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이집트 가전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4-10-14
  • 출처 : KOTRA

이집트의 가전 판매 상위 5개 품목은 가스레인지오븐, 냉장고, 세탁기, 식기세척기, 에어컨, 냉동고 순임

이집트의 가전 제품 시장은 인구 증가, 중산층 증가에 힘입어 향후 10% 내외의 꾸준히 성장 전망

이집트 가전제품 수요 성장세 및 전망

 

Statista에 따르면, 이집트의 인구는 2020년~2029년간 평균 18.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이집트 인구는 1억778만 명 수준이며, 이는 전년 대비 1억567만 명에서 약 211만명 증가했다. 이집트는 인구 증가와 가구 수의 증가로 인해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집트 인구 변동 추이>

(단위: 백만 명)

[자료: Statista]


EIU에 따르면, ’24년부터 ’28년까지 이집트의 인플레이션이 둔화한 것이고, 신행정수도인 '뉴엘알라메인(New El-Alamein)'과 ‘라스엘헤크마(Ras El Hekma)’와 같은 도시 개발 프로젝트 완공 시 새로운 주거지에 인구가 대거 유입되면서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이집트의 중산층 증가는 가정용품, 특히 백색 가전제품에 대한 지출을 확대할 것으로 예측된다.

  

<주요 가전 품목별 생산 대수 전망>

(단위: 백만 개)

No.

품목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1

가스레인지 겸용 오븐

2.8

3.0

3.4

3.4

3.6

3.7

3.9

4.1

4.3

4.5

4.7

5.0

2

냉장고

1.1

1.2

1.4

1.4

1.5

1.6

1.7

1.8

1.9

2.0

2.1

2.2

3

세탁기

0.8

0.9

1.1

1.0

1.1

1.1

1.2

1.3

1.4

1.4

1.5

1.6

4

식기 세척기

0.8

0.8

1.0

1.0

1.0

1.1

1.1

1.2

1.2

1.3

1.3

1.4

5

에어컨

0.6

0.7

0.6

0.7

0.7

0.7

0.8

0.8

0.8

0.9

0.9

0.9

6

냉동고

0.5

0.6

0.6

0.6

0.7

0.7

0.7

0.7

0.8

0.8

0.8

0.9

총합

6.7

7.1

8.1

8.1

8.6

8.9

9.4

9.9

10.4

10.9

11.4

11.9

[자료: Statista]

 

Statista에 따르면, 판매 대수 기준 주요 가전제품은 가스레인지 겸용 오븐(쿠커 및 오븐), 냉장고, 세탁기, 식기세척기, 에어컨, 냉동고 등으로 나타난다. COVID19 팬데믹은 소비자들이 세척과 위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했고, 결과적으로 냉장고,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제품 판매량이 증가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후 러-우 사태로 일부 공급망이 중단돼 부품 부족 상황을 겪었고, 외환위기 및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의 지출이 감소하며 성장이 다소 둔화했지만, 이는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면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에 이어 가전 시장 성장의 또 다른 원동력은 인구 증가와 도시화 현황이며, 스마트 세탁기, 스마트 냉장고와 같은 기술의 발전과 가정에서 요리하는 가구 증가로 오븐과 같은 제품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요 가전제품 품목별 전망

 

가스레인지 겸용 오븐


Statista에 따르면, ’25년부터 ’29년까지 오븐이 부문별 판매량에서 선두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쿠커와 오븐의 판매량은 ’29년까지 500만 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4.3%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성장의 요인은 팬데믹으로 강조된 웰빙 트렌드와 이집트 가정에서 더욱 경제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트렌드라 할 수 있다. ‘25년 이후 많은 가정들이 외식보다는 집에서 건강식을 챙겨 먹으며 가스레인지 겸용 오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냉장고


냉장고는 ’25~’29년 간 가전제품 판매량 2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판매량은 5.3%로 성장하며 ’29년까지 판매량이 220만 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집트는 빠른 인구 증가, 특히 도시 지역에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이주함에 따라 냉장고를 포함한 현대적인 편의 시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 이집트의 높은 기온은 음식과 음료를 보관하는 냉장시설 판매량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세탁기


세탁기는 ’25~’29년까지 가전제품 판매량에서 3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판매량은 ’29년까지 160만 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4.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많은 인구가 도시로 이주하고 바쁜 일상생활 속에 자동 세탁기 같이 시간 절약이 가능한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 거주자들은 특히 이 제품들이 제공하는 편리성과 효율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또한, 중산층의 성장과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서 더 많은 가정이 반자동 세탁기에서 자동 세탁기로 전환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식기 세척기


식기세척기는 ’25~’29년까지 가전제품 판매량에서 4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판매량은 ’29년까지 140만 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4.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집트에서 식기세척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현대 생활의 필수 제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인구 증가와 함께 가정 내 수도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는 물 절약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식기세척기는 전통적인 세척 방법보다 물을 덜 사용하기 때문에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여성의 직장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일상적인 가사 업무를 덜어주는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에어컨


에어컨은 ’25~’29년까지 가전제품 판매량에서 5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판매량은 ’29년까지 90만 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3.6%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반적으로 에어컨 판매는 인구 증가, 새로운 가구 수의 증가, 이집트의 더운 날씨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전기 요금 상승으로 인해 인버터 기능이 있는 에어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 제품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유지 비용을 절감하게 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냉동고


