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 정부의 고령화 대응 전략과 실버케어 산업 트렌드
- 트렌드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Tiffany Lim
- 2025-03-27
- 출처 : KOTRA
-
아세안에서 고령화가 가장 진행된 사회,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인구 고령화를 위한 의료 기술 협업 및 솔루션
"우리는 싱가포르의 모든 사람들이 존엄성을 가지고 안전하고 행복하게 나이들 수 있도록 노인 돌봄에 신경 쓸 것입니다”
(We will care for our seniors in Singapore; we will ensure everyone can age with dignity, security, and peace of mind)
로렌스웡 총리의 2024년 첫 국경일 연설에서 언급된 말이다. 현재 싱가포르는 저출산과 높은 기대수명의 영향으로 현재 아세안(ASEAN) 10개국 중 가장 고령화가 많이 진행된 국가로 정부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가 드러나고 있다. 이에 싱가포르의 고령화 현황, 고령인구의 지역 사회와의 연결성 강화 및 주거·의료 인프라 지원을 위한 정부의 대응 전략, 그리고 이 과정에서 실버케어 산업으로 새롭게 주목받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살펴봤다.
싱가포르 인구 통계 및 고령화 현황
싱가포르 인구 통계에 따르면, 2014년 6월 12.4%였던 65세 이상 인구가 2024년 6월에는 19.9%로 증가하는 등 인구의 고령화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 80세 이상의 인구수도 2014년 8만5000명에서 2024년 14만2000명으로 약 65% 증가했다. 이는 2024년 기준 사상 최저치인 0.97명까지 감소한 출산율과, 83세에 달하는 매우 높은 기대수명이 결합된 결과다. UN 인구 데이터를 인용하면 싱가포르인의 중위연령은 1950년 19세에서 2025년 36세로 급격히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인 스태티스타(Statisa)는 이러한 증가 추세로 인해 2070년에는 중위연령이 약 58세까지 이르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싱가포르 인구 중위 연령>
(단위: 명)
[자료: Statista (2025년 3월)]
한편, 2021년 기준 싱가포르의 1인당 정부 의료비 지출은 3096싱가포르달러로 이는 2012년의 911싱가포르달러에서 339% 증가한 수치다. 현지 언론 CNA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노인 케어 예산은 약 17억 싱가포르달러에서 30억 싱가포르달러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인구 고령화와 지원책 강화로 인해 이 지출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싱가포르 정부는 예산안(Budget 2025)을 통해서도 저소득 노인 대상 Matched MediSave Scheme을 최대 1000싱가포르달러 제공하고 장기간병 서비스 보조금을 최대 10%까지 인상하기로 반영하는 등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최대 21억 싱가포르달러의 노인 케어 지원금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싱가포르 정부의 고령화 대응 정책 및 현황
싱가포르 정부는 인구 고령화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Action Plan for Successful Ageing'(APSA)과 'Age Well SG'라는 두 가지 계획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2015년에 출범한 APSA에는 보건, 고용, 평생학습, 사회적 지원 등 분야에서 70개 이상의 이니셔티브가 담겨 있다. 이 계획의 목표는 고령자도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사회에 기여하며 보람 있는 삶을 영위하도록 보장하는 데 있다. APSA의 주요 정책으로는 평생학습을 위한 국립 실버 아카데미(National Silver Academy), 고용 및 은퇴 지원, 의료 및 웰니스, 주택과 교통의 고령친화적 개선 등이 포함된다. 이 계획은 15개 이상의 부처 및 정부 기관이 협력하는 범정부 차원의 노력으로 추진되며, 2023년에 인구구조 및 경제 여건 변화에 맞춰 개편됐다. 개편된 APSA는 디지털 문해력 제고와 고령자 고용 등 새로운 필요에 초점을 맞추어 강화됐다.
Age Well SG는 2023년에 시작된 또 다른 계획으로, 주택, 교통, 활기찬 노년 활동 프로그램 등 지역사회 기반 고령화 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계획은 고령자가 지역사회에서 적극적이고 독립적으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ge Well SG의 주요 내용은 노년 활동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센터(Active Ageing Center) 확충, 주택 및 교통의 고령친화적 인프라 개선, 지역사회 돌봄 및 예방 건강관리 등이다.
