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중고의류 시장동향
- 상품DB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서정아
- 2023-07-17
- 출처 : KOTRA
-
한국은 대캄보디아 중고의류 수출 1위국
합리적 가격, 깔끔한 품목 분류, 안정적 공급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사용하던 의류와 그 밖의 사용하던 물품
(Worn clothing and other worn articles)
630900
시장동향
캄보디아는 팬데믹 이전 약 20년간 7% 내외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해왔고 빈곤도 감소해왔다. 프놈펜을 중심으로 한 도시 지역 젊은 중산층도 부상하여 캄보디아 소비 시장을 이끌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는 2022년 기준 1인당 GDP가 1786.6달러에 불과한 세계 최빈국 중의 하나이다. 경제 성장에 따라 생활수준이 개선되면서 빈부 격차가 좁혀지고 있지만, 저소득층 및 농촌 지역 가계는 여전히 기본적인 서비스 및 소득창출 기회 접근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의류 등을 구매할 때 가격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밖에 없고, 가격이 저렴한 중고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캄보디아 중고의류 시장은 다른 소비재에 비해 큰 규모로 형성되어 있는데,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수입된 의류를 제3국으로 재수출하는 비중도 크기 때문이다.
한편 팬데믹, 세계 경제 침체 및 인플레이션 상승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의류, 신발 등 비식료품(non-food)에 대한 지출을 줄이면서 팬데믹 이후 중고의류 수입도 다소 감소했다. 하지만 캄보디아는 여전히 상당량의 중고의류를 수입하고 있으며, 전국의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중고의류 거래가 활발하게 발생하고 있다.
<현지 중고의류 판매점>
[자료: 크메르타임즈]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ITC Trademap 수출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캄보디아 중고의류 수입은 연 평균 약 72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했으나 팬데믹 기간인 2020년 5600만 달러, 2021년 4880만 달러로 감소했다가 2022년 5200만 달러 규모로 회복되었다. 2022년 캄보디아 중고 의류 수입액은 약 5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캄보디아 주요 중고 의류 수출국은 한국,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미국 등이다.
<캄보디아 중고 의류 수입 통계>
(단위: US$천)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45,747
35,627
35,250
46,516
42,505
32,804
19,772
16,891
중국
2,894
4,617
3,596
5,765
4,517
4,688
11,049
11,340
일본
7,874
6,809
5,674
5,551
7,429
7,953
7,122
8,938
말레이시아
9,132
10,335
11,571
10,636
11,389
3,989
4,245
7,451
미국
2,196
1,721
1,791
2,414
2,510
1,624
1,467
1,977
대만
2,308
1,812
1,632
2,284
2,326
1,645
1,976
1,955
필리핀
672
578
1,013
881
991
820
833
1,134
인도
641
319
212
436
379
620
800
886
태국
24
19
19
82
117
483
361
594
파키스탄
10
-
30
24
144
898
642
542
(중 략)
합계
73,657
63,666
62,588
76,780
73,643
56,251
48,835
52,060
[자료: ITC Trademap (대캄보디아 수출국 통계 기준)]
한국은 캄보디아가 중고의류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이다. 한국산 중고의류의 시장 점유율은 2020년까지 50~60%를 차지했으나, 최근 2년간 중국산 중고의류 수입 비중이 점차 증가하면서 한국산 중고의류 비중은 2021년 40.5%, 2022년 32.4%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다.