냉동고는 ’25~’29년까지 가전제품 판매량에서 6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냉동고 판매량은 ’29년까지 90만 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3.7%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집트에서는 가족들이 특히 라마단과 이드와 같은 종교 축제 기간 대량의 음식을 준비하고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동고는 이러한 음식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 이 기간에 전자제품 매출이 증가하곤 한다. 또 최근 이집트의 냉동식품 시장이 확대되면서 냉동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편리한 냉동 즉석식품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가정에서 냉동고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경제적 불확실성이나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식량 안보에 대한 우려로 인해 많은 소비자가 대량 구매한 식량을 저장하고 쇼핑 빈도를 줄이기 위해 냉동고에 투자하게 됐다.

 

가전제품 품목별 트렌드

 

가스레인지 겸용 오븐


Euromonito(‘23.12월)에 따르면, 오븐 분야에서 프리 스탠딩형 대형 가스레인지 겸용 오븐이 ‘23년 가장 판매량이 높았던 제군으로 소매 판매량이 4% 증가해 200만 대에 도달했다. 가스레인지는 대형 조리기구에서 여전히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릴과 오븐이 포함된 클래식한 5구 버너 모델이 가장 인기 있는 모델이다. 이러한 가스레인지 보유 트렌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어린 자녀가 있는 가족에게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어린이 잠금장치와 자동 차단과 같은 고급 안전 기능을 갖춘 가스레인지와 오븐이 매우 인기를 끌고 있다. 작동 중 외부 표면이 차가운 ’쿨 투 터치(Cool-to-touch) 표면‘을 가진 가스레인지와 오븐도 주목을 받고 있다.


<Fresh Cooker 5 Burners Forno 55/80 가스레인지 겸용 오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2pixel, 세로 440pixel

[자료: Amazon Egypt]


냉장고


냉장고는 베코(BEKO)의 4도어 냉장고가 ’23년에 가장 판매 실적이 좋았다. 소매 판매량이 2% 증가해 190만 대에 달했다 멀티 도어 냉장고는 많은 소비자가 프렌치도어나 4도어 디자인과 같이 양문형 냉장고 모델을 선호하면서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모델들은 넓은 공간과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이 많아 관심을 받고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장고와 냉동고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정 기능이 있는 것도 특징이다.

 

<베코 냉장고 4도어 480리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4pixel, 세로 688pixel

[자료: Amazon Egypt]

 

세탁기


세탁기 부문에서는 토시바 전자동 세탁기 인버터 전자동 세탁기가 ’23년에 최고 성과를 보였던 모델로, 소매 판매량이 3% 증가해 220만 대에 달했다. 소비자들이 전기 요금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인버터 기술이 적용된 자동 세탁기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 ’23년 인버터 자동 세탁기가 총판매량의 35%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집트 소비자들은 인버터 기술이 적용된 드럼 세탁기를 인버터 기능이 있는 탑 로더 세탁기보다 선호한다. 드럼 세탁기는 물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세척 성능이 뛰어나며 옷을 부드럽게 다루어 더 인기가 높다.

 

<토시바 전자동 세탁기 인버터 7K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550pixel

[자료: Amazon Egypt]

 

식기세척기


Euromonitor에 따르면 베코 식기세척기가 ’23년에 가장 성과가 좋았으며, 소매 판매량은 여전히 1% 감소해 6만1000대에 그쳤다. 경제 상황이 개선됨에 따라 식기 세척기를 보유 추세가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신축 주택에 식기세척기가 설치되면서 신축 주택 확대가 판매 확대의 주요 요인이다. 또한, 최근 주방은 식기세척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중산층 및 고소득 가구에서도 식기세척기 보유 트렌드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가정의 노동 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일부 가구는 식기세척기가 더 저렴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판한다.

 

<베코 식기세척기 5개 프로그램 14인용 60cm>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5.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9pixel, 세로 550pixel

[자료: Amazon Egypt]

 

에어컨


프레쉬의 스플릿 에어컨이 ’23년에 가장 판매 실적이 좋았다. 소매 판매량은 3% 감소한 930만 대 수준이었다. 이집트인들은 인버터 기술, 효과적인 냉각 기능, 적은 소음, 세련된 디자인 등의 이유로 이 모델을 선호한다. 스플릿 모델에는 냉각 수요에 따라 압축기 속도를 조절하는 인버터 기술이 적용돼 있다. 이는 에너지 절감으로 이어지며, 전기세가 상승 중인 이집트에서는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모델은 주부들의 관심 품목이다. 압축기와 소음이 나는 에어컨 실외기가 건물 외부에 설치돼 분리형 모델은 창문형에 비해 집안 소음이 적으며 이런 이유로 침실과 거실 제품에 선호되는 유형이다. 이에 더해 많은 소비자는 분리형 에어컨이 집 안 인테리어 장식과 잘 어울리는 현대적이고 미니멀한 디자인을 두고 있어 선호한다고 말한다.

