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PET 필름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오사카무역관 하마다유지
  • 2023-07-31
  • 출처 : KOTRA

2020~2022년 한국 제품 수입액은 일본 PET 필름 수입시장에서 '1위' 차지

기업의 친환경 의식 향상은 재생 PET 필름 수요 확대로 연결

제품 기본정보

 

HS code 3920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그 밖의 판·시트(sheet)·필름·박(箔)·스트립(셀룰러가 아닌 것으로서 그 밖의 재료로 보강·적층·지지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결합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을 나타내며,
HS Code 3920.62은 폴리(PET/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든 것을 나타낸다. 포장재용 시트, 액정화면 표면 보호용 필름 등으로 사용되며 이 보고서에서는 한국에서의 수입이 많은 공업용 PET 필름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HS Code

범주

3920.6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든 것

[자료: 일본 재무성,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제품 이미지>

[자료: Toray 홈페이지]

 

일본 PET 필름 시장동향

 

2021년 일본 공업용 PET 필름 시장규모(메이커 출하 수량 기준)는 전년 대비 6.1% 증가한 62만6,280t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 집콕 소비 증가 → 스마트폰, TV, ICT 기기 수요 증가  광학부품, 부자재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하지만 2022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의 도시 봉쇄, 스마트폰, 자동차 등의 생산 중단 등으로 중국 수요가 감소하면서 2 만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PET 필름 생산 시장에서는 순환형 경제에 대한 기업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전자부품 제조사인 TDK 적층 세라믹콘덴서(MLCC)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PET 필름을 재사용하는 시스템을 실용화했다. 그동안 폐기하던 필름을 특수 처리하여 재생 PET 제조 공정에 재사용한다. 2026년까지 재생 PET 필름 사용률을 2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전자제품 제조업계는 환경 보호에 대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재활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일본, 한국, 대만) 제조사의 공업용 PET 필름 용도별 출하량 추이>

(단위: t)

용도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광학용

부재용

114,600

120,100

117,900

119,700

122,800


부자재용

136,950

151,000

155,800

168,220

177,200


소계

251,550

271,100

273,700

287,920

300,000


일반산업용

점착·이형
(MLCC
)

87,950

103,380

105,680

115,050

123,530



점착·이형
(MLCC
이외)

46,700

49,820

47,020

49,980

52,720


전기·전자관련

42,660

43,800

43,500

44,600

45,100


DFR

25,900

28,300

28,100

29,900

32,200


그래픽 미징

22,300

23,800

22,900

23,600

24,300


기타

113,165

106,080

101,800

100,150

96,150


소계

338,675

355,180

349,000

363,280

374,000


합계

590,225

626,280

622,700

651,200

674,000


: 2022년 이후는 예측치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최근 3년간 수입 규모(한국 포함) 및 동향

 

HS Code 3920.62 2022년 일본 전체 수입액은 전년대비 약 1.4% 감소한 52,800만 달러였으며, 이 중 약 23.5%를 한국 수입품이 차지했다. 그 외에 인도네시아, 중국, 대만 순으로 수입액이 많다. 2022년 대한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11.5% 감소한 약 12,4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국가별 수입 동향 (HS Code 3920.62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세계

466

536

528

100.00

100.00

100.00

-1.42

1

한국

135

140

124

28.95

26.15

23.48

-11.49

2

인도네시아

77

92

108

16.56

17.22

20.52

17.48

3

중국

81

94

100

17.42

17.57

19.00

6.60

4

대만

83

101

93

17.82

18.80

17.56

-7.91

5

말레이시아

59

69

65

12.60

12.96

12.25

-6.85

6

태국

11

12

12

2.29

2.20

2.22

-0.46

7

미국

7

8

8

1.56

1.57

1.45

-9.43

8

룩셈부르크

2

5

5

0.52

1.02

0.96

-7.13

9

영국

2

2

3

0.36

0.44

0.58

29.28

10

독일

2

4

3

0.45

0.67

0.60

-11.62

[자료: Global Trade Atlas(2023.7.18)]

 

20231~5월 일본 수입액은 전년대비 약 23.5% 감소한 17,900만 달러였으며, 이 중 약 26.3%를 한국 수입품이 차지했다. 대한국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1% 감소한 4,700만 달러이다.

