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트남 가구시장 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고우람
  • 2023-08-22
  • 출처 : KOTRA

베트남 가구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가정수 증가

베트남 가구시장의 활력소, 코로나 이후 새롭게 등장한 인테리어 트랜드

다양해지는 베트남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춘 제품 개발이 필수

베트남 가구 시장 동향

 

상품명 및 HS Code

HS 코드

품명

940310

금속으로 만든 사무실용 가구

940320

금속으로 만든 그 밖의 가구

940330

사무실용 목제가구

940340

주방용 목제가구

940350

침실용 목제가구

940360

그 밖의 목제가구

940370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구

940380

그 밖의 재료로 만든 가구[등나무ㆍ버드나무 가지(osier)ㆍ대나무나 이와 유사한 재료로 만든 것을 포함한다]

940390

부분품

 

시장 동향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이 강제적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졌으며, 이는 주거, 생활 공간이라는 집의 기존 개념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집이라는 공간은 이제 전통적 개념을 넘어 재택 업무 공간, 운동, 취미 등 개인을 위한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홈오피스(Home Office), 홈짐(Home Gym), 홈데코(Home Decor) 등 집을 목적에 따라 개조하고 꾸미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와 관련 가구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2년 베트남 가구 시장 규모는 약 12억 5,000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후 2027년까지 연평균 8.7%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2028년에는 20억 6,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18~2028년 베트남 가구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십억 달러)

[자료: Statista, 호치민 무역관 가공]

 

늘어가는 가정수가 견인하는 베트남 가구 시장


베트남 가구 시장 성장의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는 급격한 가정 수의 증가이다. 베트남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베트남의 가정 수는 2019년 2,687만 가구로 조사되었으며, 2009년 대비 약 19.7%의 급격한 증가율을 보였다. 이러한 가정 수 증가는 가구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1979~2019년 베트남 가정수 추이>

(단위: 백만 호)

[자료: 베트남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호치민 무역관 가공]

 

베트남 가정수의 높은 증가율은 크게 세가지 요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첫째, 경제적 발전과 도시화다. 베트남의 경제 발전은 급격한 도시화를 불러일으켰고, 사람들은 교육, 고용 기회, 생활수준 향상 등의 이유로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 인구 증가로 인해 가구당 인원 수가 감소하고 가정 수가 증가하고 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베트남의 전체 인구 중 도시 인구 비율은 2000년 24.3%에서 2022년 14.4% 증가한 38.7%에 이르렀다. 베트남의 도시 인구 비율은 2025년까지 매년 2.4%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는 베트남의 가정 수 증가를 촉진시키고 있다.

 

<2000~2022 베트남 전체 인구 중 도시 인구 비율 추이>

(단위: %)

[출처: 세계은행, 호치민 무역관 가공]

 

둘째, 사회 문화적 변화로 인해 결혼과 출산에 대한 베트남 사람들의 인식 변화다.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대가족을 선호하는 사회였지만, 현대화와 교육 수준이 높아지며 젊은 세대들은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결혼과 독립을 결정하고 있다. 결혼 연령의 증가, 부모에게서의 독립하는 연령의 감소는 핵가족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가정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인구 구조적 변화로 인한 가정 수 증가이다. 베트남은 현재 출산률 감소,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만 60세 이상을 고령자로 정의하고 있는데,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베트남은 2011년 고령화 사회(고령화율 7~14%)로 진입하며 급속히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베트남의 고령화율은 2038년 약 20%에 도달해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다. 인구 고령화는 가족 구조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고령자들은 자녀와 동거하는 것보다는 자립적인 생활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베트남의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가정 수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1~2050 베트남 고령화율 추이 및 전망>

(단위: %)

[자료: 베트남 통계청, 호치민 무역관 가공]

 

코로나 이후 인테리어는 내가 좋아하는 것들로 채우기


코로나 이후 새롭게 등장한 인테리어 유행은 베트남 가구 시장의 성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유행하는 인테리어에 맞추기 위해 관련한 가구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인테리어 유행은 가구 시장의 활력소로 보인다.


코로나 이전까지는 과하지 않은 인테리어, 깔끔하고 심플한 미니멀리즘(Minimalism) 인테리어가 대세였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강제적으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코로나라는 외부의 위기에서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가장 개인적인 공간인 집(방)을 자신의 취향대로 꾸미는 새로운 인테리어가 등장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좋아하는 것들로 채운다는 클러터코어(Cluttercore)는 영어 클러터(Clutter, 잡동사니)와 코어(Core, 중심)을 조합한 말로 ‘공간을 잡동사니로 어수선하게 꾸미는 스타일’로 정의된다. 언뜻 보기에는 복잡해 보이고 지저분해 보이지만 공간을 취향대로 채운다는 것이 핵심이며, 그저 많은 물건을 소유하는데 집중하는 멕시먹리즘(Maximalism)과는 다른 개념이다. 해시태그 #cluttercore는 베트남 틱톡(Tiktok)에서 약 6,000만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인스타그램(Instagrma)에서는 25,600건의 게시물이 올라올만큼 베트남에서 인기있는 인테리어 방식이다.

