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최근 5년간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 투자진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강나래
- 2025-04-03
- 출처 : KOTRA
-
2024년 FDI 금액, 약 600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 기록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지속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약 2억8000만 명의 인구로 거대한 내수 시장, 풍부한 천연자원, 연 5% 대의 견조한 경제성장률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로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의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은 어떨까? 본 글에서는 최근 5년간 인도네시아의 FDI를 연도별 추이, 주요 산업 및 기업 사례, 정부 지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인도네시아, 아세안 중에서도 선호되는 투자처…상위 3번째 국가
글로벌 경영 컨설팅사 커니(Kearney)에서는 매년 4월 FDI 신뢰도 지수(Confidence Index)를 발표한다. Kearney의 FDI 신뢰도 지수는 전 세계 30여 개국의 연 매출 5억 달러 이상 글로벌 기업 임원을 대상으로 향후 3년 내 직접투자 실행 가능성이 큰 시장 등을 묻는 관련 설문결과를 기초로 산출돼, FDI에 대한 비교적 합리적인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2024년 인도네시아는 향후 3년간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가장 매력적인 신흥국 순위에서 25개국 중 12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1단계 하락한 것이나, 큰 변동 없이 인도네시아가 신흥국 내 안정적인 투자처임을 보여준다. 또한, 아세안(ASEAN) 국가 중 태국(9위), 말레이시아(10위)에 이어 상위 3번째 국가로 기록돼, 아세안에서도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투자 대상국임을 보여준다.
<2024년 신흥국 외국인직접투자(FDI) 신뢰도 지수>
[자료: Kearny (2024.4.)]
최근 5년간 인도네시아의 FDI, 꾸준한 증가세 유지
글로벌 투자자들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신뢰는 실제 FDI로 반영된다. 최근 5년간 인도네시아의 FDI 추이를 살펴보면, 2020~2024년 FDI 금액이 연평균 약 15.9%로 꾸준히 성장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코로나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2020년과 2021년에 안정적인 투자유치를 이어왔고, 2022년 FDI가 급증한 이후에도 증가세를 유지했다.
2021~2022년 사이 FDI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약 311억 달러에서 2022년 약 46.6% 증가한 456억 달러로 급격히 증가했는데, 이는 2020년 11월 발효된 옴니버스법을 통한 외국인 투자유치 환경의 개선, 팬데믹 이후 경제 회복의 가속화 등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2024년 인도네시아 FDI 금액은 전년 대비 약 19.5% 증가하여 사상 최대치인 약 60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0년 대비 2배 이상 그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도네시아 FDI의 꾸준한 증가 요인으로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지원 정책, 글로벌 시장 내 높은 경제성장률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025년에도 인도네시아 정부의 외국인 투자에 대한 꾸준한 정책 지원을 바탕으로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2024년 인도네시아 FDI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2025.2.]
인도네시아 FDI의 원동력, 1차 금속업 및 인프라 개선 관련 산업
그렇다면 인도네시아의 어떤 산업에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자본을 유치하고 있을까? 2020~2024년 인도네시아의 FDI 총금액에서 두각을 보인 주요 산업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2020~2024년 인도네시아 산업 분야별 FDI 금액 비중>
(단위: %, US$ 백만)
주: 산업 분야 비중은 총 FDI 금액 대비 해당 산업 FDI 금액으로 산정하였으며,
소수점 첫째 자리 반올림
[자료: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2025.2.]
