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트남 정유시설 정비, 한국 석유제품 업계에 기회
  • 트렌드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고우람
  • 2023-09-14
  • 출처 : KOTRA

‘23년 8~10월 베트남 주요 정유시설 2곳 정기 점검

점검 기간 중 생산 중단에 따른 대체 석유제품 수입 수요 증가 예상

베트남에는 총 2개의 정유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해당 정유시설들은 베트남 전체 석유제품 공급의 약 65~70%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2023년 2개의 정유시설이 점검 및 점검 예정으로 베트남 내 석유제품 공급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 베트남 방문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항공편 증가, 베트남 내 교통량이 증가하고 있어 제트유(항공유), 휘발유 등의 석유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베트남의 석유제품 공급 차질 및 수요 증가로 한국 석유제품의 베트남 수출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석유제품 공급 및 수요 현황


베트남의 석유제품 수요는 2022년 기준 약 2000만 톤 수준으로 2011년 베트남 최초의 정유시설인 융꿧(Dung Quat) 정유시설이 가동되기 이전까지는 석유제품의 모든 물량을 수입에 의존해왔다. 이후 2011년 융꿧(Dung Quat) 정유시설의 가동으로 베트남 근해에서 생산되는 원유를 이용한 석유제품의 일부 자급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융꿧(Dung Quat) 정유시설의 원유 처리량은 연간 650만 톤 수준에 불과하여 석유제품의 국내 자급률은 2016년 기준 약 34.9%로 전체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융꿧(Dung Quat) 정유시설 모습>

[자료: VnEconomy]

 

이후 2018년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의 가동으로 베트남의 석유제품 자급률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2019년 베트남의 석유제품 자급률은 약 50%에 도달하였고 2022년 기준 베트남 내 전체 석유제품 자급률은 약 62.8%까지 상승했다.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 모습>

[자료: Asean Daily News]

 

<2016~2022년 베트남 내 소비 석유제품 국내 생산량 및 수입량 추이>

(단위: 백만 톤)

[자료: 베트남 통계청]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이 가동돼 베트남의 원유 처리량이 상승하자 이전까지 약 600만 톤 이상의 원유를 수출하고 약 100만 톤 정도만의 원유를 수입하던 베트남은 2018년을 기점으로 수입, 수출 원유량이 역전되는 모습을 보였다. 2022년 기준 베트남의 원유 수입량은 약 1020만 톤에 이르렀으며, 원유 수출량은 약 270만 톤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6~2022년 베트남 원유 수출입 추이>

(단위: 백만 톤)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다만, 베트남의 원유 수출량 하락은 베트남의 원유 생산량이 하락한 것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원유 생산량은 2022년 1068만 톤을 기록해 전년대비 2.6% 감소했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7.1%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16~2022년 베트남 원유 생산량>

(단위: 백만 톤,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생산량

17.23

15.52

13.97

13.11

11.47

10.97

10.68

증감률

-

-9.9

-10.0

-6.2

-12.5

-4.4

-2.6

[자료: Trading Economics]

 

베트남 정유시설 대정비작업(Turnaround, TA)


대정비작업(Turnaround, TA)은 정유시설에서 진행하는 정기보수를 의미하는 말로 통상적으로 정상 가동 시 진단이나 보수가 어려운 영역에 대해 기한을 정해 일괄 점검하고 정유시설의 잠재적 위험 요소 등을 진단하고 조치하는 작업이다. 연속 공정으로 이뤄지는 정유시설의 특성상 일부 설비 문제만으로 모든 공정이 중단될 수 있어 전체 설비 상태를 최적의 상황으로 되돌려 놓는 대정비작업은 중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정유시설은 3~5년마다 대정비작업을 거친다. 대정비작업의 소요기간은 몇 주에서 몇 달까지 걸릴 수 있으며, 점검 시 문제가 발생되면 기한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정유시설이 속한 국가, 지역에서 석유제품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으며 석유제품 공급의 차질은 제품의 가격 인상과 같은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실제로 지난 9월 5일 베트남의 휘발유 가격은 1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8월 25일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이 대정비작업에 들어간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월 25일 베트남의 최대 정유시설인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이 55일간 대정비작업(Turnaround)에 들어갔다. 이는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이 2018년 가동을 시작한 이래 첫 대정비작업이다. 이로 인해 베트남은 석유제품 공급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베트남의 또 다른 정유시설인 융꿧(Dung Quat) 정유시설 또한 지난 6월 대정비작업이 예정돼 있었지만 현재 연기된 상태로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의 정비가 끝난 이후 대정비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2개의 정유시설의 대정비작업이 끝나고 안정적으로 가동될 때까지 베트남의 석유제품 공급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여 베트남은 석유제품의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는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의 대정비작업으로 인해 베트남 내 석유제품의 공급 차질 상황이 우려되자 선제적 조치로 베트남 내 석유제품 공급의 안정화를 위해 석유제품 수입을 확대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베트남석유가스그룹(Petrolimex)에 응이선((Nghi Son) 정유시설의 대정비작업 기간 동안 국내 석유제품 공급의 보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석유제품을 수입하라고 지시했다. 실제로 베트남의 2023년 1~7월 석유제품 수입은 전년대비 12.7% 증가하였고 베트남 세관총국에 따르면 베트남의 한국산 석유제품 수입 규모는 6월 2억8430만 달러에서 7월 2억9387만 달러로 증가했다.

