전역 2000여 개 현(县)에서 자사 토양 수분 모니터링 시스템 활용 중(데이터 정확도 95% 이상)
FJ Dynamics
(丰疆智能)
- Zoomlion(中联重科) 자회사로, 자율주행 트랙터 개발
- 헤이룽장성 농장에서 파종·관리·수확 전 과정 무인화 시스템 도입
혁신 기업
(农业创新性企业)
Beijing Standard World
(佳格天地)
- 위성 원격탐사 기술 기반 작물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 2022년 기준 중국 내 약 80,000㎢ 농지 모델링 완료
McFly Tech
(麦飞科技)
- 스펙트럼(光谱) 분석 기술을 활용해 병충해 실시간 조기 경보 시스템 구현
- 후베이 지역 벼 재배지에 적용, 병충해 발생률 50% 감소
전통 농업 기업
(传统农业企业转型)
New Hope Group
(新希望)
- ‘스마트 사육 클라우드 플랫폼(智慧养殖云平台) 구축
- AI 카메라를 통해 돼지 건강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마리당 사육 비용 15% 절감
Wen's Food Group
(温氏股份)
- 사물인터넷(IoT) 기반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적용해 닭 사육장의 온도 및 습도 변동 폭을 ±5%에서 ±1%로 줄여 폐사율 3%p 감소
Longping High-Tech
(隆平高科)
- AI 기반 작물 재배 모델과 정밀 시비(施肥) 기술을 도입해 작물 수확량 증대 및 품질 개선
Beidahuang Group
(北大荒)
- 자율주행 트랙터 등 스마트 농기계 도입을 확대해 대규모 농지 자동화 관리 체계 구축
Muyuan Foods
(牧原股份)
-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돼지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육 효율성 제고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정부 정책
중국 정부는 스마트 농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제도 기반을 강화하고, 현장 적용을 위한 시범 프로젝트도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 기반 정밀 농업 등 실행 전략이 구체화되면서, 기술 상용화를 넘어 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하며, 지역별 여건에 따른 지원을 강화하고, 민간 기업이 안정적으로 기술을 도입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도 주력하고 있다.
<중국 스마트 농업 관련 정책>
발표시기
정책명
주요 사항
2024.10.
전국 스마트 농업 행동 계획
(2024-2028)
(全国智慧农业行动计划)
- △스마트 농업 공공서비스 역량 강화, △핵심 분야 활용 확대, △시범사업 추진 등 3대 영역에서 8개 주요 과제 본격 추진
2024.5.
디지털 농촌 건설 가이드라인 2.0
(数字乡村建设指南2.0)
- 기존 공공지원 플랫폼을 ‘농업 관련 데이터 자원(涉农数据资源)’으로 통합
- ‘스마트 농업’을 디지털 농촌 경제 내에서 독립된 영역으로 분리하고, 지역별 스마트 농업 발전을 본격적으로 지원
2024.1.
’데이터 요소X’ 3개년 행동계획
(2024-2026)
(“数据要素X”三年行动计划)
- 원격탐사, 기상, 토양, 재배, 재해, 병충해, 시장 등 데이터를 융합해 데이터 기반 정밀 농업(정밀 재배·사육·어업) 실현 및 농산물 생산성 향상 추진
2023.6.
농촌 진흥 전면 추진과 농업 강국 건설 가속화를 위한 금융지원 지침
(关于金融支持全面推进乡村振兴加快建设农业强国的指导意见)
- 현대화된 시설 농업을 기반으로 금융 서비스의 혁신 추진
2022.12.
’제14차 5개년 계획’
내수 확대 전략 실행 방안
(“十四五”扩大内需战略实施方案)
- 스마트 농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생산부터 경영·관리까지 농업 전 과정의 디지털 전환 추진
2022.5.
농촌 건설 추진 이행 방안
(乡村建设行动实施方案)
- 스마트 농업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관련 기술과 제도 기반 강화
- ‘인터넷+’기반 농산물 유통 확대 및 이커머스를 통한 농촌 활성화 정책 마련
- 스마트 농업에 특화된 기상 플랫폼 구축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및 코트라 광저우무역관 정리]
시사점
중국은 정보화, 디지털화, 스마트화, 무인화를 핵심으로 스마트 농업을 본격 추진 중이며, 디지털 농업을 농업 현대화와 구조 전환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드론, 스마트 관개 시스템, 정밀 생물 육종 기술 등이 농업 생산 과정에 도입되면서, 경작부터 수확에 이르는 전 과정의 자동화 및 스마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AI)과 저고도 드론 산업(低空经济) 등 신기술이 농업 현장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도입은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농업 운영 방식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재배와 관리의 자동화·정보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기존 단순노동 중심이었던 농업 종사자의 역할도 점차 기술 기반의 운영·관리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중국 IT 대기업 AI 기술자 Z씨는 광저우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향후 스마트 농업의 경쟁력은 데이터 표준화와 기술 생태계 조성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 농가도 부담 없이 스마트 농업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장비는 소형화하고 시스템은 직관적으로 설계하는 등 현장 활용도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스마트 농업 초기에는 데이터 기반이 부족해 정밀 농업 기술이 생산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지 못했다. 그러나 정부 정책과 민간 참여가 확대되면서 스마트 농업 기술의 현장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은 정책·기술·산업 세 축을 중심으로 스마트 농업 체계를 빠르게 정비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속 가능한 농업 시스템 구축과 새로운 협력 기회 발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천용망(千龙网), NEWSSINA(新浪新闻), 광명망(光明网), 인민일보(人民日报), KOTRA 광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스마트 농업 산업 현황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민(民)-관(官)-학(學) 협력으로 고속 성장 중인 중국 인공지능(AI) 산업
중국 2025-04-07
-
2
미국, 원전 르네상스 시대 개막...원전 설비 진출 기회 확대
미국 2025-04-08
-
3
건강하고 안전하게...'웰빙'에 방점을 둔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
슬로바키아 2025-04-07
-
4
중국 공작 기계 산업 및 기술 동향
중국 2025-04-07
-
5
2025년 칠레 그린수소산업 정보
칠레 2025-04-08
-
6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동향 및 시장 전망: 길림성 소재 제일기차그룹의 글로벌 기업 협력 수요를 중심으로
중국 2025-04-08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