① 1차 금속 제조 및 가공업
최근 5년간 인도네시아 1차 금속 제조 및 가공업(이하 1차 금속업)에 대한 FDI는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2024년 1차 금속업의 총 FDI 금액은 약 492억 달러로 전체 FDI 금액 대비 단일 산업 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인 약 23%를 차지하여, 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유치는 1차 금속업이 견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1차 금속업에 대한 꾸준한 대규모 외국인 투자유치의 주요 배경은 ▲정부의 니켈 원광 수출 금지 ▲ 국산 부품 사용 의무화(TKDN, Tingkat Komponen Dalam Negeri) 정책 ▲적극적인 전기차 및 전기차 배터리 산업 육성 정책 등으로 분석된다. 실제 2020년 1월 인도네시아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인 니켈 원광 수출을 전격 금지한 이후, 2021~2022년 사이 1차 금속업 FDI 금액은 전년 대비 약 57% 이상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와 더불어, 니켈 제련소 수 및 니켈 제품 수출액 또한 각각 3배,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② 운송, 창고 및 통신업
1차 금속업 다음으로 최근 5년간 FDI 금액이 높은 산업은 운송, 창고 및 통신업과 광업이다. 2개 산업 모두 인프라 개선과 관련된 산업으로 각각 약 211억 달러, 약 209억 달러로 전체 FDI 금액 대비 약 20%의 비중으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송, 창고 및 통신업 외국인 투자유치의 주요 배경은 ▲정부의 디지털 전환 및 혁신 강조 ▲ 운송, 물류 관련 그린 전환 ▲ 디지털화 가속화에 따른 통신 서비스 수요 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경제 성장을 위한 디지털 전환 및 그린 전환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디지털 혁신을 이룰 시 2045년까지 경제 성장률이 6.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 또한 최근 몇 년간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프라 개선 및 기술 이전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유치 정책 지원으로 앞장서 왔다. 아울러, 운송, 물류 관련 그린 전환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지속 가능한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선진 교통 시스템 구축 등 인프라 개선에 대한 정부 지원으로 꾸준히 외국인 투자를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
③ 광업
원자재의 채굴 및 정·제련 분야인 광업은 1차 금속업에 대한 높은 외국인직접투자에도 기여하는 산업이다.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석탄 수출 2위, 니켈 생산 1위의 동남아의 대표 자원 부국으로, 풍부한 광물 자원을 채굴 및 정제련하는 것에 대한 수요 또한 다대하다. 광업의 외국인 투자유치의 주요 배경은 ▲ 주요 광물 자원에 대한 수출 제한 ▲ 광물 수출업체의 제련소 설치 의무화 ▲ 안정적인 광물 공급망 확보 수요 등으로 요약된다. 인도네시아는 광물 수출 제한 정책 기조를 지속해 오고 있으며, 이는 안정적으로 광물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글로벌 기업들의 인도네시아로의 직접투자로 이어져 오고 있다. 향후에도 정부의 이러한 정책 기조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돼, 동 분야 외국인 투자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20~2024년 인도네시아 FDI 금액 상위 5개 산업 분야 추이>
(단위: US$ 백만)
2020
2021
2022
2023
2024
산업
분야투자
금액
(비중)
산업
분야투자
금액
(비중)
산업
분야
투자
금액
(비중)
산업
분야투자
금액
(비중)
산업
분야투자
금액
(비중)
1차 금속 제조
및 가공
5,969
(20.8%)
1차 금속 제조
및 가공
6,974
(22.4%)
1차 금속 제조
및 가공
10,961
(24.0%)
1차 금속 제조
및 가공
11,787
(23.4%)
1차 금속 제조
및 가공
13,557
(22.6%)
전기, 가스 및
용수 공급
4,614
(16.1%)
광업
3,817
(12.3%)
광업
5,145
(11.3%)
운송, 창고 및
통신
5,616
(11.2%)
광업
5,188
(8.6%)
운송, 창고 및
통신
3,580
(12.5%)
운송, 창고 및
통신
3,159
(10.2%)
화학 및 제약
4,506
(9.9%)
화학 및 제약
4,805
(9.6%)
제지 및 인쇄
4,777
(8.0%)
부동산
2,191
(7.6%)
전기, 가스 및
용수 공급
2,939
(9.5%)
운송, 창고 및
통신
4,125
(9.0%)
광업
4,715
(9.4%)
운송, 창고 및
통신
4,654
(7.8%)
광업
2,005
(7.0%)
식품
2,337
(7.5%)
전기, 가스 및
용수 공급
3,763
(8.3%)
제지 및 인쇄
3,431
(6.8%)
화학 및 제약
4,126
(6.9%)
주: 산업 분야 비중은 총 FDI 금액 대비 해당 산업 FDI 금액으로 산정하였으며,
소수점 둘째 자리 반올림
[자료: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2025.2.]