 

<Fresh 스플릿 에어컨, 1.5마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6.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3pixel, 세로 364pixel

[자료: Amazon Egypt]

 

냉동고


앞서 언급했듯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집트에서는 냉동고가 기본 가전제품이 됐다. 많은 이집트인 사이에는 냉동고에 음식을 비축하는 트렌드가 형성됐다. 또한, 코로나 이후 가정에서 요리하는 수요가 많아지면서 더 많은 음식을 보관할 냉동고가 인기를 끌었다. ’23년에는 상자형 냉동고가 수직형 냉장고 냉동고보다 가격이 저렴해 더 큰 인기를 끌었다.

 

<Kiriazi 냉동고 - 336리터 용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7pixel, 세로 549pixel

[자료: Amazon Egypt]


<최근 가전제품 판매량>

(단위: 천 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8.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5pixel, 세로 244pixel

[자료: Euromonitor]

 

최근 정부 지원 동향

 

EME(Egypt Makes Electronics) 제도


2015년 이집트 정부가 전자산업을 활성화하고 국내 제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EME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정책은 최소 현지 부품 사용 비율 충족, 노동력 훈련을 통한 기술 이전, 고용창출 등의 조건 충족 시 세금 감면 및 관세 면제, 수출 관련 세금 혜택, 토지 장기 임대, 저리 대출 등을 제공하고 있다.

 

골든 라이센스 제도


정부는 외국인 직접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22.12월 골든 라이선스 제도를 도입했다. 적용 대상 분야는 제조업, 재생 에너지, 통신, 인프라, 물류, 기술 개발 등 이집트 경제 성장에 필수적인 분야로 ’17년 투자법 제72호 제20조‘에 따라 국가 전략 프로젝트 또는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을 실행하는 투자자 중 선별해 부여하고 있다. 이 제도의 핵심 혜택은 △다양한 정부 부처의 인허가 원스톱으로 처리, △특정 기간 세금 감면이나 면제 혜택을 제공, △공공 부지에 대한 토지 할당이 용이, △토지 취득 절차도 간소화 등이 포함된다. 전자분야에서 골든 라이선스를 받은 투자기업은 중국의 하이얼(Haier), 이집트의 엘아라비(Elaraby Electric Home Appliances), 한국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독일 보쉬(BSH Bosch Egypt), 터키의 베코(Beko Egypt Group) 등이 있다. 


<이집트 골든 라이센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9.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8pixel, 세로 477pixel

[자료: 투자및자유무역지구청(GAFI)]


가전제품 분야 주요 기업의 현황

 

이집트에서는 많은 기업이 다양한 가전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이집트 기업 Fresh는 가스레인지, Kiriazi사는 냉장고, 일본 Toshiba는 세탁기, 터키의 Beko는 식기 세척기, Fresh는 에어컨, 일본 Sharp의 냉동고를 생산하며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현지 제조 브랜드는 글로벌 수입 브랜드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현지 A/S가 용이하며 정부의 각종 인센티브를 활용하며 소매 판매량 점유율에서 두드러진 성장을 하고 있다. 정부 또한 글로벌 브랜드의 투자유치를 통해 현지 제조 역량을 강화해 이집트를 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 지역의 제조 허브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외국 기업뿐 현지 기업인 엘아라비 그룹(El Araby Group)의 완제품 및 반제품 가전 및 전자제품, 시각장비 및 관련 부품 생산 및 조립을 위한 공장을 설립에도 골든 라이선스를 부여했다. 

 

<주요 가전 기업 현황 및 시장점유율>

상표

회사

주요 제품

시장 점유율 (%)

Fresh

Fresh Electric Co

가스레인지 겸용 오븐

19.0

Kiriazi

Kiriazi Group

냉장고

16.5

Toshiba

El Araby Group

세탁기

21.2

Beko

Arçelik AS

식기 세척기

38.5

Fresh

Fresh Electric Co

에어컨

42.2

Sharp

El Araby Group

냉동고

10.0

[자료: Euromonitor(‘23.12)]

 

Euromonitor에 따르면 이집트에는 30여 개의 국내외 가전 브랜드가 현지에서 경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현지 Kiriazi, 에어컨은 일본의 샤프가, 자동 세탁기는 LG가, 그리고 최근 스웨덴의 Electrolux가 ’11년에 이집트의 올림픽 그룹(Olympic Group)을 인수하며 현지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 해외 가전 기업들의 이집트 진출이 활발하다. ’24.9월 터키 가전제품 제조사 베코(Beko)가 텐스오브라마단(10th of Ramadan) 산업단지에 약 1억1000만 달러를 투자해 1만4000 규모의 복합단지 개관했다. 50%의 현지 부품 사용해 베코 제품 및 최근 인수한 윌풀(Whirpool), 아리톤(Ariston), 인데시트(Indesit), 히타치(Hitachi) 브랜드의 냉장고, 냉동고, 오븐, 식기세척기를 포함 약 150만 대 생산 예정이며 생산량의 60%는 중동‧아프리카, 유럽에 수출할 계획이다. 


