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후 어선 교체 속도 내는 중국 원양어업…푸젠성, 전국 2위로 비상
- 트렌드
- 중국
- 샤먼무역관
- 2025-03-24
- 출처 : KOTRA
-
2025 푸저우 국제수산박람회, 한·중 해양산업 협력 기회 확대
친환경·스마트화 장비 수요 급증…한국 기업, 중국 시장 진출 기회 모색
중국 원양어업의 성장과 푸젠성의 약진
중국 원양어업이 노후 어선을 단계적으로 퇴출시키고, 대형·첨단 선박을 적극 도입하면서 빠른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최근 2년간의 구조조정으로 전체 선박 수는 소폭 줄었지만, 정부의 정책 지원과 기술 고도화가 결합하면서 어선 동력과 조업 효율이 전반적으로 상승 중이다. 특히 푸젠(福建)성은 전국 2위 규모의 원양어선을 보유(476척, 19.3%)하며, 해양 경제의 핵심 지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또한 2025년에는 중국(푸저우) 국제수산박람회가 개최될 예정으로, 한국과 중국 간 해양·수산 분야 협력 기회가 한층 더 주목받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중국의 친환경·스마트화 기조에 부합하는 기술과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면, 이 행사와 연계해 적극적으로 진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원양어업의 개념과 산업적 특징
원양어업이란 자국 항구나 어업기지에서 멀리 떨어진 타국의 해역 혹은 공해에서 어로 활동을 펼치는 해양수산업의 한 분야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계화·자동화 수준이 높은 대형 모선(母船)을 중심으로, 여러 척의 어로 자선(子船), 급유선, 운반선 등으로 구성된 선단 형태로 운용된다. 이 대형 모선은 냉동·냉장·수산물 가공 등 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어, 해상에서 직접 어획물을 처리·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원양어업은 주로 어구(낚시, 저인망, 선망, 자망 등), 어획 대상(참치, 크릴, 오징어, 대구 등), 조업 형태(단일 선박, 모선식, 해외 기지 활용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원양어업의 분류>
산업
분류
내용
원양어업
조업 방식
낚시어업, 저인망어업(트롤어업), 선망어업, 자망어업 등
어획 대상
참치, 크릴, 오징어, 대구 등
조업 형태
단일 선박 조업, 모선-자선 연계 조업, 해외 기지 활용 조업
[자료: 공연산업자문 (共研产业咨询)]
원양어업 시장 규모 및 성장 동향
중국 원양어업 시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술 발전에 힘입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1) 중국 어업 경제 총생산액:
2019년 2조6406억 위안 → 2023년 3조2669억 위안 (약 23.7% 성장)
2024년 원양어업 분야 생산액만 162억 위안으로 추산
* 출처: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2) 수산물 생산량:
2023년 중국 수산물 총생산량 7116만 톤
원양어업 생산량 232만 톤(전체의 3.26%)
2024년 원양어업 생산량 236만 톤 전망
* 출처: CCTV 재경
<2019~2024년 중국 원양어업 생산량 추이>
(단위: 만 톤)
[자료: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중국 원양어업의 현안과 정부의 해결 노력
중국 원양어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선진국과 비교할 때 여전히 선박 첨단화나 어업 장비·기술 수준에서 격차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2024년 정부가 노후 어선 교체(汰旧建新) 및 소형 선박 대형화(以小改大) 정책을 본격화하면서, 최근 2년간은 어선 총수가 소폭 줄었으나, 개별 선박의 동력·효율은 오히려 개선되는 추세다.