2024년 인도네시아 주요 외국인 투자유치 사례
2024년 인도네시아의 주요 외국인 투자유치 및 M&A 사례를 살펴보면, 미국과 중국 기업들이 동일한 산업 분야에 있는 인도네시아 기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으며, 통신 및 에너지, 광업에 중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 분야에서는 미국의 우주 기업인 SpaceX가 인도네시아 통신사 Telkom Indonesia에 대한 약 300억 달러로 대규모 투자했으며, 자사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Starlink로 인도네시아 전역에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에너지, 광업 분야는 중국의 신소재 제조기업인 BTR New Material Group이 인도네시아 국영 광산 회사인 Aneka Tambang Tbk에 투자한 건을 꼽을 수 있다. 동 투자는 전기차 산업의 성장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및 중요 원자재인 니켈 수요 증가에 따라 단행된 전략적 투자로, 향후 안정적인 니켈 공급을 확보하고 인도네시아 니켈 산업에서의 경쟁력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4년 인도네시아 주요 외국인 투자유치 사례>
(단위: US$ 십억)
투자 기업
국가
피투자 기업
투자 금액
투자 부문
SpaceX
미국
Telkom Indonesia
USD 30
위성 인터넷 서비스
Microsoft
미국
Agate
USD 1.7
인공지능(AI) 인프라
BTR New Material Group
중국
Aneka Tambang
USD 0.47
전기차 배터리 소재
Delonix Group
중국
Nusantara
USD 0.03
호텔 및 오피스 단지
Magnum Estate
러시아
Nusantara
USD 0.02
리조트
주: 투자 금액은 향후 수년간 투자 예정 금액을 포함함
[자료: Jakarta Globe 등,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작성]
<2024년 인도네시아 주요 M&A 사례>
(단위: US$ 십억)
인수 기업 – 피인수 기업
산업 분야
M&A 금액
관련 내용
XL Axiata → Smartfren Telecom
통신
USD 6.5
PT XLSmart Telecom Sejahtera로 합병
Bukit Makmur Internasional → Peabody SMC
광업
USD 0.45
지분 51% 인수
TBS Energi Utama → Sembcorp Environment
에너지
USD 0.29
지분 100% 인수
Bank Commonwealth → Bank OCBC NISP
은행
USD 0.14
합병
Aneka Tambang → Jiu Long Metal Industry
(Eternal Tsinghan 그룹 지사)
광업
USD 0.10
지분 30% 인수
주: 현지 언론상 보도된 M&A 금액으로 작성
[자료: CNBC, Bisnis.com, Tempo 등,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작성]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최근 정부 정책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은 2029년 임기 종료 전까지 8%의 경제 성장률 달성을 위해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약 9000억 달러의 투자 유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외국인 투자 자본 유치를 추진하는 각종 정부 정책이 마련되고 있으며, 최근 2년 내 대규모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정부 정책 지원은 다음과 같다.
① 신수도 투자유치 인센티브
인도네시아 정부는 신수도에 100억 루피아 이상 투자 시 법인세를 100% 면제하는 혜택을 제공하며, 산업별 혜택을 제공하는 기간은 다음과 같다.
- 인프라 및 공공 서비스 : 최대 30년간
- 보험사·은행·이슬람 금융: (2023년~2035년 진출 시) 최대 25년간, (2036~2045년 진출 시) 최대 20년간
- 관광 시설(호텔, 쇼핑몰 등) 건설: 최대 20년간
- 농업 및 어업: 최대 10년간
아울러, 관련 외국인 근로자에게 거주 허가, 개인 소득세 및 관세 면제 혜택을 주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인센티브는 외국인 투자유치 촉진은 물론, 인도네시아 신수도의 성공적인 개발 및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기여한다.
② 법인세 감면(Tax Holiday) 연장 및 경제특구 조세 감면 혜택
인도네시아 정부는 법인세 감면 제도를 ‘25년 12월 30일까지 추가 연장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 경제특구(SEZ, Special Economic Zone) 내 사업장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200억~1000억 루피아 투자 시 법인세 50% 감면, 1000억 루피아 이상 투자 시 법인세 100% 세제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경제특구 내 기업들은 부가세 면제, 세관 및 소비세 혜택 등 다양한 세제 혜택을 통해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 환경 및 조건으로 작용한다.
시사점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의 무상급식, 무료 건강검진 지원 등 복지 정책 확대에 따른 우려로 물가 등 경제지표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프라보워 정권의 높은 경제 성장률 목표와 이를 위한 투자유치 정책 기조는 유지돼, 향후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통신, 에너지, 건설 산업 관련 인프라 확충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투자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인도네시아 시장은 특정 시장 의존도를 줄여 리스크를 분산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지원하는 다양한 투자유치 정책을 면밀히 모니터링 및 활용하여, 한국 기업들이 강점을 가진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것은 물론, 정부 기관 및 기업 파트너십 강화, 이를 통한 지역 특성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로 인도네시아 시장을 발판으로 아세안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Jakarta Globe, CNBC, Tempo,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최근 5년간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5년 전망
인도네시아 2025-04-08
-
2
헝가리, 중국 기업의 유럽 교두보로 부상…한국 기업이 주목할만한 시사점은?
헝가리 2025-04-03
-
3
2025 슬로베니아 경제·산업 진단: 회복세 속 구조전환, 전략산업에서 기회
슬로베니아 2025-04-03
-
4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및 특별경제구역 현황
인도네시아 2024-09-06
-
5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인도네시아 2025-03-17
-
6
인도네시아 Z세대가 열광하는 Y2K 패션 트렌드
인도네시아 2025-03-28
-
1
2025년 인도네시아 의료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5-03-04
-
2
2024년 인도네시아 기초금속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24
-
3
2024년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10
-
4
2021년 인도네시아 소비재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5
2021년 인도네시아 기계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6
2021 인도네시아 건설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