연간 수출액은 약 2억5000 달러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보쉬 가전 모기업인 BSH 인터네셔널은 MENA 지역 최초로 이집트에 약 5000만 유로를 투자해 16만규모의 공장을 설립 중이다. ’24년 말 완공 시 연간 3만 5000대의 오븐을 생산해 중동, 아프리카, 터키로 수출 예정할 예정이다. '24.8월 LG는 현지 라야 일렉트릭과 계약을 체결해 현지에서 에어컨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 식스스오브라마단(6th of Ramadan) 공단에 2만m² 규모의 부지에 연간 30만 대의 생산 능력을 갖춘 제조 역량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라야는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3억5000만 이집트파운드(72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LG 전자는 라야 전기가 향후 3년 내 연간 10만 대 이상을 생산해 이집트 시장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일부 지역 시장으로의 수출도 검토할 계획이다.


<주요 가전제품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No.

브랜드

제조사

2020

2021

2022

2023

1

Fresh

Fresh Electric Co

7.5

8.9

11.6

13.4

2

Toshiba(Midea Group Co Ltd)

El Araby Group

14.9

14.8

13.4

10.4

3

Unionaire

Unionaire Group

0

5.4

5.9

6.5

4

Kiriazi

Kiriazi Group

9.1

7.7

6.8

6.4

5

LG(LG Corp)

LG Electronics Egypt SAE

7.9

6.9

6.3

6.1

6

Sharp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 Araby Group

3.7

4.2

4.7

4.9

7

Tornado

El Araby Group

0.5

0.8

4.2

4.7

8

White Point

ADB Group

2.1

5

4.7

4.3

9

La Germania (Bertazzoni SpA)

El Araby Group

-

-

-

4.3

10

Universal

Universal Group

5.4

5

4.5

3.8

11

Samsung

Samsung Corp

5.6

4.8

4

3.5

12

Beko

Arçelik AS

0.6

0.7

2.2

2.4

13

Ideal Zanussi(Electrolux AB)

Olympic Group SAE

2.4

2.6

1.9

2.4

14

PASSAP

Tredco for Engineering

Industries

-

-

2.2

2.2

15

Zanussi-Electrolux(Electrolux AB)

Olympic Group SAE

1.5

1.7

1.3

1.4

16

Technogas

Eastern Co SAE

1.7

1.7

1.7

1.4

17

Hoover(Haier Group)

El Araby Group

1.2

1.2

1.2

1.1

18

Ideal(Electrolux AB)

Olympic Group SAE

1.2

1.3

1

1.1

19

Bosch

BSH Hausgeräte GmbH

0.2

0.2

0.2

1.1

20

Glemgas

Glem Gas SpA

3.2

1.8

1.3

1.1

21

Haier

Haier Group

1.8

1.3

1.1

1

22

Ariston(Whirlpool Corp)

Ariston Egypt

1.9

1

1

0.9

23

Royal Gas

Al Arabia Group

-

-

-

0.7

24

W Alaska

Alaska Co

-

0.5

0.6

0.7

25

Electrostar

Electrostar Group

0.8

0.8

0.7

0.7

26

White Whale

White Whale Co

0.5

0.4

0.3

0.7

27

JAC

JAC Power Group

0.2

0.3

0.2

0.3

28

Whirlpool(Whirlpool Corp)

MTI Group for Industry & Int’l Trade SAE

-

-

-

0.3

29

Penguin

Penguin Appliances Co

-

-

-

0.2

30

Hotpoint-Ariston(Whirlpool Corp)

Ariston Egypt

0.2

0.2

0.1

0.1

31

HiSense(Hisense Group)

Hisense Kelon Electrical Appliance Co Ltd

0.5

0.3

0

-

32

Iberna(Haier Group)

Olympic Group SAE

0.2

0

-

-

33

UnionTech

UnionTech SAE

0.5

-

-

-

기타

Others

24.7

20.4

17.1

12

합계

100.0

100.0

100.0

100.0

[자료: Euromonitor(‘23.12)]

 

이집트 가전제품 A/S 서비스 현황 및 추세

 

이집트에서는 가전제품 구매 시 품질 보증서 및 원활한 애프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한 고려 요소다. 최근 몇 년 동안의 경제 위기를 겪으며 신규 브랜드가 등장했다가 사라지는 일이 잦았다. 최근 제품이 고장 난 경우 교체 부품이 없거나 실제 품질 보증이 되지 않아 어려움에 부닥친 경우가 많았던 지라 소비자들은 특히 대형 가전 및 고가 품목의 브랜드 선택에 더욱 신중해지고 있다. 가전 구매 시 가격이 최우선 고려 사항이지만, 그럼에도 소비자들은 평판 좋은 A/S 서비스가 제공되는 브랜드인지도 꼼꼼히 살핀다. 최근 엘아라비 그룹(El Araby Group)은 샤프(Sharp), 도시바(Toshiba), 토네이도(Tornado)라는 3개 브랜드를 통해 A/S 서비스의 중요성을 입증하며 가전 부문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이집트의 가전 기업들은 고객 관리 및 지원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는데, 고객과 소통하는 A/S 채널로 소셜 미디어 활용이 늘고 있다. 소비자들이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는 이집트의 브랜드에 더욱 중요한 플랫폼이 되고 있다.

