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스라엘, 스킨케어·색조 화장품 수요 증가
  • 트렌드
  • 이스라엘
  • 텔아비브무역관 김지화
  • 2023-10-05
  • 출처 :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바이어와 상담 지원

팬데믹 이후 스킨케어 제품 관심 확대


  * 2023년 10월 7일 발발한 사태로 인해 일부 내용은 변동 사항이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글로벌 시장 조사 전문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2022년 이스라엘 전체 뷰티 및 개인관리제품 시장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 9.5% 성장한 약 75억 신 셰켈(약 19억7000만 달러)을 기록했다. 대부분의 뷰티 및 개인 관리 부문의 하위 품목들인 화장품 품목들도 비슷한 수준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색조 화장용품과 스킨케어 제품의 2022년 판매 규모는 전년 대비 각 10%씩 상승해 수요의 지속적인 상승세가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이는 코로나 기간에 형성된 건강에 대한 인식 증대 영향이 얼굴 피부 관리에 대한 인식과 건강함이 강조된 천연재료 제품의 수요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스킨케어 제품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홈 뷰티 관리 기기 제품들의 수요 상승의 영향으로 스킨케어 제품 시장 비중 감소가 예상된다고 Euromonitor는 전망했다. 또한 사회적인 분위기 변화에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 변화와 천연제품 선호 수요의 확대로 인해 스킨 미백 제품의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스킨 미백제품은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에서 주류 트렌드가 아니었으며, 이러한 트렌드는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배경에는 이스라엘 국민의 다양한 혈통* 구성에 따른 비교적 다양한 피부색과 미의 기준이 작용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작은 시장 규모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2022년 화장품 분야에서 국제 기준선도 국제기관인 '국제 화장품 규제 조화 협의체'(ICCR)의 정식 회원이 다.

  주*: 유럽, 중동, 아프리카, 러시아 지역


<2017~2027년 색조 및 스킨케어 화장품 판매 규모 추이>

(단위: ILS 백만)

: 2023~2027년 예상치

[자료: Euromonitor(‘23.9.)]


이스라엘에서 가장 인기 있고 가장 널리 배포되는 여성 라이프 스타일 인쇄 잡지인 라이샤(La’isha 1947~)가 이스라엘의 주요 수입사 및 유통사의 구매 담당자 5명을 대상으로 2023년 이스라엘 화장품 트렌드에 대한 설문 조사한 주요 내용이다.

 

<이스라엘 화장품 기업별 설문조사 결과>

기업명

브랜드 도입 시 고려사항

현재 추세

이스라엘 여성들이 원하는 제품

이스라엘 뷰티시장 전망

L'Oréal Israel

이스라엘 여성들과 유사한 피부 타입을 가진 여성들을 대상으로 타 국가에서 성공한 브랜드

세럼류와 슈퍼푸드 소재 화장품

현지의 더운 날씨를 고려, 내구성과 높은 커버력을 가진 색조 화장품 및 다기능성 제품

테크놀러지 제품 강세

Alpa Cosmetics

SNS 및 온라인에서 잘 팔리는 제품

친환경, 재활용, 자연, 지구 친화적 제품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제품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와 연결된 젊은 여성들을 위한 트렌디한 메이크업 라인

S Schestowitz

가성비 좋은 유럽의 언더그라운드 제품 발굴

혁신과 다양성 있는 제품

아사아 보다 트렌디한 유럽 스타일 제품 선호도 반영

N/A

Super Pharm

20달러 이하 제품 위주,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진 제품

미국 온라인에서 성공적인 스킨크림(미국인들 기준의 큰 용량)

친환경, 천연 소재 제품. 충성도는 

브랜드가 아닌 제품에 주목

뷰티 액세서리 기기

Lilit Cosmetics

유럽에서 인기 있는 부티크 제품

독특하고 희귀성 있는 고가제품

서유럽에서 인기 있는 제품

스토리가 있는 브랜드와 인플루언서의 영향력

[자료: La'isha] 


수입 동향

 

GTA 통계 기준 이스라엘의 스킨케어(기초) 화장품(HS Code 330499) 2023년 6월 기준 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4.2% 증가한 약 7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최대 수입 상대국은 프랑스로 압도적인 비중(약 34%)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미국, 이탈리아, 독일, 스위스 순으로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주요 수입 대상국은 유럽 국가와 미국에 치우쳐 있으며, 주요 아시아 수입 대상국인 중국(4.3%)과 한국(2.3%) 등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편이다. 하지만 2023년 6월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년 대비 81.6% 증가해 2022년 하락을 거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스라엘 스킨케어 제품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6.

