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페루 산업개관
  • 국별 주요산업
  • 페루
  • 리마무역관 한규민
  • 2025-03-25
  • 출처 : KOTRA

페루 산업구조, 1차 산업 6.0%, 2차 산업 32.3%, 3차 산업 52.7% 차지

경제 다각화를 위한 인프라, 제조업, 관광업 등 다양한 산업 정책 수립 중

페루 산업별 GDP 비중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페루의 GDP2833억 달러다. 업종별 GDP 비중을 살펴보면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이 52.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2차 산업이 32.3%, 1차 산업은 6.0%를 차지했다. 지난 5년간 업종별 GDP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1~3차 산업의 각 비중은 1~2% 범위 내에서 소폭만 변동하며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산업별 GDP 비중>

(단위: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축산업

6.1

5.7

5.7

5.6

5.7

수산업

0.4

0.4

0.4

0.3

0.3

1차 산업

6.5

6.1

6.1

5.9

6.0

광업·석유가스

11.8

11.3

11.0

11.9

11.8

제조업

12.6

13.2

13.1

12.2

12.3

건설업

5.6

6.7

6.7

6.2

6.2

전기, 가스, 수도사업

2.0

1.9

1.9

2.0

2.0

2차 산업

32.0

33.1

32.7

32.3

32.3

자동차 판매 및 정비

10.1

10.5

10.5

10.8

10.7

운송·창고업

4.6

4.9

5.1

5.2

5.3

숙박·요식업

1.8

2.2

2.7

2.8

2.8

정보통신업

5.4

5.3

5.3

5.2

5.2

금융·보험업

5.9

5.4

5.1

4.9

4.6

사업 지원 서비스업

4.6

4.6

4.5

4.6

4.6

공공·국방

6.0

5.5

5.5

5.7

5.7

기타 서비스

14.2

13.3

13.3

13.7

13.8

3차 산업

52.6

51.7

52.0

52.9

52.7

순생산세 및 수입세

9.0

9.2

9.2

9.0

9.0

[자료: 페루 통계청(INEI), 2025.03]

 

페루 산업 정책

 

페루 경제는 광물, 에너지 자원 생산에 크게 의존하는 특징을 보이지만, 정부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발전을 적극 추진하며 경제 구조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 1·2·3차 산업별 정책을 살펴보면, 2021-2030년 국가 농업 정책(Política Nacional Agraria 2021-2030, PNA), 제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국가 산업 발전 정책(Politica Nacional de Desarrollo Industrial, PNDI), 2022-2025 지속가능 인프라 개발 계획(Plan Nacional de Infraestructura Sostenible para la Competitividad, PNISC), 2022-2025년 관광 산업 재활성화를 위한 국가 전략(Estrategia Nacional de Reactivación del Sector Turismo 2022-2025) 등이 있다.

 

1) 농업: 국가 농업 정책(PNA)

페루 농림부(Ministerio de Desarrollo Agrario y Riego, MIDAGRI) 자료에 따르면, 페루 내 농업 종사자는 약 230만 명이며 이 중 자급자족형 농업 생산을 하는 가족농업 생산자(productores agrarios de la agricultura familiar) 비율이 매우 높아 지속 가능한 농업 개발의 저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페루 정부는 국가 농업 정책(PNA)을 발표하고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농업 경쟁력을 36% 향상시키는 동시에 농촌 지역의 만연한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정부는 농업 생산자들이 내수 시장을 넘어 해외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단순한 농산물 생산을 넘어 가공·포장·브랜딩·유통을 거친 고부가가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세부 지원 정책으로는 금융 지원 및 유통망 강화 농업 생산자 역량 강화 프로그램 제공 통합 농업 정보 시스템 구축 등이 있다.


<페루 정부의 국가 농업 정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PNA.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4pixel, 세로 521pixel

[자료: 페루 농림부]


2) 제조업: 국가 산업 발전 정책(PNDI)

페루 제조업은 전체 GDP12.3%로 멕시코, 브라질, 칠레 등 역내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비중이 낮은 편이다. 페루의 주요 제조업 생산 품목은 금속·비금속 광물 제품으로 전체 23.6%를 기록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구리 제조가 여기에 포함된다. 페루에서 제조되는 제품은 대부분 금속·비금속 제품, 식품, 화학제품, 의류 등으로 한정적이며, 기계·장비(3.3%), 의약품(1.3%), 컴퓨터 및 전자제품 (0.2%) 등의 생산 인프라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2022년 기준, 페루 내 정식 등록된 중소기업 수는 224만5795개 사이며, 이 중 도·소매업(44.6%)과 서비스업(40.7%)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조업체는 19만2618개 사로 전체 8.6%만 차지했다.

