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알루미늄 합금 시장동향
  • 상품DB
  • 베트남
  • 다낭무역관 신경련
  • 2024-10-02
  • 출처 : KOTRA

주요 산업의 감초, 중장기적인 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기대

우수한 품질 및 가격 경쟁력 유지와 신산업에 맞는 제품군 개발이 중요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 CODE

알루미늄 합금

760120

 

알루미늄 합금은 가벼움, 강도, 내식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지닌 알루미늄에 다른 금속을 첨가하여 그 특성을 강화시킨 소재이다. 순수 알루미늄은 강도가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이를 다른 금속을 첨가해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해 낸다. 알루미늄 합금은 오늘날 항공 우주, 자동차, 건축, 전자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는 연비 향상과 배출 가스 감소를 위해 알루미늄 합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건축 산업 또한 오랜 기간 외부 환경의 영향을 잘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한다. 전자 제품 또한 열 전도성이 좋고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이 배터리 케이스나 프레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합금의 종류

 

순수 알루미늄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구리, 망간, 실리콘(규소), 마그네슘 등을 섞어 강도나 내식성을 용도에 맞게 향상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일반적이다. 조합하는 금속, 비금속의 종류에 따라 알루미늄 합금의 속성과 그에 따른 용도는 천차만별이다. 이러한 범용성으로 인하여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의 활동도는 매우 뛰어나며 이에 이를 사용하지 않는 산업분야를 찾는 것이 어렵다.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특징과 용도>

종류

내용

No.1000 ~ 순수 알루미늄

- 공업용 순수 알루미늄. 순도가 높아 가공 내식성, 열·전기 전도성 등이 우수하지만 강도가 낮음

용도: 가정용품, 기구, 송/배전용 재료, 방열재료. 화학 공업 탱크 등

No.2000 ~ [Al-Cu 계] 알루미늄+구리

강한 강도를 가지며 열처리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킴. 항공기 부재로 유명한 두랄루민 및 초두랄루민 해당

용도: 항공기용 부재, 나사 기어 부품 성형용 금형, 유압 부품 등

No.3000 ~ [Al-Mn 계] 알루미늄+망간

순수 알루미늄의 가공 내식성을 유지하고 강도를 향상 시킨 것. 마그네슘 추가 시 더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음

용도: 건축용 부재, 지붕 재료, 알루미늄 캔 전구 소켓 등

No.4000 ~ [Al-Si 계] 알루미늄+실리콘

열팽창률이 억제되어 내마모성 상승. 다른 알루미늄 합금보다 융점이 낮음

용도: 피스톤, 실린더 헤드, 용접 와이어 등

No.5000 ~ [Al-Mg 계] 알루미늄+마그네슘

강도와 내식성, 용접성 향상. 마그네슘 함유량에 따라 용도가 다양함

용도: 조리기구, 연료탱크, 건축 내 외장, 반사판 등

No.6000 ~ [Al-Mg-Si 계]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콘

강도·내식성이 우수하여 구조 재료로 사용. 경년 손상에 강하고 압출성 우수

용도: 차량·선박 등 수송 구조 부재 건축용 샷시 문 등

No.7000 ~ [Al-Zn-Mg 계] 알루미늄+아연+마그네슘

열처리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 중 가장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음

용도: 스포츠 용품 금형 부재, 차축 등

No.8000 ~ [기타 Li 첨가 계 등] 알루미늄+리튬 등

용도: 식품 포장재, 의료 포장, 알루미늄 캡 등

[자료: 네이버 - 첨단산업기술사전]


베트남 알루미늄 시장동향 및 전망

 

2021년 기준 베트남의 산화 알루미늄 생산량은 약 142만 톤이었는데, 2012년 생산량이 28만 톤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증가한 수치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인 2020년 142만 톤을 기록한 뒤 증가세가 주춤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2012~2021년 베트남 산화알루미늄 생산량>

(단위: 백만 톤)


[료: Statista]

 

베트남의 알루미늄 소비량 또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알루미늄 소비량은 10만 톤가량으로 유지되었으나, 2016년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1년에는 2015년 소비량의 3.4배인 34만 톤이 소비되었으며, 대체로 산화 알루미늄의 생산량 추이와 일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0~2021년 베트남 알루미늄 소비량>

(단위: 백만 톤)

[자료: 세계금속통계국(World Bureau of Metal Statistics)]

 

산화알루미늄은 앞서 소개한 다양한 알루미늄 합금들의 기본 재료가 되는데, 산화알루미늄 생산량의 급격한 증가를 통해 같은 기간 베트남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추세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향후 베트남의 경제성장에 따라 해당 품목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 또한 가능하다.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기지 이전 및 제조 수요와 직결


대다수 제조기업들이 다방면으로 활용하는 범용 기초 소재이므로 현재 베트남으로 유입되고 있는 외국인 투자유치, 또는 제조/가공 후 해외로 수출되는 물량을 통해서도 향후 시장전망을 예측할 수 있다. 


