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공기 청향제(air fresheners) 시장의 성장과 기회
  • 트렌드
  • 인도
  • 첸나이무역관 이민형
  • 2025-03-12
  • 출처 : KOTRA

인도 공기 청향제 시장, 2024년 기준 3억6834만 달러 규모

탈취뿐 아니라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제품에 관심 높아

한-인도 간 CEPA제도 활용 시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인도에서 공기 청향제는 가정, 상업 공간 및 공공 장소에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도 공기 청향제 시장의 2024년 기준 가치는 3억 6834만 달러이고, 2030년까지 4억 8898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4.84%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제품 혁신,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 음성 제어 및 자동화 기능을 갖춘 스마트 공기 청향제의 증가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공기 청향제 시장 동향


인도는 도시 인구 증가로 인해 오염과 환기 부족 문제가 심화되면서 실내 공기 청향제가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에서 판매되는 주요 제품군은 에어로졸 스프레이, 플러그형 장치, 젤, 액체 디퓨저, 향, 두프(Dhoop, 종교 의식이나 가정에서 태워 달콤한 향을 내는 인도의 압출 향), 향초 등이 있다.

도시화와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인해 가정뿐만 아니라 사무실, 호텔 및 공공 공간에서도 공기 청향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단순한 탈취 기능을 넘어 실내 분위기를 개선하는 제품을 선호하며, 향기 옵션, 디자인 및 지속성 개선이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또한, 2~3급 도시(푸네, 코임바토르 등)에서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서 공기 청향제가 필수품일 뿐만 아니라 고급 소비재로도 인식되고 있다.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 기반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기업들은 친환경 및 반려동물 친화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 가능성과 혁신을 중시하는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SWOT 분석


인도의 공기 청향제 시장은 몇 가지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인도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300여 개의 천연 향료 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31개는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다. 특히 멘톨 민트, 백단향(Sandalwood), 자스민(Jasmine), 튜버로즈(Tuberose) 등 다양한 향신료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이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인도의 실내 공기 청향제 제조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해외 투자자들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시장에는 몇 가지 약점도 존재한다. 인도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한 편이므로 프리미엄 공기 청향제의 확산이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브랜드 간의 치열한 가격 경쟁으로 인해 이윤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특정 향료 조성을 위한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아 원가 상승과 가격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도 있다.

기회 요인으로는 자동차용 공기 청향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 있다. 이 부문은 연평균 성장률(CAGR) 12% 이상을 기록하며 가장 빠르게 확장되는 분야로 평가된다. 또한, 스마트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친환경 공기 청향제 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향후 높은 성장 가능성이 예상된다.

하지만 위협 요인도 존재한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포함된 제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높아지면서,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과 관련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 성분 기반 공기 청향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 지원 정책


최근 인도 정부와 산업 단체들은 향료 산업 및 공기 청향제 시장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2024년 10월, 러크나우(Lucknow)에서 열린 제3차 향료 비즈니스 서밋(Fragrance Business Summit )에서 국제향료협회(IFRA, International Fragrance Association)와 인도상공회의소연맹(FICCI, Indian Chambers of Commerce and Industry)이 MOU를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지속 가능성 증진, 조향(perfumery, 향수를 만들거나 향과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 의미) 기술 개발, 글로벌 안전 기준 준수를 포함한다. 


또한, 인도 정부는 MEIS(상품 수출 촉진 계획, Merchandise Exports from India Scheme) 및 TIES(무역 인프라 지원 계획, Trade Infrastructure for Export Scheme)를 통해 제조업체들에게 인센티브와 인프라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Startup India 프로그램은 혁신적인 향료 스타트업을 지원하며, Aroma Mission은 천연 및 유기농 향료 생산을 촉진한다. 2025년까지 IFRA는 인도표준국(BIS) 및 중앙 의약·향료 연구소(CSIR-CIMAP)와 협력하여 품질 기준 개선, 지속 가능성 확대 및 새로운 화학물질 규제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관련 기업 동향

 

기업명

주요 제품 및 마케팅 전략

Godrej

 (브랜드: aer)


