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토 가입 이후 주목받는 핀란드 드론 산업 생태계
- 트렌드
- 핀란드
- 헬싱키무역관 이예진
- 2025-03-25
- 출처 : KOTRA
-
핀란드 국가 드론 전략과 로드맵 수립
방위산업 강화와 더불어 드론 산업 생태계 강화 중
유럽연합은 드론 산업이 2030년까지 최대 140억 유로 규모로 성장하고,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러한 가운데, 핀란드 국방 및 항공산업협회(PIA, Finnish Defense and 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는 2025년 2월 10일 산업 관계자 및 정부 기관과 협력해 핀란드 국가 드론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은 핀란드가 향후 5년 이내에 드론 개발 및 상업화 분야에서 선도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핀란드 국가 드론 전략(Suomen Droonistrategia)
'핀란드 국가 드론 전략'에선 2030년까지 다섯 가지 영역을 개발할 필요성과 관련 원칙을 설명한다:
1. 핵심 역량 배양
2. 드론 개발 및 테스트 촉진
3. 테스트, 실험 및 평가 환경 개선
4. 공급망 안정성 확보
5. 운영 및 유지보수 촉진 (신속한 허가 절차 포함)
이 전략은 드론 산업과 중소기업(SME) 성장을 지원하며, 드론 기술 및 서비스에 특화된 신규 기업의 설립을 장려한다. 즉, 투자, 인재 유치, 연구개발(R&D) 자금 지원을 통해 핀란드 드론 기업의 글로벌 확장을 추진하는 것이다. 해당 전략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서비스형 드론(DaaS, Drones-as-a-Service)*’ 모델로,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과 드론 기술을 통합하고자 한다. DaaS 모델은 물류, 보안, 인프라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고 드론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주: 서비스형 드론(DaaS, Drones-as-a-Service): 기업이나 개인이 드론을 직접 구매하거나 운영할 필요 없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만 드론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 드론을 소유하지 않고 서비스 형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운영, 유지보수, 데이터 분석까지 포함된 패키지 서비스가 제공됨. 구독 모델 또는 사용량 기반 요금제 적용.
핀란드는 추운 환경과 광대한 숲 등 독특한 테스트 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드론 기술 실험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삼아 대규모 테스트 연구소, 개방형 시험장, 국가 연구개발(R&D) 시설 등 드론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우선시하고 있다. 위 전략에 따르면, 핀란드는 정부의 드론 활용 요구 사항을 보안, 국방, 공공 응용 분야에서 표준화하며 규제 절차를 간소화해 규제적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현지 정부 당국은 EU 기준에 맞춰 드론 조달 및 운영 관리 절차를 표준화해 핀란드 내 기업들의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 창출에 앞서고 있다. 다만, 핀란드 국가 드론 전략은 공급망 보안 또한 강조하며, 외국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바, 우리 기업들이 핀란드에서 협력 기회를 모색할 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방위산업 강화와 함께 떠오르는 드론
러시아와 1300km 국경을 맞대고 있는 핀란드는 국경 보안을 강화하고 GDP 대비 타 유럽연합 국가보다 높은 방산 예산(2024년 기준, 2.41%)을 편성하고 있다.
2024년 9월, 핀란드는 국방비를 2025년 기준 68억 달러에서 2032년 115억 달러까지 증액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는 GDP 대비 3.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또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와 함께 군사 이동 협정(Cross-border transport corridors)을 체결해 기동성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핀란드는 2023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이하 '나토') 가입 이후 안보 역량을 대폭 강화하고 있으며, 2025년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의장국을 맡아 국제 안보 협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나토 가입 이후 핀란드 방산기업은 EU 및 나토 회원국 방산시장을 새로운 타깃으로 인식하고 있다.