 

<클러터코어(Cluttercore)>

[자료: 틱톡(TikTok), @curiousscodyy)

 

베트남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주요 수입국


베트남의 2022년 HS Code 9403.10~90의 총 수입액은 2억 9,8,029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2년 수입액은 8.66%의 증가율을 보였는데, 이는 2020~2021년 코로나 영향으로 인해 수입이 감소한데에 따른 기저효과와 더불어 포스트 펜데믹 시대에 접어들며 홈오피스, 홈데코 등이 유행하여 가구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중 한국산 제품의 수입 규모는 2021년 대비 2.4% 증가했지만, 점유율은 2020년 2.8%에서 2022년 2.3%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20~2022년 베트남 HS Code 9403.10~90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

총계

298,029

297,316

323,063

100.0

100.0

100.0

8.6

1

중국

188,532

184,806

181,219

63.2

62.1

56.0

-1.9

2

이탈리아

5,119

7,815

9,901

1.7

2.6

3.0

26.7

3

한국

8,401

7,538

7,719

2.8

2.5

2.3

2.4

4

말레이시아

3,200

4,748

7,203

1.0

1.6

2.2

51.7

5

인도

3,361

4,977

3,316

1.1

1.6

1.0

-33.3

6

일본

3,883

3,008

2,660

1.3

1.0

0.8

-11.5

7

대만

3,145

3,881

2,582

1.0

1.3

0.8

-33.4

8

독일

2,806

3,285

2,193

0.9

1.1

0.6

-33.2

9

태국

2,195

1,394

1,943

0.7

0.4

0.6

39.3

10

인도네시아

872

2,228

1,886

0.2

0.7

0.5

-15.3

[자료: World Trade Atlas]

주: 상기 통계는 HS Code 9403.10~90 기준으로, 가구 제품을 포함한다. 이해를 돕기위해 해당 HS Code를 기준으로한 통계 자료를 사용했으나 가구만의 정확한 통계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경쟁 동향


베트남 가구 시장은 베트남 자국 기업이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데, 몇개의 대형 자국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때문에 베트남 가구 시장의 점유율을 가져오기 위해 베트남에 진입하는 외국 브랜드들은 베트남 소비자들의 취향과 요구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과 가격대를 선보이고 있어 베트남 가구 시장은 국내외 브랜드들의 치열한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유통구조


베트남에서 가구는 무겁고 큰 부피, 전문적인 설치가 필요했기 때문에 조립, 설치, 배송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매장에 직접 방문하는 오프라인 형태의 구매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베트남 가구는 세계적인 추세를 반영해 쉬운 조립, 적은 부피와 같은 소비자의 편의성을 중시하게 되었고 배송을 통해 가구를 구매해도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에 가구 시장의 온라인 구매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 이후 매장 방문이 불가능해진 점도 온라인 구매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2017~2027베트남 가구 유통 채널 온∙오프라인 점유율>

(단위: %)

[자료: Statista]

 

관세율, 인증

<HS Code 9403.10~90 베트남 수입 관세율>

(단위: %)

HS Code

품목명

VAT

AKFTA

VKFTA

940310

금속으로 만든 사무실용 가구

10

5

5

940320

금속으로 만든 그 밖의 가구

10

0

0

940330

사무실용 목제가구

10

0

0

940340

주방용 목제가구

10

0

0

940350

침실용 목제가구

10

0

0

940360

그 밖의 목제가구

10

0

0

940370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구

10

0

0

94037090

플라스틱으로 만든 가구 그 외

10

5

5

940380

그 밖의 재료로 만든 가구[등나무ㆍ버드나무 가지(osier)ㆍ대나무나 이와 유사한 재료로 만든 것을 포함한다]

10

0

0

940390

부분품

10

0

0

[자료: 2023 베트남 수입 및 수출 관세표]

 

인증제도


베트남 가구 수입 시 목재 가구, 특히 원목 가구의 경우 병충해 감염 품목 조사를 위해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 산하 식물보호국에서 발행하는 식물검역증명서(Phytosanitary Certificate)*가 필요하다. 또한 목재 가구 이외에도 라탄(Rattan)을 사용한 제품 혹은 충분히 가공되지 않은 식물의 줄기 따위를 사용해 만든 가구를 수입할 경우에도 식물검역증명서를 발급받아 세관에 제출해야 한다. 이에 우리기업은 베트남에 목재가구 등 관련 제품 수입시 식품 검역이 필요한지 자세히 확인해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규정: Circular 33/2014/TT-BNNPTNT(클릭 이동, 베트남법률도서관(Thuvienphapluat)

 

시사점


최근 가구의 주요 소비자가 기성세대에서 밀레니얼 세대, Z세대로 변화되는 것에도 주목할만하다. 이들 세대는 가구를 단순히 실용적인 물건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취향과 성향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우리기업이 베트남 가구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품질, 기능성만 중요시 할 것이 아닌 디자인, 색상과 같은 개인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들 세대는 환경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가구를 선호한다. 때문에 가구 제작에 있어 친환경 소재 사용 유무, 제조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한다면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시장은 아직 성숙하지 못하지만 확실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베트남에 진출한 가구 제조업체 관계자는 베트남의 경제발전과 함께 중산층이 확대되면서 한국 가구의 품질과 디자인에 대한 인식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베트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현지 소비자들의 취향과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제품 개발과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첨언했다. 이에 베트남 가구 시장에 진출을 목표로 하는 우리기업들은 베트남 시장 진출 준비시 현지 소비자의 특성과 마케팅 방법, 트렌드 분석 등의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원: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수입 및 수출 관세표, World Trade Atlas, 틱톡(TikTok), 세계은행, Statista, VnEconomy, Daily Pop, Lofficielvietnam, Ricemedia, Woman Donga, 현지 가구 업체 인터뷰, 베트남법률도서관(Thuvienphapluat)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가구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