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 전남·충북 통합 베트남 소비재 전략사절단 개최기
  • 현장·인터뷰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진웅
  • 2025-03-24
  • 출처 : KOTRA

수출상담회 국내 기업 23개사, 바이어 69개사 참가

전남·충북 기업, 베트남 바이어와 상담 151건·MOU 체결 5건·계약 체결 1건

전략사절단 개요


KOTRA 하노이 무역관은 20243전남·충북 통합 베트남 소비재 전략사절단 상담회를 개최하여 건강식품, 가공식품, 생활용품, 산업재, 화장품 바이어들과 상담 주선을 하였다. 현지 바이어들은 기능성 건강식품(홍삼, 인삼, 콜라겐 등)K-뷰티 제품(미백 크림, 샴푸 등)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생활용품(생리대, 비데 물티슈)과 산업재(자동차 브레이크, 크린라이트)도 시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번 상담회에서 KOTRA 하노이 무역관은 참가 바이어를 대상으로 한국 제품의 경쟁력과 효과적인 마케팅 및 유통 전략 등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베트남 시장 진출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 또한 점검해보았다.


<2025 전남·충북 통합 베트남 소비재 전략사절단>

행사명

전남·충북 통합 베트남 소비재 전략사절단

행사 기간

2025313

행사 장소

Lotte Hotel Hanoi, Vietnam

규모

국내기업 23개사, 베트남 바이어 69개사

주최/주관

전남·충북 / KOTRA 하노이 무역관

행사 내용

1:1 수출상담회 개최, 사전·후 간담회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전남·충북 전략사절단 단체 기념 사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5pixel, 세로 38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2.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5pixel, 세로 386pixel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체 촬영] 


주요 상담 내용


기업들은 베트남 바이어들과 11 대면 상담을 진행했다. 이번 상담회에서는 건강식품, 가공식품, 생활용품, 산업재, 화장품 등이 소개되었으며, 바이어들은 제품을 직접 살펴보고 테이스팅과 체험을 통해 품질을 확인했다. 상담 과정에서 유통기한, 보관 방법, 성분 함량 등에 대한 문의가 이어졌고, 일부 바이어들은 샘플 요청과 추가 테스트를 희망하기도 하였다. 또한, MOQ, 판매가, FOB 등 거래 조건뿐만 아니라 물류비 및 OEM 협업 가능성도 논의되었으며, 베트남 시장 내 마케팅·프로모션 지원 방안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그 결과 총 151건의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5건의 현장 MOU 체결과 1건의 현장 계약이 성사됐다.


<전략사절단 1:1 상담회 전경>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3.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2pixel, 세로 43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4.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2pixel, 세로 434pixel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체 촬영]


국내 참가기업 인터뷰


이번 전략사절단 상담회에서 참가 기업들은 베트남 시장의 가능성을 확인하며 수출 기회를 모색했다. 농산물 유통 기업 A사는 "베트남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어 당사 제품을 수출코자 상담회에 참가했다"라"현장에서 본 바이어들의 수준이 높아 향후 수출 품목이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전했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B사는 "일본 브랜드가 강세였던 동남아 시장에서 한국 부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 시장 개척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상담회를 통해 가능성 있는 바이어들을 만나 만족스러웠다"라고 평가했다.


자연 유래 성분을 활용한 제품을 선보인 화장품 기업 C사는 "신제품에 대한 현지 반응이 긍정적이어서 귀국하는 대로 빠르게 팔로우업 할 예정"이라고 언급하였으며, 식품 기업 D사는 "급식 업체 바이어와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며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라고 밝혔다. 또한, 개인 위생용품 제조업체 E사는 "상담회와 무역 사절단이 수출을 위한 중요한 기회이며, 바로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지속적인 팔로우업을 통해 시장을 개척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베트남 바이어 인터뷰


베트남 소비자들의 한국 화장품, 미용 제품, 소비재에 대한 인식 및 반응


사절단 참가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베트남 소비자들은 한국 화장품과 미용 제품을 고품질이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참가 바이어는 한국 브랜드가 강력한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베트남 소비자들에게 신뢰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또 다른 바이어는 한국 화장품의 인기 요인으로 두 나라의 피부 타입이 유사하다는 점, 합리적인 가격, 다양한 제품군을 꼽았다. 또한, 한류나 양국 간 활발한 문화 및 무역 교류가 한국 제품의 인지도를 더욱 높이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베트남 내 타국 브랜드와 비교한 한국 제품의 강점과 약점


바이어들은 한국 제품의 강점으로 다양한 제품군, 감각적인 패키징, 우수한 품질을 꼽았다. 또한, 소비자가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점도 강점으로 작용하며, 베트남 소비자의 요구와 취향에 적합하다는 점이 호평을 받았다반면, 일부 바이어들은 한국 제품의 약점으로 베트남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지적했다. 아울러, 최근 한국 화장품이 시장에 과도하게 유입되면서 품질을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 바이어는 한국 제품이 높은 품질을 유지하는 만큼 가격이 합리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여전히 로컬 및 중국 제품과 비교하면 부담스러운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제품의 베트남 내 유통 채널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 제품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전 채널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한 바이어는 도매 및 소매 유통망, 슈퍼마켓, 매장 등 오프라인 채널과 전자상거래(Shopee, Lazada), SNS(Facebook, TikTok) 등의 온라인 채널을 통해 활발히 판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다른 뷰티·의료기기 취급 바이어는 스파, 미용실, 도매업체, 의사를 통한 전문 시장 유통이 특징적이라고 덧붙였다.


베트남 시장 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많은 바이어들은 디지털 마케팅과 인플루언서(KOL) 및 소비자 크리에이터(KOC) 활용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제시했다. 특히 뷰티 및 생황용품을 주로 취급하는 바이어는 TikTok을 활용한 마케팅이 특히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하였으며 온라인 마케팅을 더욱 강화해 브랜드 인지도를 장기적으로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바이어는 신규 시장 개척 시 무역 행사 개최 및 유통업체 대상 프로모션 비용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제품의 베트남 시장 진출 시 주요 어려움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 제품이 직면하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가격 경쟁력과 통관 절차가 꼽혔다. 또한, 직구 및 비공식 유통 경로로 유입된 제품으로 인해 전체적인 가격이 하락하면서, 한국 브랜드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점도 언급됐다.


베트남 화장품·미용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제품 및 트렌드


베트남 화장품 및 소비재 시장에서는 선크림, 바디 크림, 건강 관련 제품이 향후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질 것으로 전망됐다. 참가 바이어들은 선크림과 바디 크림 제품군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소비자들이 가처분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안전하고 편리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미니멀리즘 뷰티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어 단순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강조하는 제품들이 주목받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시사점


베트남 바이어와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해보면, 한국 소비재 제품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바이어들은 공통적으로 현지 소비자 기호를 반영한 제품 기획과 품질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온라인 유통망과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이 필수적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가격 경쟁력 확보와 적절한 통관 절차 대응, 브랜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며, 현지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개발도 요구되었다. 이번 상담회는 베트남 시장의 요구를 직접 확인하고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는 계기가 된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과 현지화 전략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 전남·충북 통합 베트남 소비재 전략사절단 개최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