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음향장비 부품 산업 동향
  • 상품DB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신승옥
  • 2023-06-27
  • 출처 : KOTRA

다국적기업의 활발한 진출로 경쟁환경 치열

스마트 기술 등 제품군 다변화 속 새로운 진출기회 모색해야

관세청 관세법령정보포털(Customs Law Information Portal, CLIP)에서 정의하는 HS코드 8518 제품은 모든 종류의 마이크로폰, 확성기,헤드폰,이어폰,가청주파증폭기를 포함한 음향분야 장비들이며 8158.90의 경우 그 부분품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음향장비들의 경우 이벤트와 엔터테인먼트에서부터 차량 내 오디오 그리고 공공 및 상업시설의 음향시스템에 고루 활용이 될 수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 내 전기(Electrical and Electronic, E&E) 분야 산업 규모가 커지면서, 덩달아 관련 부품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번 뉴스를 통해 음향장비 부품들에 대한 현지 동향을 살펴보며 그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상품(HS CODE 851890) 정보 현황>

HS코드

품목명

세부품목

851890

마이크로폰과 그 스탠드, 확성기[인클로저(enclosure)에 장착된 것인지에 상관없다], 헤드폰과 이어폰(마이크로폰이 부착된 것인지에 상관없다), 마이크로폰과 한 개 이상의 확성기로 구성된 세트, 가청주파 증폭기, 음향 증폭세트

부분품

[자료: 관세청,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교역현황

<수출입현황(HS CODE 851890) >

(단위: 천 USD)


2018

2019

2020

2021

2022

수출액

107,760

89,830

190,950

72,570

84,170

수입액

98,400

134,470

186,940

136,900

183,000


[자료: Global Trade Atlas]


말레이시아의 마이크로폰 등 음향장비 부분품(HSCODE 851890) 대한 국내외 교역 현황은 상기의 도표와 같다. 글로벌 트레이드 아틀라스(Global Trade Atlas, GTA)에서 추출한 통계에 따르면, 음향장비 부분품에 대한 말레이시아의 대 외국 수출 규모는 2022년 기준 8417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16% 증가 한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 동일 기간동안 수입은 전년대비 약 33.7% 증가한 1억 8,300만 달러로 확대되었다. 2021년에는 전년 대비 수출입 규모가 각각 약 62%, 26.8% 감소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침체에 직면하기도 하였지만, 이후 서서히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별 수출현황(HS CODE 851890)>

(단위: 천 USD)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1

중국

63,230

12,040

15,780

2

미국

12,410

16,240

13,340

3

싱가포르

4,320

5,220

10,230

4

멕시코

2,770

3,890

9,910

5

베트남

13,920

4,550

4,750

6

홍콩

74,170

6,660

4,430

7

이탈리아

1,580

2,070

3,630

8

벨기에

2,270

2,660

3,260

9

스웨덴

880

1,800

2,420

10

인도

1,730

2,300

2,360


[자료: Global Trade Atlas]


국가별 수출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대 중국 수출 규모가 전년대비 31.1% 증가한 1578만 달러를 기록하며 말레이시아가 관련 부품들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나라임이 확인이 되었고 그 규모는 해당 품목의 전체 해외수출규모 대비 약 18.75%에 해당 되는 규모이다. 이어서 싱가포르로의 2022년 수출규모가 1023만 달러로 전년대비 95.6% 증가하는 등 크게 확대 되었으나 대미 수출 규모는 전년대비 17.85% 감소한 1333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국가별 수입현황(HS CODE 851890)>

(단위: 천 USD)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1

태국

57,480

62,060

83,290

2

중국

102,330

47,680

59,470

3

멕시코

4,340

8,400

19,410

4

홍콩

12,480

6,220

5,390

5

일본

2,190

5,000

5,080

6

대만

1,280

1,690

3,600

7

베트남

1,070

1,180

2,300

8

미국

2,330

2,230

1,690

9

싱가포르

920

530

1,170

10

독일

260

220

300


[자료: Global Trade Atlas]


말레이시아로 수입되는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3년 동안 말레이시아에서는 중국과 태국으로부터 가장많은 규모의 수입 거래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2022년 태국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각 8329만 달러, 5947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각 34.2%와 24.73% 증가한 규모이다. 지난 3년간 두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비중이 높았으며 2021년부터는 태국산 부품들의 규모가 중국산 부품을 넘어선 것이 눈에 띈다. 