 

<2024년 주요 제조업 품목>

(단위: %)

품목 

비중

금속·비금속 광물 제품

23.6

제분, , 빵 등

6.1

화학제품

6.0

음료 및 담배

4.3

의류

4.2

고무 및 플라스틱

3.7

석유 정제

3.6

육류 가공 및 보존

3.4

가구 제조

3.4

기계·장비

3.3

기타

38.4

[자료: 페루 통계청(INEI), 2024.12]

 

페루 정부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자 페루 정부는 국가 산업 발전 정책(Politica Nacional de Desarrollo Industrial, PNDI)을 수립했다. 페루 국가 산업 발전 정책(PNDI)의 최종 목표는 2030년까지 제조업의 GDP 비중을 14%까지 확대하고, 전체 수출 품목에서 첨단 기술 제품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다.

 

페루 정부의 첫 번째 세부 목표는 제조업 부문 근로자 생산성 향상이다. 이를 위한 세부 정책으로는 제조업 대상 직업 훈련 강화 생산 공정 개선 및 자동화 투자를 위한 금융 상품 강화 비공식 기업의 공식화 지원 경영 관리 도구 개선 제조 프로세스 디지털화 지원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업 근로자 1인당 연간 생산성을 20194만4328(1만2000달러)에서 20305만9900(1만6000달러)까지 향상하고자 한다.

 

두 번째 목표는 페루 내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및 수출 비중 확대이다. 2019년 이후 발생한 세계 무역 분쟁, 팬데믹 이후 페루는 중국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를 줄이고자 자국 제조업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세부 정책으로는 기술 집약적 제품 개발 연구개발(R&D) 강화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기업의 혁신적인 문화 생태계 조성 등이 있다세 번째 목표로는 제조업체를 위한 인프라 개선가 있으며, 이를 위해 산업 단지 조성 전력 및 인터넷망 설치 폐기물 및 폐수 수거 처리 시스템 구축 응급 의료 서비스 확보 등 필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 목표로는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규제적 환경 개선이 있다. 정책적 불확실성이 산업 성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제조업 발전을 위해 명확한 법·규제 프레임워크와 지속적인 제도적 지원을 시행코자 한다. 세부 정책으로는 제조업 활성화 정책·설계·실행·평가를 담당하는 공무원 역량 강화 부처 간 협력 확대 전자 정부 시스템을 활용한 기업의 행정 절차 간소화 등이 있다.

 

3) 인프라 산업: 2022-2025 지속가능 인프라 개발 계획(PNISC)

페루 정부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지역 간 인프라 격차 해소 및 공공서비스 접근성 개선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자 지속가능 인프라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72개 우선순위 사업으로 선정된 프로젝트 투자 규모는 총 1466억 솔(400억 달러)이다. 사업 분야는 보건, 교통, 수자원, 통신, 교육, 전기, 농업관개, 석유·가스, 생산, 환경 등 10개로 구성되었으며 국가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를 망라하고 있다.

 

<분야별 프로젝트 규모>

분야

프로젝트
(개수)

투자액
(백만 솔)

투자액
(백만 달러*)

비중

보건

22

7,470

2,052

5.1%

교통

18

84,147

23,117

57.4%

상하수도

12

6,800

1,868

4.6%

통신

9

11,135

3,059

7.6%

교육

4

7,650

2,102

5.2%

전기

2

1,944

534

1.3%

농업 관개

2

5,169

1,420

3.5%

석유가스

1

19,157

5,263

13.1%

제조

1

2,864

787

2.0%

환경

1

286

79

0.2%

72

146,622

40,281

100%

*환율: 1달러 당 3.64솔 적용

[자료: 페루 재정경제부, 2022. 10]

 

20247월 발표된 지속가능 인프라 개발 계획 추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총 72개 프로젝트 중 52개 사업이 실행 중(Fase de ejecucion)이며, 1328100만 솔(36억 달러)이 집행됐다. 페루 정부는 인프라 개발 계획(PNISC) 발표 후 입법령(Decretos Legislativos) 1543, 1550, 1559를 개정했으며, 민간 투자 촉진, 프로젝트 승인·실행·평가 프로세스 효율성 향상, 공공-민간 협력사업(APP) 관리 체계 개정 등을 통해 인프라 개발 계획이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4) 관광업: 2022-2025 관광 산업 재활성화를 위한 국가 전략

페루 관광 산업은 2019년까지 국가 GDP3.9%를 차지했으며 직간접적으로 15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왔다. 그러나 팬데믹 이후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GDP 및 외화 수입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후 페루 정부는 2022-2025년 관광 산업 재활성화를 위한 국가 전략을 수립했는데, 세부 목표로는 관광지 거버넌스 역량 강화 관광지 편의성 개선 관광 상품 개발 관광 홍보 마케팅 강화 등이 있다.

 

페루 통상관광부는 202461일부터 마추픽추 온라인 티켓 구매 플랫폼 뚜 볼레또 꿀뚜라(Tu Boleto Cultura)”를 오픈하기도 했으며, 2024 APEC에 맞춰 지역 관광지 홍보를 강화하는 등 국가 전략을 추진하며 관광 산업 회복에 박차를 가했다.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1년 외국인 관광객이 44만 명까지 하락했지만, 이후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2024년에는 325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2019년 관광객 437만 명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2022년 이후 매해 50만 명 이상 외국인 관광객 유입량이 증가하고 있다.