비중

증감률


세계

49,166

57,730

43,751

65,373

76,334

79,560

100.0

4.2

1

프랑스

17,674

19,202

13,714

18,983

27,710

26,775

33.7

-3.4

2

미국

6,357

9,041

6,148

9,512

9,428

10,260

12.9

8.8

3

이탈리아

5,667

4,608

3,144

4,379

5,397

8,459

10.6

56.7

4

독일

3,955

3,787

3,735

4,247

5,402

5,496

6.9

1.7

5

스위스

1,853

2,883

1,916

3,220

5,409

4,395

5.5

-18.8

6

중국

2,289

3,610

2,406

5,773

3,447

3,391

4.3

-1.6

7

영국

1,567

2,011

1,506

2,763

2,816

3,348

4.2

18.9

8

폴란드

500

526

1,222

945

1,228

2,784

3.5

126.7

9

스웨덴

1,930

2,183

2,064

1,828

2,281

2,082

2.6

-8.7

10

캐나다

845

1,877

1,367

2,673

3,536

2,023

2.5

-42.8

11

한국

249

1,150

737

1,804

1,004

1,823

2.3

81.6

: 스킨케어 화장품(HS Code 330499)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23.9.)]

 

GTA 통계 기준 이스라엘의 입술 화장품(HS Code 330410) 수입 규모는 약 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23년 6월까지 대폭 증가한 90%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기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급감했던 수요가 점차 큰 폭의 상승세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눈에 띄는 부분은 2023년 전년 대비 미국과 유럽 그리고 대만으로부터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반면 한국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상당한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라엘 입술 화장용품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6.

비중

 감률


세계

3,960

3,756

2,608

3,780

2,626

4,992

100.0

90.1

1

이탈리아

937

1,328

579

518

417

1,078

21.6

158.5

2

프랑스

450

400

610

1,051

356

812

16.3

128.1

3

독일

758

270

427

397

296

731

14.6

147.0

4

중국

163

192

118

326

555

513

10.3

-7.6

5

미국

176

446

183

143

177

450

9.0

154.2

6

벨기에

120

231

181

158

182

387

7.8

112.6

7

폴란드

10

46

3

117

129

220

4.4

70.5

8

터키

392

363

142

96

128

154

3.1

20.3

9

캐나다

263

263

162

144

144

123

2.5

-14.6

10

룩셈부르크

421

8

1

16

39

103

2.1

164.1

11

체코

22

13

14

17

37

102

2.0

175.7

12

대만

59

57

10

29

15

99

2.0

560.0

13

한국

4

83

46

132

72

47

0.9

-34.7

: 입술 화장품(HS Code 330410)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23.9.)]

 

GTA 통계 2023년 6월 기준 이스라엘의 눈 화장품 주요 수입 대상국은 유럽 국가와 미국으로 약 60%의 수입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년 대비 룩셈부르크로부터의 수입이 눈에 띄게 증가한 반면 한국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코로나 이후 큰 폭의 증가세를 거쳐 2021년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스라엘 눈 화장용품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6.

 비중

 감률


세계

6,208

4,299

3,379

6,942

4,626

5,337

100.0

15.4

1

이탈리아

1,903

1,660

1,363

1,843

1,342

1,625

30.4

21.1

2

독일

2,253

901

853

873

955

1,048

19.6

9.7

3

프랑스

608

183

92

333

190

456

8.5

140.0

4

미국

238

283

227

261

289

368

6.9

27.3

5

룩셈부르크

7

38

9

173

91

328

6.1

260.4

6

폴란드

27

45

13

206

170

317

5.9

86.5

7

중국

164

225

295

1,872

394

255

4.8

-35.3

8

일본

84

105

144

189

193

199

3.7

3.1

9

캐나다

205

178

118

288

353

174

3.3

-50.7

10

오스트리아


26

28


109

161

3.0

47.7

11

터키

172

186

65

105

124

134

2.5

8.1

12

체코

88

53

7

35

32

57

1.1

78.1

13

한국

27

203

47

190

137

49

0.9

-64.2

: 눈 화장품(HS Code 330420)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23.9.)]

 

한국 수입 규모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2019~2021년 이스라엘의 한국 화장품 수입이 연평균 약 17%씩 성장다. 2022년에는 전년 대비 23.9% 하락했으나 2023년 7월 기준 누계 전년 대비 88.7%의 큰 증가세를 나타냈다. 대부분의 색조 화장품 부문은 2022년 하락세를 거쳐 2023년에는 다시 증가세를 보인다. 하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품목은 상당한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기초 화장품 품목 수입이 전체 수입의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이스라엘 한국 화장품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HS Code

품명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7.