<대한국 캄보디아 중고 의류 수입 통계>
(단위: US$천, %)
연도
수출
금액
증감률
2013년
37,104
-31.5
2014년
56,855
53.2
2015년
45,764
-19.5
2016년
35,627
-22.1
2017년
35,250
-1.1
2018년
46,516
32.0
2019년
42,505
-8.6
2020년
32,804
-22.8
2021년
19,765
-39.7
2022년
16,891
-14.5
[자료: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경쟁 동향
중고의류의 경우 한국,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권 제품이 주로 수입된다. 한국에서 수입된 중고의류는 합리적인 가격 및 양호한 컨디션 등으로 인해 내수 및 재수출용 수요가 높다. 한국에서 수입한 중고의류의 상당 부분이 중국산이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있다고 한다. 다만 그러한 이유로, 중국산 중고의류의 수입도 최근 들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청바지, 셔츠, 남방, 아동복 등이 인기가 많다. 중고의류 특성상 특정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없는 대신, 바이어들은 중고 의류를 품목이나 제품 상태에 따라 잘 분류해서 수출하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는 수출업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중고의류 소매가는 품목이나 세탁 상태, 브랜드, 제조국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옷더미에서 고를 수 있는 제품은 개당 2~3달러, 상태가 좋고 세탁된 청바지, 셔츠 등은 개당 5~10달러 수준이며, 유명 브랜드 제품의 경우 가격이 좀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유통구조
캄보디아 중고의류 수입업체들은 한국,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미국 등에서 제품을 수입하여 현지 소매업체나 재수출 업체들에게 유통한다. 일부 재수출 업체들은 중고의류 수입업체로부터 수입된 중고의류 제품을 구입한 후 베트남이나 태국 등 인근국가로 재수출하기도 한다. 일부 국가의 경우 중고의류 수입이 금지되어 있지만 캄보디아 업체들은 육로를 이용해 비공식적으로 중고의류를 재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중고의류 수입업체는 수입한 중고의류의 30~40%가 내수시장에 공급되고 나머지 60~70%는 제3국으로 재수출된다고 밝혔으나, 정확한 재수출 규모는 확인이 어렵다.
<현지 중고의류 수입업체 창고>
[자료: 업체 제공]
관세율 및 인증
<중고의류 수입 관세 및 FTA 관세 양허유형>
(단위: %)
HS Code
기준세율
한-아세안 FTA
한-캄 FTA
630900
7
7
(초민감품목, 미양허)
7
(20년간 균등 철폐)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산업부FTA포털]
중고의류 수입시 관세율은 7%이다. 한-아세안 FTA에서 캄보디아는 한국산 중고의류를 관세 철폐 제외 대상인 초민감품목(HSL, Highly Sensitive List)으로 분류하고 있어 7%를 납부해야 한다. 한-캄보디아 FTA에서도 중고의류는 양허유형 “20”으로 규정되어 있어 한-캄 FTA 발효일을 시작으로 20단계에 걸쳐 매년 균등하게 철폐되어, 20년차 1월 1일부터 무관세가 적용되는 품목이다. 관세와 별도로 부가세 10%가 부과된다. 중고의류 수입에 대한 별도의 인증 절차는 필요 없다.
시사점 및 전망
캄보디아는 빠른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소득 격차 및 소비 불평등으로 인해 중고의류 시장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대중국 수입 비중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은 대캄보디아 중고의류 수출 1위국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한국 중고의류 제품에 대한 수요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고의류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고 최근 한국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지만 경쟁력 있는 가격, 제품 선별 및 품목 분류 상태, 지속적인 공급 가능 여부에 따라 안정적인 거래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크메르타임즈, ITC Trademap, 한국무역협회, 캄보디아 관세청, 산업부 FTA포털, 바이어인터뷰, KOTRA 프놈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 중고의류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동향
미국 2023-07-20
-
2
베트남 중고 의류 수입 규제
베트남 2023-06-07
-
3
패션에 눈을 뜬 라오스 젊은 세대, 라오스에 꿈틀대는 패션 트렌드
라오스 2023-08-22
-
4
파키스탄 중고의류 시장동향
파키스탄 2023-05-10
-
5
변화하는 일본 골프 산업... 젊은층, 여성이 주요 타깃
일본 2023-07-18
-
6
말레이시아 전기차 배터리 산업 동향
말레이시아 2023-07-26
-
1
2025년 캄보디아 이커머스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5-03-21
-
2
2024 캄보디아 제조업 정보
캄보디아 2024-09-11
-
3
2021년 캄보디아 농업 정보
캄보디아 2021-12-27
-
4
2021년 캄보디아 건설 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12-27
-
5
2021년 캄보디아 산업 개관
캄보디아 2021-12-15
-
6
2021년 캄보디아 금융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10-18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