- 가정 및 차량용 방향제 전문기업으로, 인도에서 처음으로 브랜드화된 차량용 매달이형 방향제인 "Godrej aer O"를 출시했음

- 또한, 힌두교 축제 주최자들과 협력하여 축제 공간에서 홍보

Reckitt Benckiser

(브랜드: Air Wick)


- 플러그인 방향제, 에센셜 미스트 디퓨저, 자동 스프레이 제품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

- 또한, V.I.P. 프리-푸프 스프레이는 화장실 사용 전에 뿌려 불쾌한 냄새를 방지하는 역할

Mangalam CamPure


- 주로 camphor powder (강한 향을 가진 하얀색 왁스 형태의 테르페노이드로, 면역력 증진 특성 등이 있음)를 제조하여 종교 용도로 사용되는 태블릿 및 콘 형태의 제품 공급

Dabur

(브랜드: Odonil)


- 주요 제품으로는 Odonil 룸 프레시너 스프레이, Odonil 블록 및 지퍼, Odonil 젤 포켓이 있음
- 이러한 제품들은 다양한 향과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취향과 공간에 맞게 선택 가능
- 레트로 마케팅 전략 활용하여 마케팅에 집중하며(옛 광고 및 유명 배우 재출연), 대화형 CTV(인터넷 연결 TV) 캠페인을 통해 사용자 향 선호도 분석 및 QR코드를 활용한 구매 유도

Procter & Gamble 

(브랜드: Ambi Pur)


- 차량용 방향제, 룸 프레시너 스프레이, 플러그형 방향제 등 판매 중

- 500대 이상의 택시에 제품을 배치하는 ‘Cab Branding Campaign’ 실행, QR 코드를 활용하여 즉각적인 온라인 구매 유도

 

수입 정책 및 인증

 

BIS(Bureau of Indian Standards(인도 표준국)) 인증: 현재 실내 방향제와 향료 제품은 BIS 필수 인증 대상이 아니지만, 소비자 안전을 보장하고 잠재적인 규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안전 및 품질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수입업체는 BIS 인증을 자발적으로 취득하여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인도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BIS 표준 마크(BIS Standard Mark)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취득해야 한다.


FMCS(Foreign Manufacturers Certification Scheme): 인도로 제품을 수출하는 해외 제조업체는 이 인증을 통해 BIS 인증을 취득할 수 있다. 이 인증을 받으면 BIS 표준 마크를 부착할 수 있으며, 해당 제품이 인도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CCRS(Compulsory Compliance Requirements): 향수를 인도로 수입할 경우, 필수적으로 라이선스 및 허가를 취득해야 하며 품질 기준 및 규정을 준수하고 관련된 모든 서류를 갖춰야 한다.


라벨링 규정: 공기 청향제 제품은 인도의 라벨링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제품명, 제조업체 주소, 제조일 및 유통기한, 순 용량, 사용법 및 주의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포장 규정: 향수 및 공기 청향제를 수입할 때 허용되는 최대 수량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에어로졸 제품은 가연성이 높고 화학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 화학물질 제조, 보관 및 수입 규정(MSIHC, Manufacture, Storage, And Import of Hazardous Chemicals)에 따라 취급해야 하며, 환경·산림·기후변화부(MoEFCC, Ministry of Environment, Forests, and Cllimate Change) 산하 화학 및 석유화학 안전부(CPSD, Chemicals and Petrochemicals Safety Division)에 등록해야 한다. 등록을 위해서는 에어로졸 용기 라벨 설명, 안전 데이터 시트(Safety Data Sheet), 운송 분류(Transit Classification) 등을 포함한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운송 규정: 향수 및 공기 청향제의 안전한 취급, 보관 및 운송을 위해 국제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국제해상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및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에서 제정한 규정을 따라야 한다.