증감률


전체

954

1,249

1,444

1,957

1,489

1,524

88.7

3304999000

기타

254

569

621

938

818

878

140.3

3304991000

기초화장용 제품류

219

374

550

883

599

574

38.8

3304109000

기타(입술 화장용)

173

94

135

69

38

38

192.6

3304209000

기타(눈화장용)

199

86

63

32

27

21

136.8

3304992000

메이크업용 제품류

22

73

23

16

3

13

270.3

3304301000

네일에나멜

21

29

51

16

3

0

-87.6

3304101000

립스틱

32

15

1

2

1

0

-27.6

3304309000

기타(네일용)

34

7

0

0

0

0

0.0

3304201000

아이섀도

0

1

0

0

0

0

-71.5

3304919000

기타(가루형)

0

0

0

0

0

0

-95.8

3304911000

페이스파우더

0

0

0

0

0

0

-100.0

3304993000

어린이용 제품류

0

0

0

0

0

0

0.0

주: HS Code 10단위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2023.9.]

 

경쟁 동향

 

이스라엘의 스킨케어 제품 시장의 기업별 점유율은 로레알 이스라엘(L'Oréal Israel Ltd)이 17.7%, 알파 코스메틱스(Alpa Cosmetics Ltd) 15%, 엘칼일(Elcalil Ltd) 11.9%, 닥터 피셔팜(Dr Fischer Pharm Labs Ltd.) 7.6%, 에스쉐시토비츠(S Schestowitz Ltd) 5.9% 등의 순이다. 브랜드별 순위는 중고가로 알려진 브랜드 Lancôme 7.7%, Clinique 6.8%, 품질 대비 합리적인 가격으로 알려진 L'Oréal Paris Dermo-Expertise 4.3%, 그리고 Ahava 4.2%, Garnier 3.8%, Shiseido 3.7% 등의 순이다.

 

색조 화장용품 시장 기업별 점유율 25.3%인 L'Oréal Israel Ltd가 다른 기업 점유율과 큰 폭의 차이로 역시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Elcalil Ltd 12.2%, Lilit Cosmetics Ltd. 9.1%, 에스쉐시토비츠(S Schestowitz Ltd) 7.7% 등의 순이다. 브랜드별 순위는 L'Oréal Perfection 13.2%, Estée Lauder 7.7%, Ja-de 7.5%, Maybelline New York 6.9%, Mac 6.7%, Revlon 6.7% 등의 순으로, 비교적 합리적 가격 수준의 제품들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지 드럭스토어 체인에서 접할 수 있는 한국 기업 제품인 T 브랜드와 C 브랜드 등은 아직은 유의미한 시장점유율을 기록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구조

 

글로벌 트렌드에 따라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 유통채널도 오프라인과 온라인 소매점에서 이루어진다. 2022년 기준 이스라엘 화장품 소매 유통은 약 23%가 드럭스토어 체인, 향수 및 화장품 전문점, 슈퍼마켓 및 쇼핑몰 등의 오프라인 소매점에서 유통 판매됐으며 약 77%는 온라인에서 유통 판매다. 새로운 브랜드의 화장품 제품의 프로모션 및 판매는 대형 쇼핑몰에서 팝업(Pop-up) 스토어나 부스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온라인 쇼핑 채널 분포는 데스크톱이 40%, 모바일이 약 60%를 차지한다. 이러한 추세는 이스라엘 역시 글로벌 온라인 쇼핑 트렌드에 따라 한동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지 주요 수입사들은 보통 온라인과 오프라인 소매점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현지 최대 드럭스토어 체인 Super Pharm은 최근 판매 실적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 색조화장품 진열 비중을 축소하는 반면, 스킨케어 제품 판매에 더욱 중점을 두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스라엘 주요 뷰티 & 화장품 온라인 사이트>

순위

사이트

1

april.co.il

2

myofer.co.il

3

diorboutique-il.com

4

fragrantica.com

5

lovenmour.co.il.

[자료: similarweb, 2023.9.]

 

<Super Pharm 화장품 진열 예시>

[자료: KOTRA  무역관 촬영, 2023.9.]


관세 및 규제(현지 진출 조건)

 

화장품은 2022년 12월 한-이 FTA 발효로 무관세 수혜 대상 품목에 포함됐다. 하지만 2020년 6월 이스라엘 정부의 화장품에 대한 구매세와 관세를 수입 대상국과 관계없이 일괄 철폐해 FTA 수혜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라 볼 수 있다.