<ASPA와 Age Well SG의 주요 내용>
중점 분야
주요내용
해당 계획
액티브 에이징과 평생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참여를 촉진
APSA, Age Well SG
인프라 및 환경 혁신
주택 단지, 공공 장소 및 교통 시스템을 고령자 친화적으로 개선
Age Well SG
건강 및 커뮤니티 케어 모델
더 건강한 SG와 통합된 의료-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병원 기반 치료에서 지역 사회 기반 예방 치료로의 전환
APSA
고령자 고용 및 경제 참여
정년 연장, 고령자 채용 장려, 재교육 프로그램 제공
APSA
디지털 및 사회적 포용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여 노년층의 사회적, 디지털적 연결성 유지
APSA
재정 적정성 및 은퇴 계획
충분한 은퇴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CPF 제도 강화 및 금융 이해력 프로그램 제공
APSA
[자료: 싱가포르 보건부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작성(2025년 3월)]
이러한 정책들이 시행되면서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율 상승 등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4년 12.3%에서 2024년 18.9%로 높아져, 고령 인구 증가와 이들의 고용 가능성을 높이는 정책 효과를 보여준다. 또한 싱가포르의 일간지 Today에 따르면, 2023년 4월 기준 약 28만3900가구가 Age Well SG의 일환인 '활동적인 노인을 위한 편의 증진(Ease)' 프로그램에 따라 노인 편의시설 설치 지원을 받았다.
이 프로그램에는 이후 휠체어 리프트 등 더 많은 편의 기능이 추가됐다. 이와 같이 Age Well SG 아래 추진되는 다양한 지역사회 프로그램들은 싱가포르의 사회 기반 시설을 더욱 노인친화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국가의 정책 우선순위가 고령화 대응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실버 경제의 부상으로 혁신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변화하는 환경에 참여할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연령별 상주 노동력 참여율>
(단위: %)
2014
12.3
61.8
89.0
89.9
88.8
87.1
84.7
81.8
74.3
61.2
41.2
25.7
8.4
2024
12.8
54.3
90.1
94.1
92.8
91.1
89.1
86.0
77.5
67.9
50.5
35.0
13.8
[자료: 싱가포르 인력부 (2025년 3월)]
<EASE 프로그램으로 설치 된 노인 편의시설>
화장실 내 손잡이
휠체어 리프트
현관문 앞 손잡이
[자료: 싱가포르 주택개발청 (2025년 3월)]
실버 경제의 부상과 기회 요인 분석
노년층을 위한 친화적 인프라, 지역사회 돌봄, 예방 의료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면서 여러 산업 분야에서 관련 제품과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부문에서 혁신 기업들이 싱가포르의 관련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1)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고령자가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돕는 기술은 싱가포르가 예방 중심 및 재택 돌봄 체계로 전환함에 따라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Prudential의 ‘Digital 100’ 연구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싱가포르인의 절반 이상이 보다 오래 건강하게 생활하는 데 모바일 기기와 앱이 가장 중요한 도구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76%는 피트니스 트래커를 착용하고, 73%는 모바일 건강 앱을 사용하며, 72%는 웨어러블 건강 모니터를 활용하고, 67%는 모바일 건강 앱을 이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싱가포르가 지역사회 기반의 기술 활용 돌봄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디지털 헬스 솔루션을 해외 기업이 도입할 기회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2) 주거 편의시설 및 낙상 방지 시스템
싱가포르 경영대학(SMU)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노인 10명 중 8명은 자신의 집에서 노후를 보내는 것을 선호하며, 이에 따라 노인 친화적인 주택 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낙상 감지 시스템, 동작 감지 조명, 미끄럼 방지 바닥재, 스마트 욕실 보조기기 등의 솔루션이 가정에서 필수품이 되고 있다. 2024년 The Straits Times 보도에 따르면, 싱가포르 정부는 향후 10년간 Age Well SG 이니셔티브에 약 35억 싱가포르달러를 투입하여 노인들에게 더 나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지원할 계획이다. 싱가포르의 이러한 고령화 대응 솔루션의 지속적인 성장과 확대는 노인 안전 기술 및 스마트 홈 자동화 분야에 특화된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
(3) 병원 및 요양 시설용 의료기기
정부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확대함에 따라 병원과 요양시설에서 스마트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는 자동 생체신호(vital sign) 모니터, 로봇 재활 시스템, 스마트 병원 침대와 같은 제품이 포함된다. 싱가포르의 탄톡셍 병원(TTSH)은 2022년 말 스마트 병동을 개설하여 첨단 기술 도입으로 의료인력 부족에 대응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에 대비하고 있다. 이 스마트 병동에서는 20가지가 넘는 혁신 기술을 도입해 시험했으며, 추가 기술들도 신속한 테스트를 앞두고 있다. 디지털 진단 장비 및 보조 의료 로봇 제조업체는 조달 채널과 현지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
싱가포르의 실버 케어 산업과 글로벌 협력 사례