중국 정부는 해양 생태 보전을 위해 친환경·저탄소·고효율 선박 건조를 장려한다. 2024년 10월, 중국 농업농촌부는 베이더우(北斗) 항법, 해양 광대역, 충돌 방지 시스템, 원격 모니터링 등 스마트 어업장비의 적용을 확대하겠다는 지침을 발표했다. 이는 어업 효율성 증대와 함께 해양사고 예방, 자원관리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5~2023년 중국 원양어선 보유량 및 출력량 추이>
(단위: 척, 만 kW)
[자료: 지연자문(智研咨询)]
중국 원양어업 주요 정책 방향
중국 정부는 ‘제14차 5개년 계획(十四五)’ 기간 중 원양어업의 고품질 발전을 위해 기계화·자동화 장비 개발, 원양 기지 건설, 자가 어획 수산물의 국내 유통 확대 등을 전방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국 원양어업 주요 정책>
정책명
발행 기관/시기
주요 내용
《“제14차 5개년 계획(十四五)” 전국 어업 발전 계획》
농업농촌부(农业农村部)
2021년 12월
원양어선 어로의 기계화·자동화 장비 R&D, 원양어업 기지 건설 가속, 자가 조업 수산물 국내 시장 육성 확대, 점진적 국내 반입률 상승, 전 산업체인 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十四五)” 농업농촌 현대화 추진 계획》
국무원(国务院)
2022년 2월
근해 양식의 녹색·스마트 양식 체계 구축, 심원해(深远海) 양식업 발전 지원, 원양어업 기지 건설·어항 경제권 구축
《“제14차 5개년 계획(十四五)” 원양어업 고품질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
농업농촌부(农业农村部)
2022년 2월
2025년 원양어업 생산량을 230만 톤 수준으로 유지, 원양어선 규모 엄격 통제, 장비 기계화·정보화·스마트화 수준 제고
《중국의 원양어업 발전 백서》
국무원(国务院)
2023년 10월
자원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총괄 추진, 선박 기국(船旗国) 의무 전면 이행, 원양어업 감독 강화
《원양어선 표준화 선형(船型) 목록(2024년판)》
농업농촌부(农业农村部)
2024년 11월
단일갑판(单甲板) 크레인형(臂架) 저인망 어선 선형 추가, 단일갑판 선미식(尾滑道) 저인망 어선 선형 신규 등급 추가, 원양 선망(围(敷)网) 어선 선형 한 등급 통합·최적화
《원양어업 기업의 어려움 해소 지원에 관한 공문》
농업농촌부(农业农村部)
2024년 12월
- 역내 어업 관리기구·입어국 요구 충족, 어선 총규모 증대 없이 “다수 교체 후 소수 보유(多换少)”로 노후 교체 및 ‘소형 선박 대형화’ 추진
- 원양어선 표준화 선형(船型) 파라미터 확립, 개조 독려- 원양어업 기업 국내외 전시회 참가 장려
[자료: 정부 공식 웹사이트]
푸젠성 원양어업 및 주요 기업 현황
2023년 연말 기준 중국 전국 원양어선 보유 척수는 총 2462척이며, 푸젠성이 476척(19.3%)을 기록해 전국 2위를 차지했다.
<2022~2023년 중국 지역별 원양어선 연말 보유 대수 TOP 5>
(단위: 척)
구분
2022년
2023년
순위
전국 총계
2,551
전국 총계
2,462
1
저장(浙江)
612
저장(浙江)
639
2
산둥(山东)
497
푸젠(福建)
476
3
푸젠(福建)
473
산둥(山东)
475
4
랴오닝(辽宁)
287
랴오닝(辽宁)
240
5
광둥(广东)
248
광둥(广东)
227
[자료: 2024 중국 어업 통계연감]
2024년 10월 기준, 중국 전역의 해양어업 관련 기업은 총 3만9800여 개에 달한다. 이 중 푸젠(福建)성은 원양어업와 수산 가공, 무역 등에서 활약하는 대표 기업들이 다수 소재해 있어 원양어업 발전이 매우 활발한 지역으로 꼽힌다.
<중국 원양어업 및 푸젠 지역 주요 기업>
기업명
홈페이지
기업 개요
Zhanjiang Guolian Aquatic Products Co.,Ltd.
湛江江国联水产开发股份有限公司
종묘(치어) 생산, 공장식 양식, 사료 생산, 해양 식품 가공, 국내외 무역, 수산 연구 등을 아우르는 전 산업 체계 글로벌 기업
Shanghai Kai Chuang Marine International Co., Ltd.
上海开创国际海洋资源股份有限公司
주로 원양어업(참치 선망 및 저인망)과 수산물 가공·판매 및 관련 무역을 영위. 대형 참치 선망 어선 12척과 대형 저인망 가공 어선 2척을 보유하고 있음.
Fujian Port Shun Ocean Fisheries Co., Ltd.
福建省港顺远洋渔业有限公司
-
푸젠성(福建省) 농업산업화 성급(省级) 중점기업으로, 원양어업, 수산 양식, 수산물 가공, 수산물 수출입 무역을 주력으로 하는 종합적·다각화된 국유 기업 그룹
Hongdong Fishery Co.,Ltd.
宏东渔业股份有限公司
주로 원양어업, 어업기지 운영, 냉장 유통, 수산물 가공, 해양 생물, 시장 관리, 수출입 무역 등을 영위. 현재 중국에서 단일 기업 기준 선박 보유 대수가 가장 많고, 어법 방식이 가장 다양하며, 제품 종류가 가장 풍부하고, 산업체인이 가장 완비된 원양어업 기업으로 손꼽힘.
[자료: 각 기업 공식 웹사이트]
원양어업 관련 제품 수입 동향
중국 원양어업에는 각종 수(해)산물, 정밀가공 수산식품, 수산물 가공·보관·운송 설비, 스마트 어업 기술 및 원양어업 장비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고정된 세관(HS) 코드는 없어서 여러 코드를 혼합 적용한다. 예컨대 소나 장비는 HS 코드 90148010, 항법 기기는 HS 코드 90142000, 집어 등은 HS 코드 85394900에 해당한다.