<페루 관광 산업 재활성화를 위한 국가 전략 표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화면 캡처 2025-03-14 152649.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21pixel, 세로 539pixel

[자료: 페루 통상관광부]

 

산업 정책 관련 기관 및 향후 계획

 

페루의 산업 정책은 산업별로 계획하는 담당 정부 부처가 다른데, 대표적으로 제조업, 수산업, 중소기업 육성 전략 정책을 수립하는 생산부(PRODUCE), 대외 무역 및 관광 산업 진흥 정책을 수립하는 통상관광부(Ministerio de Comercio Exterior y Turismo, MINCETUR), 지속가능한 국가 인프라 계획을 수립하는 재정경제부(Ministerio de Economía y Finanzas, MEF) 등이 있다.

 

<페루 산업 정책 관련 정부 부처 목록>

기관명(국문)

기관명(서어)

웹사이트

교통통신부

Ministerio de Transportes y comunicaciones

https://www.gob.pe/mtc

국방부

Ministerio de Defensa

https://www.gob.pe/mindef

내무부

Ministerio del Interior

https://www.gob.pe/mininter

농림부

Ministerio de Trabajo y Promocion del Empleo

https://www.gob.pe/midagri

보건부

Ministerio de Salud

https://www.gob.pe/minsa

생산부

Ministerio de la Produccion

https://www.gob.pe/produce

에너지광업부

Ministerio de Energia y Minas

https://www.gob.pe/minem

재정경제부

Ministerio de Economia y Finanzas

https://www.gob.pe/mef

주택건설부

Ministerio de vivienda, Construccion y Saneamiento

https://www.gob.pe/vivienda

통상관광부

Ministerio de Comercio Exterior y Turismo

https://www.gob.pe/mincetur

환경부

Ministerio del Ambiente

https://www.gob.pe/minam

[자료: KOTRA 리마무역관 정리]

 

20253, 페루 재정경제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22-2025 지속가능 인프라 개발 계획(PNISC) 이후 새로운 국가 인프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시행될 신규 정책은 영국토목학회(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영국 국가인프라위원회(National Infrastructure Commission), 미주개발은행(IDB) 등의 기술적 지원을 바탕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당 정책은 페루 내 지역적 특성과 필요에 맞게 계획을 수립하고, 중요도와 영향력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정할 것이라 밝혔다. 또한,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프로젝트 실행을 가속화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페루 통상관광부는 새로운 국가 관광 정책을 수립하고자 장관 결의(129-2024-MINCETUR)에 따라 범부처 협의체(Grupo de Trabajo Multisectorial)를 구성했다. 해당 협의체는 통상관광부가 주도하며 농림부, 문화부, 환경부, 외교부, 교통통신부 등 여러 정부 부처가 참여하게 되는데, 통상관광부는 협의체를 통해 페루 최초의 종합 정책이 수립될 것이라 강조했다. 관광 산업은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해야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각 부처의 전문 분야를 활용한다면 장기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유용한 정책이 수립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협의체는 최대 2026년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페루 각 정부 부처는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산업 발전을 위해 새로운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타 부처, 협회, 관련 전문 기관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있다. 실제 통상관광부 범부처 협의회에는 정부부처 관계자 뿐만 아니라, 장애인 국가 위원회(Consejo Nacional para la Integración de la Persona con Discapacidad), 페루공항공사(CORPAC) 등 각 분야의 전문 기관도 참여한다. 이 외 페루 국가 산업 정책 수립 시 방향을 제시하는 기관으로는 페루산업협회(SNI), 리마 상공회의소(CCL) 등이 있다.

 

<페루 정부 부처 외 산업 정책 관련 기관>

기관명

업무

웹사이트

페루산업협회

(Sociedad Nacional de Industrias, SNI)

페루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

정부·민간 부문 간 협력 지원

https://sni.org.pe/

페루 표준원

(Instituto Nacional de Calidad, INACAL)

페루 산업 품질 표준 및 기술 규정 관리

https://www.gob.pe/inacal

리마 상공회의소

(Cámara de Comercio de Lima, CCL)

산업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 운영

정부의 산업 정책 수립 과정에서 기업 의견을 반영하도록 조율

https://www.camaralima.org.pe/

페루 중앙은행

(Banco Central de Reserva del Peru, BCRP)

페루 거시경제 정책 수립

금융 정책을 통한 산업 성장 기반 조성

https://www.bcrp.gob.pe/

[자료: KOTRA 리마무역관 정리]

 

 

자료: 페루 통계청, 페루 농림부, 페루 재정경제부, 페루 생산부, 페루 통상관광부, IMF KOTRA 리마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페루 산업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