기타 국가들의 데이터를 몇 가지 더 살펴보자면, 멕시코로부터의 수입액은 2021년 840만 달러 대비 2022년 1941만 달러로 증가하여 2배 이상 증가하기도 하였으나 홍콩과 미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3년 연속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전체적인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현황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규모 (HS CODE 851890) >

(단위: 천 USD, %)


2018

2019

2020

2021

2022

규모

875

634

656

434

102

증감률

35.4

-27.6

3.5

-33.8

-76.4


[자료: Global Trade Atlas]


GTA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말레이시아 내 상위 10번째 수입국 지위를 차지하기도 하였으나 2022년에는 16위를 기록하며 순위권 밖으로 벗어나게 되었다. 2018년도에 기록했던 87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최근 5년 간 꾸준한 감소를 기록하고 있는 추세이며 2022년도 데이터 기준으로 음향장비 관련 부분품 전체에 대한 수출 규모는 1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최근 5년간 최저치에 해당되는 기록이다.  


관세 및 인증 규정


<현지 수입관세 현황 (HS CODE 851890) >

(단위: %)

HS CODE

수입 관세

판매세 및 서비스세(SST)

관세명령(PDK) 2022

AK-FTA

851890

0

0

10


[자료: 관세청 고시 제 2022호, 한-아세안 FTA(AKFTA)]


2022년 현지 세관의 관세 명령 PDK 및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AK-FTA)에 따른 HS코드 851890의 수입 관세는 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세 명령(PDK) 2022에 따라 10%의 판매 및 서비스세(SST)가 부과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말레이시아 왕립 관세청에 따르면 관세 명령(PDK) 2022에 따라 HS코드 851890에 대해 수입 관련 별도의 금지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 사용자 제품(조립된 스피커, 오디오 증폭기)의 조립에 대한 수입 인증은 별도로 획득할 필요가 없으나 최종 제품 자체는 SIRIM Berhad에서 발행한 승인 인증서를 취득해야한다. 

 * 관련링크: https://www.sirim-qas.com.my/business-sector/regulated-products/


현지 유통구조


현지의 오디오 관련 최종제품을 조립 또는 제조하는 전자 제조 서비스업체들을 중심으로 부품수요가 형성이되고 유통되고 있다. 이 경우 최종재를 조립 또는 제조하는 기업이 최종 사용자로서 현지 공급업체로부터 납품을 받는 형태가 있으며 부품 공급업체가 해외일 경우 주로 현지의 전문 유통업체를 통해서 최종사용자에게 까지 전달이 된다. 

  

< 마이크로폰 등 음향장비 부품(HS CODE 851890) 현지 유통구조 >

  

[자료: Global Trade Atlas,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재구성]


주요 공급업체 현황 


말레이시아 내에는 다양한 국내외 음향장비 관련 부품 공급업체들이 소재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 제조업 연합회(Federation of Malaysian Manufacturers, FMM)에서 공개하고 있는 주요 기업 현황은 아래와 같다.


< 마이크로폰 등 음향장비 부품(HS CODE 851890) 현지 공급업체 현황  >


회사명

주요품목(부품)

국가

TOA Electronics (M) Sdn Bhd

음향증폭기(Amplifiers), PA 스피커 등

일본(다국적기업)

TS KUBU Electronics Sdn Bhd

Power Transformer 등 관련 부품 3,000개 품목 

말레이시아

Infineon Technologies (M) Sdn Bhd

반도체 및 차량내 음향장비 관련 부품 등

독일(다국적기업)

Core Electronics (M) Sdn Bhd

Low Voltage Power Transformers 등

말레이시아

JVC Kendwood Electronics Malaysia Sdn Bhd

JVC Brand(증폭기 등 음향장비 관련 브랜드 보유)

일본(다국적기업)

Premium Sound Solutions Sdn Bhd

음향 스피커 관련 부품 등

벨기에(다국적기업)


[자료: Federation of Malaysian Manufacturers(FMM), 각 기업 홈페이지]



향후 전망 및 시사점


음향장비의 경우 주요 선진국 브랜드들을 중심으로 스마트 기술 등과 접목하여 점점 고도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구글 홈과 같은 스마트 기술이 점차 자리잡게되면 스피커 등의 음향 장비들이 일상의 가구, 램프 등 다양한 가전제품과 통합되는 과정에서 음향장비 산업과 관련 부품산업들에 대한 잠재적 성장을 이끌어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글로벌 다국적기업들이 많이 진출해 있는 현지의 경쟁환경 등을 살펴 보았을때 우리 기업의 신규 진출이 쉽지 않아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변화하는 트렌드 속 현지 기업들의 우위점을 파악하여 경쟁 전략을 수립 후, 진출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해 보인다.


자료원: Global Trade Atlas(GTA), 관세청 법령정보포털(CLIP), 유로모니터, Federation of Malaysian Manufacturers, 현지 언론기사 및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음향장비 부품 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