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소형 발전기 시장 동향
  • 상품DB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3-08-01
  • 출처 : KOTRA

전력 공급난 심화 이후 수입은 급증세로 전환

수입 라이선스 규제, 가격 상승은 시장 압박 요인으로 작용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 8502.11

상품명 : 출력이 75킬로볼트암페어 이하인 것

 

시장 규모 및 동향

 

미얀마는 아세안 신흥국 중에서도 전력 산업 전반의 발전이 가장 뒤떨어지며 송배전 공급 사정도 열악한 국가로 꼽힌다. 특히 발전량이 전력 수요에 비해 크게 부족하여 경제 중심지 양곤(Yangon)과 만달레이(Mandalay), 행정수도 네피도(Nay Pyi Taw) 등 주요 도시들에서도 만성적인 정전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미얀마 전력부(Ministry of Electric Power)가 발표한 2020-2021 회계연도의 국가 전체 설비용량은 6,830메가와트(MW)로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으며, 총 발전량도 23.6기가와트시(GWh)로 한국의 전력 생산량 대비 약 4% 수준에 불과하다. 심지어 낙후된 송배전 설비로 인해 매년 막대한 전력을 공급 과정에서 잃고 있다.

 

1인당 전력소비량 수치도 발전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통계적으로 보여준다. 1인당 연간 전력소비 규모는 미얀마 전력부가 발표한 회계연도별 최종 공급량을 미얀마 통계청(Central Statistical Organization)이 집계한 총 인구로 나누어 구해볼 수 있는데, 수치상으로는 경제 개방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가장 마지막 통계가 발표된 2020-2021 회계연도의 1인당 소비량도 350.16킬로와트시(kWh)로 다른 나라에 비해 절대적으로 작다. 산업용 전력 소비가 통계수치에 상당 부분 포함된 대한민국의 경우 미얀마보다 30배 가까이 높은 1인당 전력소비 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아세안의 경제 강국인 말레이시아와 태국도 10배 가량 소비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심지어 미얀마와 함께 아세안의 대표적 저개발국가로 분류되는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1인당 전력 소비량도 비슷하거나 더 높다.

 

<미얀마의 1인당 전력소비 동향> 

(단위: kWh/)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35e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88pixel

[자료미얀마 전력부World Data Info]


<주요국별 ’21년 사용량 비교>

(단위: kWh/)

국가명

1인당 전력소비량

미국

11,739.51

대한민국

10,330.00

중국

4,822.35

말레이시아

4,469.61

태국

2,661.54

베트남

2,050.38

인도네시아

937.86

캄보디아

620.19

라오스

388.03

미얀마

350.16

[자료: 미얀마 전력부, 한국전력공사, World Data Info]

 

(*: 미얀마 통계의 출처는 미얀마 전력부, 한국은 한국전력공사이며, 그 외 국가의 통계는 World Data Info에서 인용함. 또한 편의상 다른나라의 2021년 통계를 미얀마의 2020-2021 회계연도 수치와 비교함)

 

반면 전력 수요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제 개방 이후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사무용 건물과 각종 상업시설이 늘어남에 따라, 전력 수요도 빠르게 증가했다. 양곤, 만달레이와 같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들어선 호텔과 식당, 그리고 외국인 투자가와 주재원을 주 수요층으로 하는 레지던스 등이 전력 소비 증가세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주거, 상업용 시설이다. 그러나 전력 생산량은 현지 정부가 의도한 바와 같이 빠르게 늘어나지 못했으며, 20212월 군부 쿠데타로 국가 경제가 비상 상황에 빠진 이후에는 오히려 발전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국가 비상사태의 영향이 반영된 2020-2021 회계연도의 발전 설비용량은 직전 회계연도보다 300메가와트(MW) 가까이 줄어들었으며, 총 발전량도 소폭 감소세를 나타냈다. 특히 군부 쿠데타로 인한 정치적 불안, 사업성 악화 등을 이유로 외국계 발전사들이 철수하며 발전 역량 축소를 가속화시켰다. 사업성 악화로 일부 발전소의 운영 계약을 철회한 홍콩의 V-Power와 올해 초 수력발전소 프로젝트에서 철수한 스웨덴, 핀란드의 AFRY 등이 대표적이다.