 

가전제품 주요 판매 채널

 

일반적으로 수입 가전제품의 유통 또는 공급망은 다음 다이어그램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이집트 가전제품 유통구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fdc000a.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3pixel, 세로 299pixel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편집]

 

수입 가전제품은 일반적으로 제조업체를 통해 유통 또는 공급망의 다른 공급업체로 유통된다. 유통 차트는 외국 제조업체가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을 지역 상업 대리인, 수입업체 또는 유통업체로 수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지 상업 대리인, 수입업자 또는 유통업체는 제조업체와 소매업체(대형마트, 전시관, 가전 및 전자 전문점 등) 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 판매 또는 유통 채널의 시장점유율 분포에 관한 분석은 다음 표에서 소비자 가전의 유통 경로에 따른 성장과 비율 분포를 보여준다.

 

<2023년 가전제품 유통채널별 분포>

소매 채널

비중

□ 소매 오프라인

94.0

ㅇ 식료품 소매업체

11.7

- 슈퍼마켓

0.3

- 하이퍼마켓

10.6

- 할인점

0.8

ㅇ 비식료품 소매업체

82.2

- 잡화점

3.5

- 가전제품 및 전자제품 전문점

75.1

- 홈 제품 전문가

3.6

- 건강과 뷰티 전문가

0.1

□ 소매 전자상거래

6.0

소매 채널 합계

100

[자료: Euromonitor(‘23.12)]

 

위의 표에 따르면 가전제품 및 전자제품 전문 소매업체가 유통 채널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이집트의 대표적인 전자제품 전문 유통 채널은 B•Tech, Raya Shop등이 있다. 최근 몇 년간 Carrefour 등 현대식 하이퍼마켓에서도 각종 전자제품을 판매하고 있었으나, 전문 매장 대비 시장 점유율은 감소하는 추세다. 또한 LG 등은 쇼룸을 갖춘 단독 브랜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가전 등 최신 가전을 선보이며 소비자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반면, 아마존 등 인터넷 소매업체의 시장 점유율 또한 늘리고 있다. 또한 B•tech와 Raya도 온라인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판매 채널 트렌드와 관련해, 이집트는 ‘선구매, 후결제(BNPL, Buy Now Pay Later)’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가전제품 구매가 급증하고 있으며, BNPL을 통해 가장 많이 구매되는 품목은 가전제품이고 그다음으로 자동차다. 소매업 분야에서 가장 우위에 있는 B•tech 기업은 유통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Deel이라는 다채널 전자 플랫폼을 출시했으며, Deel은 재고 관리, 유통상 및 고객을 위한 제품 목록, 마케팅 솔루션 제공, 그리고 방문 판매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B•Tech는 1997년 오픈한 이래 꾸준히 성장해 ’24년 9월 이집트 전역에 19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소매업체의 가격 인상 문제와 일부 가전제품 부족 현상은 전자상거래 채널 이용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소비자들이 다양한 소매업체의 제품과 가격을 비교하고 더 넓은 범위의 모델에 접근할 수 있는 해결책이 되고 있다. 온라인 판매 성장을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B•tech은 중동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Noon과 MOU를 체결해 Noon 플랫폼에 B•tech 전용 세션을 런칭하기로 했다. 또한, B•tech은 아랍 산업화 기구와 협력 프로토콜을 체결해 자체 Ultra 브랜드의 TV, 에어컨, 정수기 및 믹서를 출시할 예정이다. 스마트 가전 및 빌트인 가전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B•tech은 부동산 개발업체와 협력해 주하여택 건설 시 빌트인 가전이 포함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전자제품 관련 규정/법률

 

수출입통제총괄기구(GOEIC) 등록


’22.3월, 이집트 무역산업부는 ’16년 장관령 제43호를 개정하는 ’22년 법령 제195호를 발표했다. 이 법령은 이집트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제조사 혹은 공급사의 사전 공장 등록 규칙에 관한 것이다. 이 법령은 이집트에서 상표를 소유한 공장과 회사가 등록된 제품을 수출하고 일반 수출입 통제 기구(GOEIC)에 상표를 등록하도록 요구한다. 정부가 지정한 소비재 등 제품은 공장 및 회사, 상표 소유자는 수출입 통제를 위한 일반 기구(GOEIC)에 기록을 작성해야 한다.

 

<’15년 장관령 제991호 및 제992호’와 ‘16년 장관령 제43호’에 따른 규제품목>

제품

HS 코드

가전제품(오븐, 프라이어, 에어컨, 선풍기, 세탁기, 블렌더, 히터)

73.21- 73.22- 8414.51- 8415.10- 8415.81- 8415.82- 8415.83- 8418.10- 8418.21-

8418.29- 8418.30- 8418.40- 8422.11- 8450.11- 8450.12- 8450.19- 8451.21-

8508.11- 8509.40- 8509.80- 8516.10- 8516.21-8516.32- 8516.32- 8516.40-

8516.50- 8516.60- 8516.71- 8516.72-8516.79- 8527.12- 8527.13- 8527.19-

8527.91- 8527.92- 8527.99- 8528.71- 8528.7220- 8528.7290- 8528.73

[자료: GOEIC]


위의 수입 제품은 등록된 공장에서 생산되거나 상표 소유자 또는 기록에 등록된 유통센터에서 수입된 경우가 아니고서는 거래를 목적으로 출고될 수 없다. 등록 또는 삭제는 외무부 장관의 결정에 따라 이루어지며, 장관의 결정에 따라 등록 조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면제할 수 있다.