관세 정보

HScode 330749는 실내 방향제 및 향료, 종교 의식용 향 제품 등을 포함하며 세율은 18%로 자세한 세율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HS 코드 및 세율 정보>

(단위: %)

HS 코드

제품 설명

세율

330749

실내 방향제 및 향료, 종교 의식용 향 제품 등을 포함

18%

최혜국 대우(Most Favoured Nation, MFN) 관세

20%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APTA) 특혜 관세

없음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 특혜 관세

0%

[자료: Indian Trade Portal]


수출입 현황


<인도 공기 청향제 수출 상위 10개국>

(단위: US$백만, %)

순위

국가

FY 2023

FY 2024

증감률

1

미국

5.6

7.1

26.1

2

영국

4.1

4.0

-4.1

3

네팔

2.6

2.4

-4.8

4

호주

2.9

2.3

-19.4

5

UAE

2.3

2.1

-8.0

6

사우디아라비아

0.5

1.2

114.8

7

네덜란드

0.5

1.1

93.4

8

파나마

0.6

1.1

65.0

9

말레이시아

0.9

0.8

-0.7

10

스페인

0.7

0.7

3.7

[자료: Ministry of Commerce & Industry]

 

<인도 공기 청향제 수입 상위 10개국>

(단위: US$백만, %)

순위

국가

FY 2023

FY 2024

증감률

1

프랑스

2.1

3.3

51.5

2

말레이시아

2.3

2.2

-2.8

3

태국

2.1

2.1

-0.4

4

중국

1.3

1.9

38.9

5

불가리아

1.0

0.9

-16.5

6

미국

0.6

0.6

-0.4

7

벨기에

0.01

0.5

1025.6

8

UAE

0.3

0.3

0.5

9

독일

0.1

0.2

62.1

10

폴란드

0.4

0.2

-49.1

[자료: Ministry of Commerce & Industry]

 

인도에서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현황은 2021년과 2022년에는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3년에는 급격한 증가가 있었다. 하지만 2024년에는 다시 크게 감소하는 등 수입액 변동이 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현황>

(단위: US$천, %)

연도

수입액

증감률

2021

133

-42.4%

2022

111

-16.5%

2023

212

91.0%

2024

103

-51.4%

[자료: stat.kita.net]

 

인터뷰


Nilgiri’s 슈퍼마켓에서는 다양한 공기 청향제를 판매하고 있다. Nilgiri 의 판매 담당자에 따르면 "저희 매장에서는 가정, 차량, 욕실, 종교 의식을 위한 다양한 공기 청향제를 진열하고 있습니다. 저희의 대표 제품은 Ambi Pur이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는 Godrej Aer입니다. Good Home과 같은 신흥 브랜드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포켓형, 파우치형, 젤 또는 고체 형태의 바 타입 제품을 욕실용으로 많이 찾습니다. 향 관련한 제품으로는 스틱형(아가르바띠), 분말형, 콘 형태, 고체형 등 다양한 제품이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공기 청향제뿐만 아니라 위생 관리, 종교 의식, 그리고 모기 퇴치 기능이 있는 제품을 선호하며 자주 구매합니다."라고 답했다. 


<공기 청향제 매장 사진>


[자료: Nilgiris 매장]


시사점

 

한국의 관련 중소기업이 인도 공기 청향제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 인도 공기 청향제 시장은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단순한 탈취 기능을 넘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향기와 지속성을 강화한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스마트 기능이 적용된 제품도 주목받고 있다. 도시화가 확대되고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공기 청향제보다 공간을 고급스럽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제품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천연 에센셜 오일을 활용한 제품이나 저자극, 무독성의 친환경 제품이 시장에서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유통 전략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 대형 마트와 같은 오프라인 유통 채널뿐만 아니라 Amazon India, Flipkart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소셜미디어 마케팅과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홍보 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국과 인도 간의 CEPA제도를 활용하면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인도 로컬 브랜드 및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가격 책정과 원가 절감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중소기업이 인도 공기 청향제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프리미엄화, 친환경화, 현지화 전략을 중심으로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유통 채널을 다각화하고 디지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FTA를 활용한 가격 경쟁력 확보 역시 신중히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자료: msme.gov.in, professionalutilities.com, bonafideresearch.com, indianretailer.com, scribd.com, mediabrief.com, adgully.com, emerald.com, Ministry of Commerce & Industry, Indian Trade Portal, stat.kita.net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공기 청향제(air fresheners) 시장의 성장과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