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리튬이온 축전지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오사카무역관 하마다유지
  • 2023-08-10
  • 출처 : KOTRA

일본 리튬이온 축전지 시장, 2022년은 전년 대비 19.2% 증가

차량용이 시장의 약 80%를 차지

제품 기본정보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리튬이온 축전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웨어러블 기기 등 전자기기용 제품 외에도 하이브리드카, 전기차 등의 차량용, 무정전전원장치(UPS), 휴대전화기 기지국(BTS)용 전력저장시스템 등에 사용되고 있다.

 

HS Code

범주

8507.60

리튬이온 축전지

[자료: 재무성]

 

<리튬이온 축전지 이미지>

[자료: Panasonic 홈페이지]

 

일본 리튬이온 축전지 시장 동향

 

이산화탄소(CO2) 온실가스 배출량을 사실상 제로로 만드는 탈탄소화 흐름이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기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수요 확대가 전망되고 있다. 동력원인 리튬이온 축전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Panasonic Tesla로부터 신형 축전지(4680) 수주하는 생산능력 증강을 위한 설비투자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의 기계 통계에 따르면, 리튬이온 축전지의 출하액은 2022 전년 대비 19.2% 증가한 6,7823,100 엔을 기록했다. 내역을 보면 차량용이 5,4341,900 (전년 대비 +27.8%), 기타가 1,3481,200 (-6.4%)이었다.

 

<리튬이온 축전지 시장규모 추이(제조사 출하액 기준)>

(단위: 백만 엔)

 

2018

2019

2020

2021

2022

리튬이온 축전지(차량용)

321,493

282,420

313,773

425,103

543,419

리튬이온 축전지(기타)

140,718

127,383

131,007

144,034

134,812

합계

462,211

409,803

444,780

569,137

678,231

[자료: 경제산업성]

 

2022년의 리튬이온 축전지 출하용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518,933Ah 기록했다. 내역을 보면 차량용이 446,415Ah(전년 대비 +7.8%), 기타가 72,518Ah(-26.3%)였다.

 

<리튬이온 축전지 출하용량 추이>

(단위: 천 Ah)

 

2018

2019

2020

2021

2022

리튬이온 축전지(차량용)

3,426,932

2,508,348

2,734,342

4,140,383

4,464,154

리튬이온 축전지(기타)

1,130,513

1,027,615

952,528

984,042

725,177

합계

4,557,445

3,535,963

3,686,870

5,124,425

5,189,331

[자료: 경제산업성]

 

최근 3년간 수입 규모(한국 포함) 및 동향

 

HS Code 8507.60 2022년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34% 증가한 226,700만 달러 규모였으며, 이 중 약 64%를 중국 수입품이 차지하였다. 그 외에 한국, 싱가포르, 미국 순으로 수입액이 많다대한 수입액을 살펴보면 2022년에는 전년 대비 약 18% 증가한 약 27,000만 달러 수준이 수입되었다.

 

<최근 3년간 국가별 수입 동향 (HS Code 8507.6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세계

1,338

1,690

2,267

100.00

100.00

100.00

34.16

1

중국

885

1,228

1,451

66.14

72.66

64.01

18.20

2

한국

179

152

270

13.40

9.00

11.89

77.30

3

싱가포르

122

134

202

9.12

7.92

8.92

51.02

4

미국

41

31

137

3.09

1.85

6.06

338.94

5

베트남

15

32

80

1.13

1.87

3.51

152.14

6

대만

46

53

53

3.45

3.13

2.34

0.35

7

인도

0

6

20

0.00

0.35

0.90

246.83

8

말레이시아

11

16

15

0.85

0.96

0.65

-8.82

9

독일

6

11

8

0.47

0.68

0.36

-27.62

10

폴란드

6

6

7

0.42

0.36

0.30

11.90

[자료: Global Trade Atlas(2023.8.1)]

 

20231월부터 6월까지의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25.4% 증가한 127,400만 달러 규모였으며, 이 중 약 72%를 중국 수입품이 차지하였다. 그 외에 한국, 미국, 베트남, 싱가포르 순으로 수입액이 많다대한 수입액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약 45% 증가한 약 12,100만 달러 수준이 수입되었다.