베트남 경제성장의 동력원인 외국인 투자유치의 경우, 팬데믹 기간 잠시 주춤하였으나 이후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2019년 161억 달러로 사상최대치를 갱신한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팬데믹 기간 2년 연속 150억 달러 수준에 머물렀으나 2022년 179억 달러, 2023년 185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연이어 갱신, 달성하였다. 이러한 발 빠른 회복력은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인근 아세안 국가의 외국인 투자유치 현황과 비교해도 괄목할 만한 수준이다.

 

<주요 아세안 국가별 외국인 투자유치 현황>

(단위: US$ 백만)

국가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베트남

16,120

15,800

15,660

17,900

18,500

태국

3,765

-6,284

14,417

11,082

4,548

말레이시아

7,813

3,160

12,173

16,940

8,653

인도네시아

23,883

18,591

21,131

25,390

21,628

[자료: UNCTAD FDI Statistics(2024)]

 

수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팬데믹 기간에도 성장세를 이어 나갔으며 2023년 잠시 주춤하는 듯 했으나 2024년에는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대 베트남 상품 수입액이 2019~2023년 기간 연평균 11.4% 증가하여 2배 가까이 확대되는 등, 미·중 갈등 속에서도 베트남의 대미 수출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2019~2023년 베트남 수출액 및 미국의 대베트남 수입액 추이>

(단위: US$ 백만)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베트남 전체 수출액

264,267

282,628

336,166

371,715

354,721

미국의 대베트남 수입액

66,680

79,570

101,922

127,488

114,439

[자료: Bureau of Economic Analysis]

 

요약하면,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 신흥국들이 팬데믹 이후 점진적으로 경기 회복해 나가는 가운데, 베트남은 외국인 투자유치와 수출액에서 견조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요 산업용 소재인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의 수요량 또한 지속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입동향

 

2023년 베트남 알루미늄 합금 수입시장에서 한국은 약 31%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대만, 태국 등의 순이며, 한국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합한 것과 비슷하다. 2019~2023년 기간 베트남의 알루미늄 제품 총수입액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한국의 베트남 수출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중국산 제품의 수입이 2020년 이래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이 특히 눈여겨볼 만한 부분이다.

<베트남 알루미늄 합금 수입시장 수입 대상별 수입액 및 점유율>

(단위: US$ 백만,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점유율

전 세계

542,002

445,947

662,361

666,250

496,624

100.00

대한민국

142,475

172,674

249,627

212,393

154,519

31.11

말레이시아

118,030

77,916

91,537

104,805

89,121

17.95

인도네시아

27,792

23,277

51,875

62,460

63,088

12.70

대만

44,148

42,701

60,871

63,082

43,235

8.71

태국

35,272

28,429

45,731

51,575

29,562

5.95

러시아

16,270

13,820

29,629

34,594

25,854

5.21

아랍에미리트

6,120

4,407

11,618

28,256

23,535

4.74

카타르

17,797

20,260

33,475

25,411

22,438

4.52

호주

18,734

11,850

19,572

24,066

14,126

2.84

중국

108,025

37,078

38,154

29,442

10,846

2.18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의 관점에서 수출시장을 분석해 보면, 2022년 기준 중국(289만 달러), 베트남(197만 달러), 이탈리아(84만 달러), 미국(81만 달러)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까지 2번째로 큰 수출대상국이나 베트남의 경제성장이 지속되고 다양한 글로벌기업들의 생산기지가 베트남으로 이전함에 따라 한국산 알루미늄 합금의 수출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알루미늄 합금 수출상대국(2022년 기준)>

(단위: US$ 백만)

[자료: 한국무역협회, Statista]

 

유통구조 및 관세

 

베트남의 알루미늄 합금 시장은 해외 제조, 공급업체가 일차적으로 현지 제조 및 가공업체, 혹은 일반 유통업체 수입에게 납품하고 이를 최종 소비업체에게 판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베트남 알루미늄 합금 유통구조>





[자료: KOTRA 다낭 무역관 작성]

 

알루미늄 합금(HS코드 760120)은 한국-아세안 FTA 혹은 한국-베트남 FTA의 양허관세 적용 시 0%의 관세를 적용받는다.