 

<베트남 정유시설 개요 및 대정비작업 일정>

구분

융꿧(Dung Quat) 정유

응이선(Nghi Son) 정유

위치

꽝응아이(Quang Ngai) 공업지역

탄화(Thanh Hoa)성 북부

법적지위

국영 베트남석유가스그룹 자회사

외국인합작투자기업

지분구조

베트남석유가스그룹 100%

 - 일본 이데미츠 코산(Idemitsu Kosan Co) 35.1%
 - 쿠웨이트 석유(Kuwait Petoleum International) 35.1%
 - 베트남석유가스그룹 25.1%
 - 미츠이 케미칼(Mitsui Chemicals Inc) 4.7%

투자자본

30억 달러

90억 달러

운영

2011년 1월 공식 가동

2018년 12월 공식 가동

생산능력

원유 650만 톤/년
148,000배럴/일

원유 1000만 톤/년
20만 배럴/일

원료

베트남 근해 유전 생산 원유(55~65%)
아제르바이잔, 미국, 싱가포르 등 수입 원유(35~45%)

쿠웨이트유(100%)

생산제품

휘발유, 등유, 제트유, 경유, 연료유, LPG 등

휘발유, 등유, 제트유, 경유, 연료유, LPG 등

대정비작업 일정

2023년 6월 22일 ~ 8월 11일(50일)
· 연기됨. 연기 일자 미정

2023년 8월 25일 ~ 10월 18일(55일)

· 진행 중

[자료: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석유제품의 수요 증가 추세


최근 베트남의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 2023년 상반기 기준 베트남 국제관광객 입출국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5배 급증한 1440만 명을 기록했으며, 내국인관광객 또한 약 6400만 명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약 1.4배 증가했다. 이와 같은 관광객 수의 증가는 베트남을 오가는 항공편 증편, 베트남 내 교통량 증가를 의미한다. 2022년 베트남 교통수단별 승객 동원 수에 따르면 △육로 △내륙 수로 △항공 △항만 △철도 모든 교통수단 부문에서 전년대비 증감률을 보였고 2022년 총 승객 동원 수는 2021년 약 23억8700만 명에서 53% 증가한 약 36억6400만 명을 기록했다.

 

<2018~2022년 교통수단별 승객 동원 수 추이>

(단위: 백만 명, %)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철도

8.5

8

3.7

1.4

4.4

증감률

-

-6

-54

-62

214

항만

7.4

7.6

7.7

4.9

7.6

증감률

-

3

1

-36

55

항공

48.9

55.3

32.3

14

49.2

증감률

-

13

-42

-57

251

내륙 수로

195.7

200.6

227

157.2

244.2

증감률

-

3

13

-31

55

육로

4380.9

4871.6

3291.2

2209.8

3358.7

증감률

-

11

-32

-33

52

합계

4641.4

5143.1

3561.9

2387.3

3664.1

증감률

-

11

-31

-33

53

[자료: 베트남 통계청]

 

교통량 증가는 화물 운송 부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베트남의 운송수단별 화물량을 확인해보면 2022년 총 화물 운송량은 약 20억 톤으로 전년대비 24% 증가했다. 이같은 승객 동원 수, 화물 운송량의 증가는 항공유·휘발유 등과 같은 석유제품의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2018~2022년 운송수단별 화물량 추이>

(단위: 백만 톤, %)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철도

5.7

5.2

5.2

5.7

5.7

증감률

-

-9

0

10

0

항만

78

82

82.4

85.1

108.9

증감률

-

5

0

3

28

항공

0.4

0.44

0.27

0.3

0.3

증감률

-

10

-39

11

0

내륙 수로

288.8

303.4

337.1

315.5

399.5

증감률

-

5

11

-6

27

육로

1261.7

1293.1

1349.7

1213.9

1495.2

증감률

-

2

4

-10

23

합계

1634.6

1684.14

1774.67

1620.5

2009.6

증감률

-

3

5

-9

24

[자료: 베트남 통계청]

 

시사점


정유시설의 대정비작업(Turnaround, TA)는 주기적으로 실시된다. 2011년 가동한 융꿧(Dung Quat) 정유시설의 경우도 이전 4번의 대정비작업을 약 3년 주기로 실시한 이력이 있다. 이와 같이 베트남 정유시설의 대정비작업이 진행 시 우리 기업은 발맞춰 베트남으로의 석유제품 수출을 공략해볼 수 있겠다. 또한 대정비작업 시기에는 단순히 석유제품의 공백만 발생하는 것이 아닌, 외국의 선진 정유 기술, 정비 기술을 요하는 때이기도하다. 베트남은 대정비작업이 실시될 때 정유시설의 각 부분의 정비, 점검을 입찰하고 있어 우리 선진 기술 기업들 또한 해당 베트남 정유시설의 대정비작업에 입찰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을 수 있다.


지난 5월에는 융꿧(Dung Quat) 정유시설의 확장 및 생산량 향상 프로젝트가 정부 승인을 얻었다. 2025년에 실시되는 약 12억 달러 규모의 해당 프로젝트 또한 입찰 기회를 노려볼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선진 기술 기업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베트남 통계청, Trading Economics, 베트남 관세총국, 현지 신문,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정유시설 정비, 한국 석유제품 업계에 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