<주목해야 할 핀란드 방산산업의 움직임>
러-우 사태(’22. 2월) ➜ 제1회 핀란드 헬싱키 안보전시회 개최(‘23. 2월) ➜ 핀란드 NATO가입(’23. 4월) ➜ 핀란드-미국(United States) 방위 협력 협정(DCA, Defense Cooperation Agreement) 체결(’23. 12월) ➜ 아르테미스 협정(Artemis Accords) 가입(’23. 1월) ➜ 제2회 핀란드 헬싱키 안보전시회 개최(’25. 1월)
핀란드는 국방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전략 중 하나로 드론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현대 전장에서 드론이 정찰, 전자전, 타격 등의 다목적 용도로 활용되며, 비교적 저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핀란드 국방부는 2023년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이후 신속 대응 능력을 갖춘 무인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드론 기술 개발과 생산 역량 확대를 방위산업의 핵심 과제로 설정했다. 핀란드 국방 드론 기업 A사 B 씨는 KOTRA 헬싱키무역관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최근 해외 사례를 통해 상업용 드론이 강한 전자 교란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 확인됐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파수 도약 방식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SDR, Software Defined Radio)나 광섬유 제어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이 고려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전장에서 수만 대의 드론이 운용되는 만큼, 빠르고 저렴한 생산이 중요하다. 특히, 전자 교란으로 인해 원격 조종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자율 비행 기술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칩셋을 활용한 고급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싱 기술이 필요하다. 이는 현재 군용 드론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라며 핀란드와 유럽 내 군용 드론 발전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또한 핀란드 내 군사와 민간 드론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이라고 밝혔다.
핀란드 남부에 드론 생산 시설 설립한 수마 디펜스(Summa Defence Oy)사
핀란드 방위 및 보안 기술 기업인 수마 디펜스(Summa Defence Oy)사는 핀란드 남부에 드론 생산 시설을 설립했다. 수마 디펜스는 핀란드와 유럽 전역에서 드론 대량 생산을 목표로 2025년 초부터 대규모 드론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2028년 이전까지 5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당사는 이번 드론 생산을 위해 자회사를 설립하고, 이후 핀란드에서 해외 파트너 기업인 콜트(Kort), 엘프 시스템(Elf Systems), 스카이어시스트(Skyassist), 엠피에스(MPS Development)와 합작 법인을 형성할 예정이다. 또한, 새로 설립될 생산 시설에서는 공중 드론뿐만 아니라 지상 및 해상 드론도 생산하며, 수마 디펜스는 생산된 드론을 나토 회원국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파트리아(Patria)사, 핀란드 드론 제조업체 노르딕 드론(Nordic Drones) 인수
방위, 보안 및 항공 생애주기 지원 서비스, 기술 솔루션 및 조종사 훈련을 제공하는 국제적 기업인 파트리아(Patria)는 핀란드 정부가 50.1%의 지분을 가진 북유럽 방산 및 항공 기술 선도 기업이다. 당사는 2024년 6월 노르딕 드론(Nordic Drones)의 인수 계획을 밝혔고, 같은 해 10월 인수 절차를 마쳤다. 인수 전 다양한 산업용 드론을 제시하던 노르딕 드론은 인수 이후 파트리아 스카이(Patria SKY), 파트리아 원(Patria ONE), 파트리아 지오(Patria GEO) 등 다양한 방산 드론 라인 구축에 힘을 싣고 있다.
정밀 공중 폭발 드론으로 국제시장 겨냥 중인 인스타(Insta)사
2025년 1월 핀란드 방산 기업 인스타(Insta)사는 새로운 유형의 드론을 발표했다. 해외 파트너사와 협력해 개발한 인스타 스틸 이글(Insta Steel Eagle™ ER) 드론은 이전 버전 대비 더 넓은 작전 반경, 향상된 성능, 높은 탑재 용량을 제공하며, 목표물 상공에서 폭발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해당 제품은 광범위한 파편 확산 효과를 자랑하며, 목표 지점에 정밀 투하가 가능하다는 강점을 지녔다. 또한, 첨단 전자전 환경에서의 생존 가능성 및 교란 대응 능력이 강화됐다. 해당 기업은 2024년 말 레이요나 인스티튜띠(Leijona Instituutti Oy)와 합병해 해당 제품군 확장에 힘쓴 바 있다.