 

<20231~5월 국가별 수입 동향 (HS Code 3920.62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3/22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세계

212

234

179

100.00

100.00

100.00

-23.52

1

한국

58

59

47

27.23

25.40

26.28

-20.87

2

인도네시아

33

48

38

15.49

20.66

21.25

-21.30

3

중국

38

42

35

17.75

18.02

19.59

-16.84

4

대만

38

39

32

18.08

16.86

17.74

-19.53

5

말레이시아

30

29

15

14.24

12.49

8.45

-48.25

6

태국

4

5

5

1.90

2.05

2.75

2.56

7

룩셈부르크

2

2

2

1.00

0.84

1.17

5.98

8

베트남

1

1

1

0.51

0.52

0.45

-32.93

9

미국

4

3

1

1.90

1.26

0.73

-55.66

10

영국

1

1

1

0.39

0.48

0.30

-51.36

[자료: Global Trade Atlas(2023.7.18)]

 

경쟁 기업 (대표 기업 예)

 

일본 PET 필름시장은 일본, 한국, 대만의 8 업체가 점유하고 있으며, 일본기업은 Toray Group(Toray, 도레이첨단소재/TAK), Toyobo, Mitsubishi Chemical 점유율이 높다. 2021년 기준 Toray Group, Toyobo, Mitsubishi Chemical은 시장의 약 61.6%를 차지했으며 그 중에서도 Toray Group33.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UNITIKA, Futamura Chemical 등이 PET 필름을 생산하고 있다.


Mitsubishi Chemical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미국, 독일 5 거점에서 PET 필름을 생산하고, 디스플레이용을 중심으로 하는 광학용, 전자부품, 자동차, 의료 산업용, 식품 포장재용 관련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현재 독일에 연간 2만7,000 규모의 생산라인을 건설 중이며 2024년 말에 가동할 예정이다. 신설 라인에는 최신 에너지 절약형 설비를 도입하는 생산 능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공장 전체의 CO2 배출량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또한 고객이나 소비자로부터 회수한 PET 필름을 원료로 재사용할 있는 장치도 도입할 계획이다.

 

<공업용 PET 필름 생산량과 시장 점유율(주요 일본기업)>

(단위: t, %)

기업명

생산량(t)

점유율(%)

2021

2022

2023

2024

2021

2022

2023

2024

Toray Group

209,700

212,900

224,100

230,800

33.5

34.2

34.4

34.2

Toyobo

86,800

90,400

94,300

97,900

13.9

14.5

14.5

14.5

Mitsubishi Chemical

89,300

89,300

89,300

89,300

14.3

14.3

13.7

13.2

: 2022년 이후는 예측치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KOTRA오사카무역관]

 

유통구조

 

해외 제품의 경우, 해외 제조업체 또는 계열 상사 일본 법인이 수입해 일본에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외에 IX 등의 수입상사가 해외에서 수입해 판매하고 있다. 생산기업이 많지 않아 수입상사도 다른 분야에 비해 적은 편이다.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WTO 협정 관세율은 4.8%이며 통관 시 소비세 10%가 부과된다. RCEP 활용 시 3.5%가 적용되며 2031년 이후는 0%가 적용된다.

 

<HS Code 3920.62 관세율>

(단위: %)

HS Code

기본

WTO협정

3920.62

5.8

4.8

[자료: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실행 관세율표]

 

<RCEP 적용 세율 스케쥴>

(단위: %)

WTO협정

1년째

2년째

3년째

4년째

5년째

6년째

7년째

8년째

9년째

10년째

11년째

4.8

4.4

3.9

3.5

3.1

2.6

2.2

1.7

1.3

0.9

0.4

0

주* : RCEP 개시 1년째는 2022년 11일~331일까지, 2년째는 2022년 41일~ 2023331일까지

[자료: 일본 외무성]

 

시사점

 

2021년 기준 한국제품 수입액은 일본 PET 필름 수입시장의 약 23.5를 차지한다. 한국제품을 취급하는 C사 담당자에 의하면 "일본 제품과 품질 차이는 없으며 가격 메리트도 있어 충분이 경쟁력이 있다. 해외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키면 충분히 시장개척의 여지는 있다."고 말했다. 일본 PET 필름 시장은 2024년까지 완만한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기업의 환경의식이 높아지면서 PET 필름을 재사용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재생제품의 품질 향상과 더불어 용도 확대, 비용 절감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재무성, 외무성, 관세청, Global Trade Atlas, 기업 홈페이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PET 필름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