* GOEIC 공장 등록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세부 사항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 https://www.goeic.gov.eg/en/pages/show/603

  

주요 가전제품 수입 통계

 

<최근 3년간 가전제품 전체 수입액>

(단위: US$ 천, %)

NO.

품목

2021

2022

2023

1~5월

2023

2024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성장률

점유율

총수입

259,849

20.4

248,363

-4.4

170,871

-31.2

61,591

100.0

83,163

35.0

100.0

1

냉장고

90,456

13.5

79,822

-11.8

66,604

-16.6

28,181

45.8

31,224

10.8

37.5

2

에어컨

84,352

16.8

98,743

17.1

46,196

-53.2

16,238

26.4

22,926

41.2

27.6

3

식기세척기

20,860

19.5

29,053

39.3

21,528

-25.9

5,107

8.3

13,984

173.8

16.8

4

세탁기

41,529

44.0

26,697

-35.7

19,775

-25.9

4,756

7.7

11,619

144.3

14.0

5

냉동고

22,634

28.7

14,031

-38.0

16,753

19.4

7,303

11.9

3,402

-53.4

4.1

6

가스레인지 및 오븐

18

27.4

15

-15.2

16

4.0

5

0.0

9

64.6

0.0

[자료: Global Trade Atlas('24.9)]


가스레인지 및 오븐

 

<가스레인지‧오븐(HS코드 732111) 최근 3년간 수입 추이(상위 10국)>

(단위: US$ 천, %)

No.

국가

2021

2022

2023

1~5월

2023

2024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성장률

 

총수입액

17,906

27.4

15,182

-15.2

15,785

4.0

5,322

100.0

8,762

100.0

64.6

1

터키

3,824

54.0

3,419

-10.6

6,181

80.8

1,448

27.2

5,382

61.4

271.7

2

이탈리아

8,949

10.7

8,704

-2.7

5,727

-34.2

2,272

42.7

2,250

25.7

-1.0

3

중국

3,008

51.1

1,873

-37.7

1,608

-14.1

526

9.9

412

4.7

-21.7

4

루마니아

0

0

0

0

0.0

287

3.3

5

모로코

0

0

78

48

0.9

245

2.8

410.4

6

슬로베니아

385

552.5

173

-55.1

676

290.8

222

4.2

163

1.9

-26.6

7

말레이시아

0

0

0

0

0.0

8

0.1

8

독일

95

533.3

4

-95.8

2

-50.0

0

0.0

5

0.1

9

벨기에

0

-100.0

0

0

0

0.0

3

0.0

10

미국

10

100.0

44

340.0

11

-75.0

10

0.2

3

0.0

-70.0

[자료: Global Trade Atlas(‘24.9)]


냉장고

 

<냉장고(HS코드 841869) 최근 3년간 수입 추이(상위 10국)>

(단위: US$ 천, %)

No.

국가

2021

2022

2023

2024(1~5월)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점유율

 

총수입액

90,456

13.5

79,822

-11.8

66,604

-16.6

31,224

10.8

100.0

1

중국

14,981

19.7

19,883

32.7

13,012

-34.6

9,904

64.4

31.7

2

이탈리아

17,857

54.4

18,072

1.2

14,490

-19.8

5,210

-22.6

16.7

3

프랑스

21,983

28.3

18,201

-17.2

10,982

-39.7

4,208

23.0

13.5

4

미국

4,772

-45.5

2,959

-38.0

8,704

194.1

4,208

-25.5

13.5

5

유럽연합

1,751

222.1

835

-52.3

420

-49.7

1,575

658.3

5.0

6

독일

10,803

131.1

4,795

-55.6

4,862

1.4

1,181

-18.7

3.8

7

터키

833

-47.8

2,519

202.5

2,662

5.7

953

141.7

3.1

8

폴란드

694

7.4

623

-10.2

26

-95.9

621

25,815.4

2.0

9

말레이시아

3

-82.7

27

782.0

0

-100.0

619

2.0

10

일본

294

-42.9

273

-7.1

502

83.8

538

60.9

1.7

12

대한민국

4,965

-13.2

3,179

-36.0

2,365

-25.6

342

-81.1

1.1

[자료: Global Trade Atlas(‘24.9)]


 세탁기

 

<세탁기(HS코드 845011) 최근 3년간 수입 추이(상위 10국)>

(단위: US$ 천, %)

NO.