핀란드 방산 기술 혁신 중심지, Defence Tech Hub 및 NATO DIANA 센터 설립
핀란드의 에스포(Espoo) 시는 방산에 신기술을 접목하려는 기업들의 클러스터인 방산기술 테크 중점(Defence Tech Hub)을 구축 중이다. 이 클러스터는 5G/6G 통신, 양자 및 우주 기술, 사이버 보안, 마이크로전자, XR/VR,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ing) 등 방위산업 핵심 전략 분야에서 연구·개발(R&D)을 선도하며, 신규 파트너 소싱 및 기업과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여기에 포함된 나토 다이아나(NATO DIANA, Defence Innovation Accelerator for the North Atlantic) 센터는 북유럽 및 유럽 방산 기술 생태계 강화를 목적으로 하며, 나토 방산 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R&D)을 촉진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이다. 나토 다이아나는 국제 기업, 스타트업, 연구기관, 투자자들이 협력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을 제공해 방위산업 딥테크 분야에서 세계적인 전문가 및 인재 유치를 하고자 설립될 안보 기술 혁신 센터이다. 해당 센터는 북유럽 방산 기술의 중심지로 자리 잡으며, 핀란드가 국제 방산 시장에서 기술 선도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산업에서의 드론 활용 솔루션 테스트
2023년 10월 핀란드 정부 산하의 기술연구소(VTT)가 발표한 연구 로드맵에 따르면, 2025년에는 물류, 감시, 방위 산업에서의 핵심 활용 사례를 구체화해 드론을 실용적인 산업 도구로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이며, 2026년에는 버티포트와 인프라 구축을 통해 드론과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의 운영 기반을 마련하고, 실제 도심 내 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어 2027년에는 승객용 드론 개발을 본격화해 미래형 항공 모빌리티가 실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즉, 핀란드는 이러한 단계를 거쳐 드론을 탄소 중립 사회의 핵심 교통·물류 솔루션으로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VTT의 혁신적 항공 모빌리티 로드맵 >
[자료: VTT, KOTRA 헬싱키무역관 정리]
드론은 물류, 농업, 건설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2019년 최초로 이루어졌던 드론 배송 테스트에 이어 2021년 가을 헬싱키에서는 전기 드론을 활용한 약국 제품 배송 시범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약국 제품 운송에 드론이 적합한지 알아보고 고객과 함께 새로운 서비스 개념을 시험해 보고자 진행된 이 프로젝트에서는 라우따사리(Lauttasaari)의 한 약국에서 얏까사리(Jätkäsaari) 지역(약 2km 거리)으로 드론을 통해 제품을 배송해, 드론을 활용한 도시 물류 솔루션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자료: 헬싱키시 웹사이트]
한편, 2024년 1월에는 인스타 그룹(Insta Group)이 비지니스 탐페레가 주최한 이벤트에서 드론의 상황인식 솔루션을 선보였다. 드론을 통해 이벤트 장소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시행해 병목 현상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었으며, 이벤트가 진행되는 동안 교통, 인구 분포 및 보안 문제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탐페레 시와 협력해 신호등을 제어하고 교통 체증을 완화해 고객 경험도 개선할 수 있었다. 해당 솔루션은 드론을 활용해 교통 상황을 관측하는 중요한 사례로 입증됐으며, 특히 행사 등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단기간 교통 체증이 발생할 때 영구 감시 카메라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을 받았다. 또한, 기존 인프라로는 어려웠던 보트 교통 관리 영역에서 드론으로 손쉽게 모니터링을 하고, 비상 시 드론이 전송한 사진으로 더욱 용이하게 구조 작업을 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핀란드 UAV 에코시스템(Finnish UAV Ecosystem, FUAVE) 프로젝트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핀란드 과학아카데미(Academy of Finland)로부터 약 250억 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FUAVE 프로젝트’는 핀란드의 드론 운영자들을 하나로 모아 지속적인 협력을 이루어 내는 것이 목표였다. 그 결과, 핀란드 국토조사청(National Land Survey of Finland), 핀란드 기술연구소(VTT), 오울루 대학교(University of Oulu) 등 기업, 공공기관, 연구기관을 포함해 총 85개 기관이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됐으며, 혹한 환경, 농촌 지역 및 과학 연구를 위한 6개의 드론 테스트 구역이 핀란드 전역에 마련됐다. 이들 테스트 구역은 각각 특정 환경과 연구 목적에 맞게 설계됐다.