 

<회계연도별 설비 용량 및 발전량>

(단위: MW, 백만kWh)

회계연도

설비 용량

발전량

2010-2011

3,413

8,625.11

2015-2016

5,125

15,964.75

2016-2017

5,390

17,866.99

2017-2018

5,642

20,055.32

2018-2019

5,838

22,882.85

2019-2020

7,129

23,778.14

2020-2021

6,830

23,642.85

[자료 : 미얀마 전력부]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이처럼 전력 공급 사정이 악화되자 도시지역에서 영업 중인 상업용 시설을 중심으로 비상 발전기의 수요가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HS 코드 8502.11로 분류되는 출력 75킬로볼트암페어(kVA) 이하의 발전기는 주로 중소규모 식당 등 상업용 건물에서 사용되며 미얀마에서 자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수입 규모를 통해 수요를 추정해볼 수 있는데, 미얀마의 전력 공급 악화에 따라 줄어들었던 수입액이 다시 늘어나는 양상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20183,731만 달러였던 수입 규모가 20211,293만 달러까지 점진적으로 줄어들다가 지난해인 2022년 급증세로 돌아서며 4,214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된다, 미얀마의 설비용량과 발전량이 증가세를 유지하던 2020년까지는 수요가 줄어들었으나 전력 공급이 크게 줄어든 국가 비상사태 이후 수입이 폭증한 것으로 분석해볼 수 있다한국에서 수입된 규모는 2020년 1만 5,000달러 규모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최근 5개년간 발전기(HS Code: 8502.11) 수입의 변화>

(단위 : USD )

국가명

2018

2019

2020

2021

2022

중국

25,803

19,347

11,925

6,509

26,939

일본

2,087

2,983

1,744

1,658

6,141

싱가포르

3,269

2,086

778

926

3,207

베트남

1,768

8,695

1,638

2,097

인도

4,830

6,741

5,214

2,007

2,061

태국

151

478

583

113

1,044

EU

571

517

340

45

588

홍콩

69

73

79

-

67

미국

432

-

-

-

-

영국

45

132

-

43

-

터키

34

46

7

-

-

한국

-

-

15

-

-

기타

20

52

793

-

-

총계

37,311

34,223

30,173

12,939

42,144

[자료 : Global Trade Atlas]

 

실제로 양곤의 주요 사무용 건물, 요식업체 및 호텔, 레지던스의 1층에 비상용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발전기를 공급 중인 유통업체들도 크게 늘어난 수요를 체감하고 있다. 프랑스의 ‘KOHLER’ 브랜드를 유통 중인 한 바이어도 지난해부터 정전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며 시내 사무실과 식당, 중소형 호텔 등에서 발전기를 찾는 문의가 크게 늘었다.”고 밝혔으며, 재고 부족으로 상당수 고객들은 제품이 미얀마에 도착할때까지 오랜 기간 기다리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현지에서 사무소와 제조시설을 운영 중인 기업인들은 현재의 전력 공급난이 단기간 내에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비상 발전기 수요가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양곤시내 오피스()와 은행()에 설치된 비상 발전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fa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19pixel, 세로 2133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b441de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76pixel, 세로 2701pixel

[자료 : KOTRA 양곤무역관 자체 촬영]

 

경쟁 동향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얀마에서 자체 생산되는 제품이 없어, 이와 같은 비상 발전기 수요는 전량 수입 제품으로 충당되고 있다. 주요 수입국은 미국, 프랑스, 스페인, 중국, 인도 등이며, 경쟁 구도는 크게 미국의 Carterpilla, 프랑스의 KOHLER 등 프리미엄 제품과 중국의 KAMA, Olympic, 인도의 Pai Kane 등이 중저가 제품이 시장을 양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용량별로는 5kVA 이하 제품이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며 5kVA 이상, 75kVA 이하의 출력을 가지는 발전기는 중소형 호텔, 사무실, 그리고 시내 레스토랑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참고로 규모가 큰 호텔이나 대단지로 구성된 레지던스, 그리고 제조시설에서는 이보다 출력이 큰 200kVA 이상의 발전기를 필요로 한다.

 

<미얀마 시장 내 유통 중인 발전기의 브랜드별 가격>

브랜드 및 제품명

생산국

출력

제품 사진

가격

Caterpilla

미국

20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afa0190c.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600pixel

14,600 US$

30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afa00001.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400pixel

18,200 US$

60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afa01912.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9pixel, 세로 194pixel

22,400 US$

KOHLER

프랑스

15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afa000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419pixel EXIF 버전 : 0210

11,000 US$

20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afa0000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401pixel EXIF 버전 : 0210

12,500 US$

KAMA

중국

30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afa00005.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359pixel

6,470 US$

62.5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afa00008.t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1pixel, 세로 200pixel

9,000 US$

Olympic

중국

20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afa00009.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800pixel

5,800 US$

CT Power

중국

20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afa01924.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9pixel, 세로 194pixel