국가

2021

2022

2023

1~5월

2023

2024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성장률

 

총수입액

41,529

44.0

26,697

-35.7

19,775

-25.9

4,756

100.0

11,619

144.3

100.0

1

폴란드

14,333

70.3

8,787

-38.7

7,902

-10.1

2,274

47.8

5,648

148.3

48.6

2

터키

16,324

53.8

9,531

-41.6

8,202

-13.9

1,775

37.3

4,703

164.9

40.5

3

중국

942

-48.2

2,061

118.9

1,496

-27.4

94

2.0

378

303.0

3.3

4

이탈리아

8,482

18.4

4,724

-44.3

1,266

-73.2

137

2.9

339

147.2

2.9

5

대한민국

21

-49.5

206

871.6

114

-44.6

3

0.1

112

3117.9

1.0

6

미국

2

-64.2

2

10.5

32

1,351.9

1

0.0

96

19,055.4

0.8

7

슬로베니아

39

46.1

75

92.1

258

242.9

134

2.8

87

-35.0

0.7

8

독일

512

63.7

124

-75.7

154

24.3

143

3.0

72

-49.7

0.6

9

UAE

2

-56.2

1

-47.0

98

10,337.8

1

0.0

63

4,285.3

0.5

10

스웨덴

0

-

15

-

0

-100.0

0

0.0

44

-

0.4

[자료: Global Trade Atlas(‘24.9월)]


 식기 세척기

 

<식기세척기(HS코드 842211) 최근 3년간 수입 추이(상위 10국)>

(단위: US$ 천, %)

No.

국가

2021

2022

2023

1~5월

2023

2024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점유율

수입액

점유율

성장률

 

총수입액

20,860

19.5

29,053

39.3

21,528

-25.9

5,107

100.0

13,984

173.8

100.0

1

터키

13,758

83.5

20,244

47.1

16,831

-16.9

2,623

51.4

11,372

333.5

81.3

2

대한민국

2

921.8

623

30,082.6

2,724

337.2

1,338

26.2

1,159

-13.4

8.3

3

독일

399

209.7

398

-0.2

756

90.0

685

13.4

524

-23.5

3.7

4

중국

111

11.4

254

129.5

430

68.9

39

0.8

383

885.5

2.7

5

슬로베니아

193

35.2

41

-78.6

234

468.4

71

1.4

237

232.2

1.7

6

체코 공화국

0

-100.0

0

0

0

0.0

225

1.6

7

이탈리아

535

55.2

412

-23.0

166

-59.7

98

1.9

82

-16.5

0.6

8

폴란드

5,238

-42.5

7,079

35.1

381

-94.6

248

4.8

1

-99.6

0.0

9

알제리

0

0

0

-100.0

0

0.0

1

0.0

10

그리스

0

0

0

-100.0

0

0.0

0

0.0

[자료: Global Trade Atlas(‘24.9)]


에어컨


<에어컨(HS코드 841510) 최근 3년간 수입 추이(상위 10국)>

(단위: US$ 천, %)

NO.

국가

2021

2022

2023

1~5월

2023

2024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점유율

성장률

 

총수입액

84,352

16.8

98,743

17.1

46,196

-53.2

16,238

100.0

22,926

41.2

100.0

1

중국

40,021

31.0

44,820

12.0

20,667

-53.9

3,158

19.4

10,188

222.7

44.4

2

터키

28,853

31.9

40,743

41.2

16,751

-58.9

10,189

62.7

6,989

-31.4

30.5

3

사우디

6,740

34.6

6,236

-7.5

4,571

-26.7

2,135

13.1

2,995

40.3

13.1

4

요르단

17

-78.1

1,949

11,317.4

1,148

-41.1

4

0.0

1,172

29,928.0

5.1

5

태국

5,235

0.9

2,508

-52.1

1,325

-47.2

421

2.6

876

108.3

3.8

6

네덜란드

45

168.4

68

51.5

13

-80.9

12

0.1

274

2,147.4

1.2

7

UAE

332

2,600.4

193

-41.8

102

-47.0

1

0.0

115

8,618.7

0.5

8

일본

520

-36.3

453

-12.9

212

-53.1

93

0.6

108

16.2

0.5

9

이탈리아

309

134.2

83

-73.3

140

70.0

0

0.0

99

0.4

10

바레인

799

-78.1

494

-38.2

736

49.0

73

0.5

37

-49.2

0.2

12

대한민국

358

500.8

343

-4.0

209

-39.2

74

0.5

31

-58.1

0.1

[자료: Global Trade Atlas(‘24.9)]

 

냉동고

 

<냉동고(HS코드 841830) 최근 3년간 수입 추이(상위 10국)>

(단위: US$ 천, %)

NO.

국가

2021

2022

2023

1~5월

2023

2024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성장률

수입액

점유율

성장률

 

합계

22,634

28.7

14,031

-38.0

16,753

19.4

7,303

100.0

3,402

-53.4

100.0

1

중국

10,018

57.9

6,628

-33.8

5,167

-22.0

2,020

27.7

1,726

-14.5

50.7

2

오스트리아

1,932

-53.4

1,589

-17.7

2,038

28.3

432

5.9

700

61.9

20.6

3

독일

640

44.8

987

54.2

1,016

2.9

384

5.3

283

-26.3

8.3

4

영국

640

10.6

768

20.1

1,244

62.0

585

8.0

225

-61.6

6.6

5

터키

2,099

151.3

1,739

-17.1

3,710

113.3

1,886

25.8

143

-92.4

4.2

6

이탈리아

214

-61.5

216

0.7

235

8.8

87

1.2

132

51.4

3.9

7

유럽 연합

231

19,838.8

2

-99.3

76

4,638.5

27

0.4

110

311.5

3.2

8

벨기에

172

-52.5

199

15.7

153

-23.1

127

1.7

33

-74.4

1.0

9

네덜란드

4

244.5

46

1,068.7

19

-58.0

10

0.1

12

16.4

0.3

10

레바논

663

1,440.0

351

-47.0

0

-100.0

0

0.0

11

0.3

39

대한민국

269

10,230.6

50

-81.6

1

-97.0

0

0.0

0

0.0

[자료: Global Trade Atlas(‘24.9)]