 

<20231월부터 6월까지의 국가별 수입 동향 (HS Code 8507.6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세계

758

1,016

1,274

100.00

100.00

100.00

25.39

1

중국

570

675

915

75.11

66.45

71.85

35.58

2

한국

59

84

121

7.80

8.24

9.53

45.11

3

미국

14

40

83

1.80

3.89

6.48

108.75

4

베트남

13

45

46

1.76

4.41

3.65

3.76

5

싱가포르

49

109

39

6.44

10.72

3.02

-64.62

6

대만

25

26

21

3.33

2.60

1.65

-20.30

7

인도

1

7

21

0.14

0.66

1.65

213.32

8

독일

5

6

6

0.69

0.57

0.49

5.87

9

폴란드

3

4

5

0.40

0.36

0.42

48.61

10

말레이시아

9

8

5

1.14

0.76

0.43

-28.83

[자료: Global Trade Atlas(2023.8.1)]

 

경쟁 기업 (대표 기업 예)

 

리튬이온 축전지 유력 기업은 한국, 중국, 일본에 집중돼 있어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전지 제조사와 완성차 제조사가 협업해 설비투자를 하는 일이 늘고 있다.

 

<일본의 차량용 리튬이온 축전지 주요 제조기업 >

기업명

매출액

(억 엔)

특징

Panasonic HD

10,674

- Panasonic Energy 생산을 담당

- Toyota, Tesla 납품. Mazda, Subaru에도 원통형 리튬이온 축전지를 공급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

Prime Planet Energy & Solution

N/A

- 차량용 각형 리튬이온 축전지 개발 생산기업

- 일본공장 및 중국공장에서 생산

- 2020년 설립

- Toyota, Panasonic이 주주

- 전고체 전지 개발 추진

Primearth EV Energy

2,431

- HEV 니켈 수소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개발·제조·판매

Blue Energy

314

- 고성능 리튬이온 전지의 제조·판매 및 연구개발

- 주로 Honda, Toyota에 납품

- GS Yuasa, Honda가 주주

Lithium Energy Japan

252

- 대형 리튬이온 전지의 개발·제조·판매

- GS Yuasa, Mitsubishi 상사가 주주

Vehicle Energy Japan

296

차량용 리튬이온 전지, 모듈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개발, 제조 판매

- *축전지 관련 부문의 매출액임

[자료: 업계지도, 기업 홈페이지, KOTRA 오사카무역관]

 

유통구조

 

차량용 리튬이온 축전지 제조사가 직접 생산해 자동차 제조사에 납품하는 경우가 많으나 자동차 제조사와 전지 제조사가 합작으로 배터리 제조사를 만들어 안정적으로 공급을 받는 일도 늘고 있다.


차세대 전지 개발을 추진하는 TDK 자회사인 ATL(중국) 통해, 리튬 이온 축전지를 스마트폰 메이커 등에 공급하고 있다무라타제작소는 2017년에 SONY로부터 리튬이온 전지 부문을 인수해 현재 국내외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라미네이트 타입, 원통형 타입, 각형 타입을 생산하고 있다.


수입품에 관해서는 중소형 리튬이온 축전지가 많이 수입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골프 카트용 배터리 등이 수입되고 있다. 한국 제품은 대기업에서는 채산이 맞지 않는 틈새시장 제품에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수입 상사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납품되고 있다.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WTO협정 관세율은 무세이며 통관 시 소비세 10%가 부가된다. 리튬이온 축전지는 체적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발연, 발열로 인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기용품안전법의 규제 대상이다. , 위험물로 운송 규제도 받는다.

 

HS Code

기본

WTO협정

8507.60

무세

무세

[자료: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실행 관세율표]

 

시사점

 

앞으로도 차량용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나, 차량용 배터리는 자동차 제조사와 배터리 제조사가 협업하는 경우가 많아 중소기업이 진입할 있는 여지가 적은 상황이다.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발휘할 있는 영역은 골프카트나 지게차, 전동공구 -소형 배터리 분야다. 중소형 제품은 유통 규모가 작아 대기업이 진입하기 어려운 분야이기 때문이다.


원가절감과 원재료의 안정적 조달은 모든 제조기업에 있어서 과제다. 인산철 원재료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가격 변동을 줄이는지가 거래처 확대의 관건이 된다.

 

자료: 재무성, 경제산업성, Global Trade Atlas, 기업 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리튬이온 축전지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