● Oulu(오울루) – 혹한 환경에서의 드론 시험 비행을 전문적으로 수행
● Pyhtää(퓌타) –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의 드론 물류 운송 테스트
● Vihti(비히티) – 농업 분야에서의 드론 활용 연구
● Sjökulla(셰쿨라) – 자율 비행 드론, 시야 밖 비행(BVLOS) 및 다중 드론 비행
● Evo(에보) – 산림 연구를 위한 테스트 구역, LiDAR 및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ing) 기술을 활용해 정밀한 산림 정보를 제공
현재 해당 테스트 구역은 드론 원격 센싱 연구(Remote Sensing Research)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 핀란드는 국제적으로 과학 영역에서 영향력을 펼치며 선두 주자로 평가받고 있다.
핀란드 Drolo 프로젝트
2021년부터 2년간 진행된 드롤로(Drolo) 프로젝트는 자동화된 지능형 5G 연결 다기능 드론 개념을 개발해 감시, 물류, 드론 운영자 산업의 서비스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플랫폼, 네트워크 기술 제품의 제조 및 판매 비즈니스에서 활용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는 비즈니스 핀란드와 파트너 조직의 공동 자금 지원을 받고 VTT 기술 연구 센터가 조정에 참여한 프로젝트로, 연구 파트너로는 알토 대학교(Aalto University)와 핀란드 기상 연구소(FMI)가 참여했다. 또한, 핀트래픽(Fintraffic ANS), 노키아(Nokia), 인스타(Insta), 탁토텍(TactoTek), 오울루 항만(Port of Oulu), 플리토노미(Fleetonomy), 미디어텍(MediaTek)과 같은 기업들이 핀란드뿐만 아니라 유럽의 드론 기술 발전과 상용화를 선도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드론의 활용을 촉진하고자 했다.
이후, 이 프로젝트는 알토대학교와 VTT의 합작으로 드롤로 2 프로젝트로 이어졌다. 2023년 9월에 시작해 2025년 8월까지 이어질 예정인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드론 사업의 지속 가능한 개발 및 순환 경제 관점 등에 관한 연구와 드론 사업 개발을 이어 나가고 있다. 또한, 기술 측면에서는 드론 비행과 제어에 필요한 5G 및 5G Advanced/6G 네트워크의 연결성과 안정성을 연구하고, 위성 위치 간섭을 식별하고 회피하는 방법, 위성 없이 드론을 운항하는 방법 등을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여러 프로젝트에 힘입어 2021년 핀란드의 다양한 드론 관련 분야에서 스타트업들이 성장을 이뤘으며, 이들은 현재까지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비즈니스 핀란드가 소개한 대표적인 핀란드 드론 스타트업으로는 아래 8개 기업이 있다.
<대표적인 핀란드 드론 스타트업>
연번
기업명
전문 분야
2023년 영업이익
(천 유로)
전년 대비 증가율
(%)
1
Flyby Guys
대규모 드론 운영 관리
792
156.3
2
Viasor
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3D 모델링
683
211.9
3
Mericon
정사 사진, 사진 측량 점군, 3D 모델링
502
45.8
4
Fleetonomy
드론 및 차량을 위한 자율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337
59.6
5
Dronnair
항공 조사 서비스, 품질 관리, 안전 관리
310
-6.0
6
Skydata
드론 하드웨어, 파일럿 교육, 컨설팅
288
-37.0
7
Innovavia Ltd
드론 활용 컨설팅 및 도시 모빌리티 통합
205
29.7
8
LAC Camera Systems
GPS 없이 추적 가능한 드론 카메라 솔루션
-39
-
[자료: 비지니스 핀란드 홈페이지]
핀란드 드론 산업 수출입 동향
핀란드의 2022년 이전 드론 수입 정보는 핀란드 통계청에서 확인할 수 없었으나, 이후 핀란드는 수입국과 수입 금액을 점차 늘려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4년에는 총 25개국에서 핀란드에 드론을 수출했으며, 한국은 대핀란드 11위 수출국이다. 핀란드는 전체 드론 수입의 95.2%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핀란드 드론 HS 코드 8806 수입 동향>
(단위: 유로, %)
2022
2023
2024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순위
전체
16,933,591
-
22,170,202
30.9
25,505,713
15.0
1
중국
15,844,685
-
21,103,121
33.2
21,065,453
-0.2
2
영국
-
-
2,010
-
1,827,632
90827.0
3
이스라엘
-
-
-
1,563,984
-
4
베트남
-
-
96,412
-
551,580
472.1
5
네덜란드
1,467
-
-
-
119,785
-
10
일본
-
-
51,253
-
31,813
-37.9
11
한국
134
-
-
-
19,786
-
[자료: 핀란드 통계청]
핀란드 헬싱키 안보 전시회(SecD-Day Conference & Exhibition)