최근 들어 싱가포르에서는 정부, 의료기관과 해외 기업 간 협력이 고령화 대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다음의 사례들은 이러한 파트너십이 소비자 건강 솔루션, 주거 안전 시스템, 의료 기술 분야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1)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NTU)는 내셔널 헬스케어 그룹(National Healthcare Group), 사회복지기관인 페이위 커뮤니티 서비스(Fei Yue Community Services)와 클럽 HEAL, 그리고 자선단체인 리엔 재단(Lien Foundation)과 협력하여 사운드키퍼스(Soundkeepers) 라는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헬스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 도구는 음성 생체 신호(voice biomarkers)를 분석해 고령자의 초기 우울증 징후를 조기에 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소리의 미세한 변화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정신 건강 문제를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적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이 프로그램은 현재 진행 중이며, 사업 효과는 2027년 7월에 평가될 예정이다. 이 협업 사례는 지역 사회와 의료기관, 사회복지기관, 민간 재단이 함께 고령자를 위한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는 방식을 잘 보여준다.(2) 주거 편의시설 및 낙상 방지 시스템
외국 기업들도 가정용 노인 케어 솔루션에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Alphind Healthcare는 낙상 예방 및 활동 추적을 위한 스마트 모션 기반 모니터링 플랫폼을 확장하기 위해 아시아 태평양 본사를 싱가포르로 이전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요양보호사가 가정에서 노인을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조기 경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다른 예로는 비접촉식 생체 신호(vital sign) 모니터링 매트인 ‘블루심 매트’를 개발하기 위해 2024년 인도의 피셔 메디컬 벤처스(Fischer Medical Ventures Ltd)와 싱가포르의 블루심 테크(BluSim Tech Pte Ltd)가 파트너십을 맺은 것을 들 수 있다. 이 장치는 웨어러블 기기 없이도 심박수, 호흡, 수면 및 침대 사용 여부를 추적하기 위해 심전도 검사를 사용한다. 일련의 파트너십은 해외의 혁신 기술을 싱가포르의 노인 케어 생태계에 통합하여 재택 노후(aging-in-place) 이니셔티브를 지원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3) 병원 및 요양 시설용 의료기기
고령 환자를 포함한 각종 의학적 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첨단 의료 기술 분야 협력도 활발하다. 2024년에 한국의 의료 인공지능 기업인 루닛(Lunit)은 싱가포르 국립의료그룹(NHG)과 협력하여 공공 의료기관의 흉부 X-ray 판독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국가 단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루닛의 AI 기반 진단 도구인 Lunit INSIGHT CXR이 NHG 산하 1차 의료기관들에 도입되어 X-ray 판독 순위 결정과 판독 시간 단축에 활용되고 있다. 싱가포르 공공의료 시스템에서는 진단 영상 수요가 높은 반면 전문 방사선 인력은 제한적이기에, 인력 운영 공백을 메우는 이러한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NHG는 2025년 8월까지 프로젝트를 완료한 뒤 효과가 입증되면 이 AI 도구의 전국 병원 확대 적용을 권고할 계획이다. 현재 루닛의 솔루션은 창이종합병원, 싱가포르종합병원, 국립암센터 등 싱가포르 내 다른 의료기관에서도 활용되고 있어서, 싱가포르 의료 생태계에서 한국 의료 AI 기술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싱가포르는 초고령 사회를 향해 나아감에 따라 APSA와 Age Well SG와 같은 종합적인 정책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들은 고령화에 따른 고용, 의료, 인프라, 디지털 포용 등 다각적인 과제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동시에 실버 케어 경제는 새로운 성장 분야로 부상하여, 소비자 건강 기술에서 스마트 노인 케어 솔루션, 의료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문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외국 기업, 특히 한국 중소기업에게 싱가포르는 전략적인 고령화 정책 대응의 모델일 뿐만 아니라 협업과 기술 교류가 가능한 잠재 시장이기도 하다. 싱가포르 연구기관 A*star의 연구원 A씨는 KOTRA 싱가포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싱가포르의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의 노인 돌봄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수의 글로벌 협력 사례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싱가포르는 글로벌 파트너십에 개방적이며 견고한 의료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재택 노후 비전을 추진하고 있어 국경 간 비즈니스 협력에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싱가포르의 인구 고령화는 경제 및 사회 구조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이해하고 한국의 혁신 기업들이 자사의 제품과 솔루션을 진출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면, 싱가포르의 고령화 전환 과정에 의미 있게 기여하는 동시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싱가포르 통계청, 싱가포르 보건부, 싱가포르 인력부, 싱가포르 주택개발청, Statista, The Straits Times, Channel News Asia, Prudential,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정부의 고령화 대응 전략과 실버케어 산업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래를 바꾸는 미국 안티에이징 시장 트렌드
미국 2025-03-28
-
2
사우디 스마트홈 시장 성장 가속…에너지 절감형 기기 수요 주목
사우디아라비아 2025-03-27
-
3
독일 방산 스타트업, 새로운 성장 시대... K-방산 스타트업에도 기회있다
독일 2025-03-26
-
4
차(茶)의 매력: 베트남 차 음료 트렌드
베트남 2025-03-27
-
5
원격진료로 확대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사우디아라비아 2025-03-27
-
6
최근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안경'
중국 2025-03-25
-
1
2024년 싱가포르 반도체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4-11-11
-
2
2023년 싱가포르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3-05-23
-
3
2021년 싱가포르 IT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2-01
-
4
2021년 싱가포르 관광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5
2021년 싱가포르 건설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6
2021년 싱가포르 물류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