 

2023년 1월부터 추가 시행 예정이었던 이스라엘 표준 개혁의 일환인 화장품 표준 개혁이 시행됐다. 이는 이스라엘 표준 규정을 개편하고 유럽 표준 규정 도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일부 품목의 병행 수입*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미 유럽에 진출한 제품들이 유리할 수 있다.

  주*: 화장품 병행수입 해당 품목(기준 제품의 EU 상품 적합성 인증서 근거): 애프터셰이브, 무알루미늄 롤온 데오드란트, 알루미늄 무함유 스틱 데오도란트, 압축 파우더, 압축 블러셔, 압축 쉬머, 풋크림(살리실산 무첨가), 네일폴리쉬(논젤), 다리털제거왁스, 샴푸, 컨디셔너, 바디샴푸, 바디크림, 핸드크림, 헤어크림(민감 피부 제품은 제외)

  주: 민감 피부 제품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 등은 이스라엘 보건부 화장품 병행 수입 안내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내용이 히브리어로  있어 정확한 내용 확인은 현지 수입사 또는 업계 관련자를 통하는 것을 추천한다.

  · 이스라엘 보건부 화장품 병행수입 안내 사이트https://www.gov.il/he/service/parallel-imports-cosmetics

 

이스라엘 규정에 따라 우선 모든 화장품은 보건부에 등록돼야 한다. 수입 관련 규정에 따른 수입 허가를 위해 보건부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제조국 보건부 또는 통상부가 발급한 자유판매증명서(Certificate of Free Sales, CFS), 제조국 보건부가 발급한 GMP 적합 인증서, 인보이스 첨부, 일반 약국 창고 면허(지역 약사에게 받을 수 있는) 등이 있다. 비상업적 수입일 때 수량은 종류별 최대 5개까지 허용된다.

 

    <화장품 표준 개혁 주요 내용>

1

 EU 표준에 근거한 수입 규정 도입(최소 EU 국가 1개국 이상에서 판매되는 상품)

2

 수입 규정 준수에 대한 책임은 수입제품 담당자(responsible person)'를 지정 등록(202341일부터 유효, 단 시행까지 9개월 연기 가능)

3

 주요 규제 원칙을 EU 규정과 일치시켜 이스라엘 제품 수출 장려

4

 이스라엘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는 제품의 다양성 확대

5

 EU 및 이스라엘 화장품 동시 출시 허용으로 경쟁 촉진 및 시장 개방

6

 표준 개혁 전에 수입되는 상품에 대한 EU 상품 적합성 인증서를 근거한 병행 수입 허용

     약사령(Pharmacist Ordinance [New Version], 5741 1981

7

 3가지 화장품 수입 트랙

 - EU 규정 준수 근거한 수입

 - 기준 제품의 EU 상품 적합성 인증서 근거 병행 수입

 - 기존 수입 트랙과 EU 규정에 근거한 수입 트랙 병행(4년 이상 가능)

: 이스라엘 표준 개혁에 따른 화장품 수입 개혁은 공식적으로 2023년 1월 발효가 시작됐으나 보건부 장관이 크네세트(이스라엘 의회) 노동복지보건위원회의 비준을 받아 이 날짜를 9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한 보건부 장관이 행정 준비 등의 이유로 기간을 연기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은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이스라엘로 수출 전에 수입 규정에 관한 내용을 현지 수입사 또는 에이전트와 재차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유망 품목

 

이스라엘 여성들은 이스라엘의 더운 날씨로 인해 피부에 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편이었다. 하지만 엔데믹과 함께 색조 화장 위주에서 얼굴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 확대로 이어졌다. 따라서 색조 화장품 군은 물론 얼굴 스킨케어 제품으로 소비 영역이 넓혀지고 있다.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는 20대 전후 여성들 사이에서도 소셜 미디어 및 인플루언서 등을 통해 확대되는 추세다. 정확한 통계치는 없으나 현지 10~20대 화장품 소비자들에게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은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지에 화장품 수입하는 B사의 구매 담당자 L씨와의 인터뷰

 

Q1. 회사 소개 부탁드립니다.

A1. 우리 회사는 각종 화장품, 헤어 액세서리 및 다양한 뷰티 관련 제품을 중심으로 전국에 26개 매장과 온라인 스토어를 운영한다. 상대적으로 저가 제품을 중심으로 유통하고 있다.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대만, 터키, 폴란드 등이다. 이스라엘 최초로 K-뷰티 스토어를 구상하고 있다.

 

Q2. 한국 화장품의 품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2. 일단 직접 사용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화장품의 품질은 글로벌 시장에서 최고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Q3. 한국 화장품 수입 시 어떤 부분이 애로사항이십니까?