 

<베트남 알루미늄 합금 유통구조>

HS 코드

해설

일반특혜관세

AKFTA

VKFTA

기본세율

76012000

알루미늄 합금

3

0

0

4.5

[자료: 베트남 관세청]


경쟁현황

 

현재 베트남 내에서 활동 중인 알루미늄 합금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큰 규모의 기업들은 주요국들로부터 현지에 진출한 FDI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북부를 중심으로 로컬 기업들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베트남 알루미늄 합금 관련 주요 기업 현황>

기업명

모기업

소재국가

설명

ALMINE VIETNAM CO.,LTD

일본

- 설립연도: 2010년

- 위치: Luong Son Industrial Park, Hoa Son Commune, Luong Son District, Hoa Binh Province

- 알루미늄 잉곳(ingot)과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와이어, 코일, 막대 형태의 알루미늄 합금 소재 생산

- 홈페이지: https://www.almine-v.com/en

Garmco Metals Vietnam Co., Ltd

Garmco Metals Vietnam Co., Ltd

바레인

- 설립도: 2019년

- 위치: Lot 1-1 & 2, Road N3-2, Long Duc Industrial Park, Long Duc Ward, Long Thanh Dist., Dong Nai

- 주로 반도체 및 기계 부품 산업, 기계 공학, 전자 부품 제조, 고정 장치 및 부속품, CNC 기계 가공 서비스 제공

다양한 알루미늄 원료와 평판 압연 알루미늄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으로 연간 생산 규모는 최대 165,000톤 상당

- 홈페이지: www.garmco.com

Alanmi Aluminum Company

Alanmi Aluminum Company

대만

- 설립도: 2016

- 위치: 3rd Street, Tam Phuoc Industrial Park, Tam Phuoc Commune, Bien Hoa City, Dong Nai

- 건설, 산업, 토목 분야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및 분말 코팅 생산 전문업체

- 홈페이지: https://alanmi.com.vn/en/home/

Oristar Corportaion

Oristar Corporation

베트남

- 설립도: 2002년

- 위치: 9th floor Detech Tower No. 8 Ton That Thuyet Street, My Dinh 2 Ward, Nam Tu Liem District, Hanoi

-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스테인리스강, 강철와이어 및 스테인리스강 와이어, 각종 OEM 제품 

홈페이지: www.oristarcorp.vn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및 YellowPage 등, KOTRA 다낭 무역관 종합]

 

시사점 및 전망

 

현재 베트남은 코로나19 팬데믹, 미-중 갈등 이후 가장 주목받는 신흥국의 하나이다. 경제성장 동력인 외국인 투자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수출 증가 또한 이어지고 있다. 다양한 국가와의 FTA를 통해 경제영토를 지속적으로 넓히고 있으며, 2023년 1억이 넘어선 인구 및 값싼 노동력을 활용하여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독립과 연이어진 전쟁 이후 베트남은 전형적인 농업국가였으나, 적극적인 개혁개방 정책 이후 제조업을 중심으로 성장을 해왔다. 2023년 1~3분기 기준 2차 산업의 GDP내 비중은 37.16%에 이르며, 이 중 순수 제조가공업의 비중 또한 같은 기간 23.82%에 달한다. 이는 팬데믹 직전인 2019년의 16.48%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최근 글로벌 경기둔화, 러-우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혼란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2023년 베트남의 수출액은 크게 감소하였으며 산업생산 또한 둔화되었다. 하지만, 베트남 정부는 2022년 11월 발표된 “2030년까지의 국가 산업화 및 현대화 지속 추진, 2045년 비전” 결의안(제29-NQ/TW호)을 통해, 2030년까지 연평균 경제성장률 7%,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 아세안 3대 선도국가 그룹으로 도약 등 야심 찬 목표를 내놓았다. 세부 내용 중 2차 산업(건설업 포함)이 차지하는 비중을 전체 GDP에서 40%까지 확대하고, 제조가공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30%까지 늘리며 제조가공업 산업내 첨단산업의 비중을 45%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팬데믹 이후의 빠른 회복세, 미국, EU 등 선진시장에 대한 접근성 개선, 정부의 제조업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 등을 종합해 보면, 향후 베트남의 제조산업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각종 산업군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소재의 수요 또한 견조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대베트남 수출은 대체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여타 경쟁국의 수출액은 큰 변화가 없어 향후 전망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우리 기업들의 베트남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시장에서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품질 및 가격 수준 관리와 신산업에 맞는 제품군의 제시가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자료: 베트남 정보통신부, 통계국,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GTA, Statista 세계금속통계국, UNCTAD, KOTRA 다낭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알루미늄 합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