핀란드 헬싱키 안보 전시회 2025 (SecD-Day 2025)는 방위, 보안, 우주, 항공 산업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행사이다. 이 행사는 핀란드에서 개최된 역대 최대 규모의 방위 산업 콘퍼런스 및 무역 박람회로, 행사 전반에 걸쳐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며 모든 지표에서 성장을 기록했다. 이번 행사는 핀란드 국방 및 항공산업협회(PIA)와 헬싱키 전시 컨벤션 센터가 공동 주최했으며, 핀란드의 종합 안보 역량을 홍보하고, 혁신적인 방산 기술을 선보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틀간 진행된 SecD-Day 2025에는 15개국 190개사가 참가했으며, 총 4191명의 업계 전문가들이 방문했을 뿐만 아니라, 주요 외국 대표단과 언론인들도 대거 참여해 행사의 국제적 분위기가 한층 강화됐다. 해당 전시회에 참여한 헬싱키시 투자유치기관이자 경제진흥기관인 헬싱키 파트너스(Helsinki Partners)의 담당자는 KOTRA 헬싱키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핀란드 내 최첨단 연구개발(R&D) 기관, 우수한 교육 및 테스트 환경과의 연계를 지원하며, 업계 내 잠재적 비즈니스 파트너뿐만 아니라, 산업 간 협력을 위한 파트너 발굴 또한 돕고자 한다”라며 한국과 핀란드 기업의 협력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번 행사 테마는 "산업 없이는 안보도 없다(There is no security without industry)"로, 산업이 국가 안보에서 수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다음 SecD-Day 콘퍼런스 및 전시회는 2년 뒤인 2027년 2월 2~3일 헬싱키 메수케스쿠스(Messukeskus)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벌써 참여기업을 선정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지난 2025년 2월 26~2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드론 전시회 'DSK 2025'에 핀란드 기업 노키아가 처음 참가해 5G·LTE 연결을 활용한 '드론 인 어 박스(DiaB)' 솔루션을 선보이며 한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렇듯 핀란드와 한국 간 기업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은 이 흐름을 활용해 새로운 협력 기회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시사점
핀란드 드론 산업은 기술 혁신과 규제 환경의 조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방비 증액과 방산 협력 확대를 통해 드론 산업이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며, 방산 외 분야의 드론 활용에서도 주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핀란드 드론 산업은 북대서양조약기구 및 유럽연합 회원국과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그에 따른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 가능성이 기대된다. 우리 기업들은 국제 방산 및 드론 전시회 등에 참여해 핀란드-한국 간 기술 및 사업 협력을 넓혀나갈 필요가 있다.
자료: Yle, 핀란드 국방 및 항공산업협회, VTT, Dronfinland, Future Mobility Finland, 헬싱키시 자료, 핀란드 통계청, Summa Defence Oy, Patria Oy, Insta Group 등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헬싱키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나토 가입 이후 주목받는 핀란드 드론 산업 생태계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Buy Canadian' 운동: 새로운 캐나다 소비 트렌드 살펴보기
캐나다 2025-03-24
-
2
삼륜차에서 구급차까지... 인도 전기차 시장이 움직인다
인도 2025-03-24
-
3
노후 어선 교체 속도 내는 중국 원양어업…푸젠성, 전국 2위로 비상
중국 2025-03-24
-
4
AI가 만드는 새로운 질서, 미국 노동시장 변화
미국 2025-03-21
-
5
원격진료로 확대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사우디아라비아 2025-03-27
-
6
생각만으로 조종되는 세상! 중국 BCI 시장 살펴보기
중국 2025-03-24
-
1
2024년 핀란드 원전 산업 정보
핀란드 2024-03-26
-
2
핀란드 전자상거래 시장동향
핀란드 2021-07-20
-
3
핀란드 2차 전지 산업
핀란드 2021-07-15
-
4
핀란드 제약산업
핀란드 2021-07-14
-
5
핀란드 조선해양산업
핀란드 2021-07-12
-
6
핀란드 기계 산업
핀란드 2021-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