A3. 우리 회사가 미국, 유럽, 중국 제품 등의 사이에서 한국 제품으로 충분한 이익을 얻기에는 가격 경쟁력 면에서 항상 수입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개인적으로 한국 화장품을 매우 좋아하고, Made In Korea 제품을 취급하고 싶은데 가격과 최소 주문량 등이 수입에 걸림돌이 되는 실정이다.

 

Q4. 주요 관심 품목은 어떻게 되나요?

A4. 만약 한국에서 수입할 수 있게 된다면 한국의 다양한 치크와 입술 제품을 13세부터 30대 소비자 그룹을 대상으로 수입 희망한다. 이 외에도 스킨케어, 여드름 및 민감 피부 제품 등에 관심이 있다. 특정 브랜드 라인 전체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검토하고자 한다.

 

Q5. 한국 제품의 현지 판매에 있어서 전략이 있나요?

A5. 기존 취급 품목, 한국 거래 경험, 현지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 예정이며 K-뷰티를 전문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구축하고자 한다. 현재 이스라엘 내 최대 부동산 기업인 ‘Azriel Group’과 협력관계에 있으며, 해당 기업의 백화점 및 쇼핑센터 등에서 장단기 팝업 개최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Q6. 한국 기업이 참고했으면 하는 사항이 있나요?

A6. 이스라엘 소비자는 미국 뷰티 제품에 익숙하다는 점, 그리고 이스라엘 날씨는 ‘전형적인 중동 지역 날씨보다는 미국에 캘리포니아 날씨에 더 가까운 점을 감안 한국 기업과 협의할 예정이다. 한국 기업 담당자와는 미국과 유럽으로의 납품가와 MOQ를 기반으로 논의해보고 싶다.


시사점 및 전망

 

K-문화의 글로벌 파급효과에 힘입어 최근 K-뷰티 중소기업들은 해외에서 좋은 성과를 내는 모습이다. 이들 제품은 ODM(제조자 개발 생산)을 통한 진출 영역을 패션기업의 화장품 브랜드, PB(Private Brand) 등으로 넓히고 있다. 이런 추세를 따라 이스라엘 화장품 수입사뿐만 아니라 패션기업과의 협력도 K-뷰티 수출 영역 확대에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히 20대 전후 소비자들을 주 고객층으로 겨냥해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한국식 뷰티 멀티 브랜드 매장 도입을 통한 시장 진출도 고려할 만하다.


-이 FTA 발효에 이어 이스라엘 정부의 유럽 기준의 화장품 표준 개혁 및 병행 수입 허용은 우리 화장품 수출 다변화 및 확대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특히 미국, 유럽 시장에서 반응이 좋은 한국 K-뷰티 제품들을 우선해 이스라엘 시장에 수출하는 것이 다소 유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최근 떠오르기 시작하는 뷰티 테크놀로지 기기 및 액세서리 제품 등 홈 스킨케어 제품 수요가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하는 만큼 이스라엘 시장 선점의 기회를 잡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글로벌 트렌드에 따른 이스라엘 소비자들의 친환경 및 자연 친화적 소재의 제품들에 관한 관심 증가에도 주목 적절한 품목으로 현지 시장 진출 확대를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OTRA 텔아비브 무역관에서는 현지 증가하는 화장품 품목 수요증가에 응대하기 위해 관심 국내기업과 상기 바이어 외에도, 유력 바이어와의 매칭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10월 18일까지 관심기업을 집중 발굴해 관련 바이어의 의견을 받아 사전 매칭 작업을 진행한다. 관심 있는 기업은 아래 연락처로 영문 기업 소개자료 및 제품 설명서를 제출해 신청할 수 있다.

  

 ㅇ 주요 품목: 트러블 및 민감 피부 대상 기초 화장품, 색조 화장품 등

 ㅇ 준비 서류영문 기업 소개자료 및 제품 설명서

 ㅇ 신청기한: 2023년 10월 18일(수)까지

 ㅇ 참고사항: CE, FDA 보유기업, 유럽 화장품 브랜드 대비 가격경쟁력 보유기업 선호

 ㅇ 연락처: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최정림 과장
               (이메일: 
jungle@kotra.or.kr, Tel: +972-9-763-6341)


 

  *  (안내) 2023년 10월 7일 발발한 사태로 인해 일부 내용은 변동 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마케팅 지원 관련 무역관 문의 시 개별 회신하여 드립니다.



자료: Euromonitor, GTA, 한국무역협회, 이스라엘 보건부, 이스라엘 상공회의소, Laisha, Similarweb,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스라엘, 스킨케어·색조 화장품 수요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