아래 예시 표는 최근 3년(2022~2024년) ‘기타 항법용 기기(HS: 901480)’의 중국 수입 동향을 국가별로 집계한 것으로, 항해·어로 장비 시장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다.
<2022~2024년 ‘기타 항법용기기(HS: 901480)’ 중국 수입 동향>
(위: US$ 천, %)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
총계
99,853
-2.8%
140,185
40.3%
140,115
-0.1%
1
일본
30,814
13.2%
43,432
40.9%
60,004
38.2%
2
노르웨이
17,393
-9.6%
18,767
7.9%
19,897
6.0%
3
독일
7,449
-14.0%
10,835
45.5%
9,243
-14.7%
4
영국
10,968
-14.5%
15,294
39.4%
8,488
-44.5%
5
덴마크
4,568
-30.7%
7,080
55.0%
6,578
-7.1%
6
대만
5,906
50.0%
7,299
23.6%
6,348
-13.0%
7
미국
7,280
30.8%
6,303
-13.4%
5,353
-15.1%
8
네덜란드
1,338
-7.5%
3,771
181.9%
3,796
0.7%
9
캐나다
5,537
112.6%
6,034
9.0%
3,227
-46.5%
10
한국
1,736
50.2%
1,778
2.4%
3,000
68.7%
[자료: KITA]
시사점: 한국과 협력 가능한 중국 원양어업 분야 및 2025 박람회
중국 원양어업은 첨단 장비의 국산화율이 여전히 낮으며, 정부의 노후 선박 교체와 대형화 정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한국 기업의 기술협력 및 시장 진출 기회가 많다. KOTRA 샤먼무역관이 현지 원양어업 및 선박설비 기업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확인한 결과, 아래 분야가 특히 주목된다.
(1)저소음 소나 장비: 해양 생태 보호 차원에서 저소음 엔진·장비 수요 증가
(2)에너지 효율화 기술: 고효율 엔진, 친환경 선체 설계 등으로 탄소배출 저감 및 연료비 절감 효과
(3)자동화 어로 시스템: 저인망, 선망 등의 자동화 설비 구축을 통해 어획 효율 증대
(4)스마트 위치추적 시스템: GPS 및 북두(北斗) 위성항법 활용한 정밀 항해 기술
(5)원격 모니터링 및 데이터 분석 기술: IoT 기반으로 어획 전략 최적화 지원
(6)무인 선박 기술: 무인 조종 어선을 통해 운영 효율성 제고 및 안전성 강화
현지 기업들은 한국 기업이 중국 연구기관·대학, 선박 제조사 등과 협력해 맞춤형 장비와 기술을 공동 개발하거나, 합작 공장을 세워 현지화 생산을 진행하는 방안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은 생산 비용 절감과 애프터서비스 강화, 중국 시장 인지도 향상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2025년은 중국 원양어업 발전 40주년으로, 6월 13~15일 푸저우 해협국제전시중심에서 열리는 '중국(푸저우) 국제수산박람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해당 박람회는 수산물 가공, 양식, 원양어업, 식품 가공장비, 관련 기자재 등을 총망라하는 대규모 행사로, 중국 원양어업 분야에 진출을 모색 중인 한국 기업이라면 적극적인 참여를 고려해 볼만하다.
<중국(푸저우) 국제수산박람회>
[자료: 주최 측 홈페이지]
전시회명
2025 중국(푸저우) 국제수산박람회
기간
2025년 6월 13일(금)~15일(일)
장소
중국 푸젠성 푸저우시 해협국제전시중심
전시면적
약 6만6000㎡
참가기업
약 500여 개사
전시품목
수산물 가공, 양식, 원양어업, 식품 가공장비, 스마트 어업장비, 자동화 설비 등
자료: 공연산업자문 共研产业咨询, 중상정보망 中商情报网, 지연자문 智研咨询, 정부 공식 웹사이트, 각 기업 공식 웹사이트, KITA, 2024 중국어업 통계연감, KOTRA 샤먼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노후 어선 교체 속도 내는 중국 원양어업…푸젠성, 전국 2위로 비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최근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안경'
중국 2025-03-25
-
2
'Buy Canadian' 운동: 새로운 캐나다 소비 트렌드 살펴보기
캐나다 2025-03-24
-
3
생각만으로 조종되는 세상! 중국 BCI 시장 살펴보기
중국 2025-03-24
-
4
신양 마오젠으로 보는 중국 허난성 차 산업
중국 2025-03-25
-
5
핸드폰 매장 안에도 쿠디커피가? '숍인숍 전략'이 유행하는 중국
중국 2025-03-28
-
6
원격진료로 확대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사우디아라비아 2025-03-27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