가전제품 시장 SWOT 분석


<이집트 가전제품 시장SWOT 분석>

Strengths(강점)

Weaknesses(약점)

• (급성장하는 시장) 이집트는 최근 인구 증가와 중산층 확대로 인해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 급증세, 특히 도시 지역의 경제 발전과 주택 건설 증가로 가전제품의 수요 증가

• (전략적 위치) 이집트는 아프리카, 중동, 유럽을 잇는 전략적 위치에 있어 제3국 수출이 용이, 이를 통해 지역 허브로서의 잠재력 보유

• (정부의 지원 정책) 이집트 정부는 EME 정책을 통해 가전 및 전자 제품의 현지 생산을 촉진하며 세제 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음.

• (복잡한 규제 환경) 이집트의 행정적 절차는 여전히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면이 있어, 외국 기업들의 시장 진입에 장애요인

• (가격 민감도) 소비자들은 가격에 매우 민감하며, 특히 중저가 제품이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작용해 고가 브랜드 수요 낮은 상황.

• (인프라 문제)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물류 및 인프라 문제로 제품 배송 및 고객 서비스 품질에 부정적 영향

Opportunities(기회)

Threats(위협)

• (온라인 시장 성장) 이집트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Jumia, Amazon 같은 플랫폼을 통한 가전제품 판매가 증가 중임.

• (스마트 가전 수요 증가) 이집트의 젊은 인구와 기술 친화적인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스마트 가전에 대한 수요가 증가세, 이는 첨단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브랜드에 유리한 환경 제공

• (외국인 투자 증가) 이집트는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골든라이센스 제도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가전제품 제조 분야 진출에 기회 제공

• (경제 불안정) 최근 이집트 경제는 인플레이션과 통화가치 하락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약화해 가전제품과 같은 비필수 소비재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 미칠 수 있음.

• (치열한 경쟁) 현지 기업 및 글로벌 브랜드의 진출이 활발한 시장으로 경쟁이 치열한 시장

• (물류 및 인프라 문제) 지방 등 물류 및 인프라가 열악한 상황으로 이는 전국적 유통과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될 수 있음.


유망 분야


가스레인지 및 오븐, 냉장고, 세탁기, 식기 세척기, 에어컨, 냉동고를 포함한 모든 가전제품은 에너지 효율이 더 높은 가전제품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정부가 재정 악화로 그동안 지급해 온 에너지 보조금 감축 정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소비자는 ’25년까지 더 많은 전기세를 지불하게 될 예정이다. 소비자는 장기적으로 전기세 절감을 위해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집트의 정보 및 의사 결정 지원 센터(IDSC)는,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IoT), 센서 기술과 같은 첨단 기술에 의존하는 스마트 홈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집트에 5G 통신망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스마트 홈 가전제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진출 전략


이집트의 가전제품 시장은 앞으로 몇 년 동안 연간 10% 내외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확장은 인구 증가로 인한 가구수 증가, 중산층 확대되며 가처분 소득 증가, 도시화 확대 및 기술 발전이 이끌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아직 이집트 소비자의 구매력이 높지 않은바, 이집트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삼성과 LG는 현지 제조시설을 두고 내수시장 공략은 물론 이집트를 제3국 수출기지로 활용하고 있다. 이 전략은 이집트 정부가 역시 현지 제조품의 제3국 수출을 적극 독려하며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이집트 엔지니어링 수출 위원회(EEC)의 국제 마케팅 메니저인 M 씨는 삼성과 LG와 같은 한국 가전제품이 이집트에서 매우 유망하다고 한다. 그는 이 기업들은 현지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를 수입해 제조해 이집트 내수시장 공략은 물론 제3국 수출 비중이 높아 양사 모두 현지 생산 가전의 50% 이상을 타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특히 삼성의 현지 생산품의 제3국 수출은 이집트 엔지니어링 수출의 80% 이상을 차지한다고 전한다. 이집트 진출은 현지 생산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가전제품을 공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지리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어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으로 수출에도 유리하다. 또한 이집트 내 생산 시 GOEIC 공장 등록과 완성 전자제품 수입 시 부과되는 60%의 높은 수입 관세를 피할 수 있다. 


이집트 소비자들은 가격에 매우 민감함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스마트 가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보이고, 또한 인터넷 확대에 따라 온라인 구매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지 진출기업들은 현지의 변화하는 소비자 기호를 파악하고, 현지 상황에 맞는 적절한 마케팅 정책을 펼친다면 경쟁 우위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반면 아직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성이 높고, 환율에 대응력이 약해 원자재 비용 변동성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

 

 

자료: Statistica, GAFI, GTA, GOEIC, IDSC, Daliy News Egypt, Ahram, 유로모니터, KOTRA 카이로 무역관 인터뷰,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이집트 가전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