4,411 US$

Pai Kane

인도

20kV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afa0000a.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500pixel EXIF 버전 : 0210

5,558 US$

[자료 : KOTRA 양곤무역관 조사]

 

한편 지속되고 있는 경제난과 미얀마의 구매력 감소로 프리미엄 제품의 시장 경쟁력은 다소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으로부터 고가 브랜드 ‘FG Wilson’ 제품을 수입하고 있는 한 바이어는 미얀마 소비자들의 구매력은 지속적으로 감소 중인 반면, 기존에 12천 달러 정도였던 제품이 최근 18천 달러까지 인상됐다.”고 언급하며, 현지화 차트(Kyat)의 가치하락으로 시장에서 느끼는 가격 상승 압력은 더 높다고 덧붙였다. 반면 중국, 인도 등 저가 제품은 출력이 비슷하면서도 가격이 크게 낮아 향후 경제난이 지속될 경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 구조

 

비상발전기는 주로 전문성을 갖춘 현지 업체가 제품을 수출하는 제조업체로부터 단독 판매권을 인정 받아 공급하는 형태로 유통된다. 중고 발전기의 경우 중고 제품만 전문적으로 유통 중인 업체를 통해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발전기 임대도 제품을 현지 시장에 유통하는 한가지 형태이다. 발전기 자체의 단가가 매우 높으므로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제품을 임차해 사용하려는 수요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발전기 임대를 전문으로 하는 임대업체도 다수 운영 중이다. , 주로 건설 현장이나 야외 이벤트 전문 행사장으로부터 발생하던 임대 수요는 최근의 경제난과 정치적 불안으로 그 규모가 다소 줄어든 상태이다.

 

관세율 및 인증

 

미얀마 관세청에서 발전기(HS Code 8502.11)에 적용하고 있는 관세율은 5%이다. , 이 품목은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이 규정하는 일반품목으로 분류되므로 한국으로부터 수출되는 제품이 원산지 정보를 구비할 경우 FTA 협정에 따라 관세가 면제된다. 그 밖에 별도의 인증이나 승인 절차는 요구되지 않는다. 다만, 발전기 역시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가 정한 규정에 따라 수입 라이선스(Import License) 발급이 강제되므로 수입을 희망하는 바이어는 반드시 라이선스 발급 절차를 거쳐야 한다. 특히 비상 발전기는 ‘Non-automatic Licensing’ 대상 품목으로 상무부의 건별 검토를 거쳐 라이선스 발급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발급 심사 기간도 최소 3개월에서 많게는 6개월 이상까지 소요된다.

 

<발전기 품목에 적용되는 관세율(2022년 지정)>

(단위 : %)

HS Code

HS 설명

단위

관세율

상업세율

8502.11

Electric generating sets and rotary converters.- Generating sets with compression-ignition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s (diesel or semi-diesel engines):

- - Of an output not exceeding 75 kVA

u

3

(ASEAN-Korea FTA 0%)

5

[자료 : 미얀마 관세청]

 

향후 전망 및 시사점

 

미얀마 정부는 과거 민주정권에서 수립한 국가전력화프로젝트(NEP, National Electicification Project)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전력 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가 비상사태로 외국인 투자의 철수가 이어지고 경제난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전력 확충 정책이 충분한 성과를 이루지 못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중국의 투자로 진행되는 수력발전 프로젝트나 러시아와 협력 중인 원자력 발전사업도 단기간 내에 완수되기 어렵다. 따라서 전력 수요 대비 발전량 부족 문제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른 비상 발전기 수요도 꾸준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곤시내 소매점()와 호텔앞()에 설치된 비상 발전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fa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10pixel, 세로 907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afa018d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3024pixel

[자료 : KOTRA 양곤무역관 자체 촬영]

 

한편 다른 품목에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는 상무부의 수입 라이선스 발급 지연 문제는 비상 발전기 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에서 제품을 수입 중인 바이어 상당수는 라이선스 발급 지연으로 인해 제품을 적시에 공급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리나 이와 같은 수입 규제와 경제난에도 시장의 수요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Caterpilla 브랜드를 수입 중인 바이어는 현재 재고가 25대만 남아 있다고 밝히면서, “라이선스 발급이 지연되고 있기도 하나, 수요 자체가 폭증했기 때문에 공급난이 심화된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미얀마의 전력난과 현지 수요에 주목하며, 시장의 동향을 꾸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자료 : 미얀마 전력부, 미얀마 통계청, 미얀마 관세청, 한국전력공사, World Data Info, Global Trade Altas, KOTRA 양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소형 발전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