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무기류 시장동향
  • 상품DB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김태민
  • 2023-06-19
  • 출처 : KOTRA

지속 성장하는 사우디 방산시장, 대체공급선 발굴기회를 잡아라

상품명 HS 코드

 

상품명 : 무기와 탄약류(Weapon and Ammunition)(HS Code 9306.30)

 

시장규모

 

사우디아라비아의 방위산업 지출규모는 2020 코로나19 감소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이런 추세는 2026년까지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21년에 전년의 감소폭을 회복하며 크게 증가하였고, 이후 2022년부터는 GDP 대비 비율을 9.8% 선으로 유지할 계획으로 추정된다.

 

<사우디 방위산업의 연도별 지출 GDP 대비 비율(2020-2026)>

(단위 : 백만 리얄(1달러 = 3.744리얄), %)

 

2020

2021e

2022f

2023f

2024f

2025f

2026f

지출액

215,798

297,868

316,670

317,969

333,024

349,951

363,544

연도별 증감률

-7.2

38.0

6.3

0.4

4.7

5.1

3.9

GDP 대비 비율

8.2

9.8

9.8

9.8

9.8

9.8

9.8

* : 2021년은 예상치, 2022~2026년은 추정치

[자료 : Fitch Solutions]

 

시장동향

 

사우디는 2021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방위산업 시장으로 기록되었다. 미국, 중국, 인도, 러시아, 영국에 이은 수치였으며,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따르면 사우디는 2021 기준 무기류의 80% 가까이를 미국에서 수입해 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우디의 국방비 지출은 지난 10 상당히 증가했으며, 부분적으로는 예멘 내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SAUDI VISION 2030 , 경제 다각화 프로그램에 따라 사우디는 2030년까지 군수 조달의 50% 현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우디 2개의 주요 군수산업 기관이자 현재 외국기업과 직접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GAMI(General Authority for Military, 방위산업청), SAMI(Saudi Arabian Military Industries, 사우디 국영 방산업체)와의 협업으로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SAMI CEO Mr. Walid Abukhlaed 2030년까지 회사가 세계 25위권 방산업체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밝혔으며 이를 위해 외국기업과의 파트너쉽 합작투자를 적극 활용할 예정임을 언급했다.

 

사우디 내에는 6개의 주요한 방산 기관이 존재한다.

 

-       국방부(Ministry of Defense) 사우디의 국가안보를 책임지고 있으며, 산하에 왕립 지상군, 공군, 해군, 방공군, 전략 미사일 부대(Royal Land Forces, Royal Air Forces, Royal Naval Forces, Royal Air Defense Forces, Royal Strategic Missiles Forces) 보유하고 있다.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 따르면 27만7000명이 복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방위산업청(GAMI) 2017 설립되었으며, 사우디의 군수산업 부문의 규제와 라이선스 등을 담당하고 있다. 정책, 전략 등의 규정 제안과 함께 무기, 탄약, 장비, 군복 보안 관련 유지보수 운영 계약의 군수 조달 작업을 관리한다.

-       국영 방산업체(SAMI) 사우디의 군수품 해외 구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PIF에서 2017 출범시킨 업체이다. 군용 차량, 무기, 미사일, 방위 시스템 항공과 지상 전반에 대해 관리한다.

-       국가방위부(The Ministry of National Guard) 사우디의 영토와 국경, 자산을 보호하고 내부 안보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사우디 왕실근위대(The Saudi Arabian Royal Guard) 사우디 부대로, 원래 독립된 군대였으나 사우디 군으로 편입되었다.

-       내무부(Ministry of Interior) 사우디의 국가 안보를 비롯 귀화, 이민 관세 등을 담당하는 정부 기관으로, HS 9306.30 수출을 위해서는 사전에 내무부 승인이 필요하다.

 

향후 10년은 사우디 내에서 대테러 국경보안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지휘, 통제, 통신, 컴퓨터, 정보, 감시 정찰에 사용되는 장비(C4ISR)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리야드는 UAV(Unmanned Air Vehicle, 무인기) 대한 관심이 높은데 기존의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서 UAV(특히 무장 UAV) 공급을 지양하면서 사우디 정부에서 대체 공급처를 물색하고 있다. 이미 사우디는 2015년에도 중국에서 다수 UAV 인수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남아공에서도 무장 UAV 조달을 협의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수입동향 트렌드

 

HS 9306.30 방위산업 품목이라는 특수성으로 주요 수출입통계에서 사우디의 수입통계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마찬가지로 무역협회 수출입 통계에서도 동일한 HS Code, 세분화 품목에 대한 수출입 통계는 정부지침으로 확인이 불가하다.

 

이에 MTI 2코드인 97(무기류) 무역협회 수출입통계에서 검색한 최근 5개년 수출통계를 통해 한국의 대사우디 무기류 수출 현황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2019 이후 수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22년에는 전년대비 179.6% 급성장을 기록했다. 2023 역시 1~4 기준, 전년동기 대비 162.7% 기록하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사우디 무기류(MTI 97) 최근 5개년 수출현황>

(단위 : 백만 달러)

 

2019

2020

2021

2022

2023.1~4

무기류(97)

51

104

113

316

134

-무기류(9701)

25

86

79

280

117

-무기류부품(9702)

26

18

34

36

17

[자료: 한국무역협회]

 

시장 경쟁동향 주요 브랜드

 

사우디아라비아의 군수시장은 글로벌 기업의 영향력이 확고하다. 대표적으로는 Lockheed Martin, General Dynamics, Dassault Aviation, Raytheon, Bell Helicopter, Airbus, Sikorsky 등이 있다. 외에도 Northrop Grumman, BAE Systems 일부 기업은 사우디 자회사를 설립하여 방위군 훈련계약이나 항공기 유지보수 등의 장기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SAUDI VISION 2030 산업 다각화 계획에 맞춰 여러 합작투자가 논의 추진되고 있으며, 2017 이후 SAMI 통해 이미 다수의 MoU JV 추진되고 있다. 2017 SAMI Boeing, Lockheed Martin, Raytheon, General Dynamics MoU 체결한 있으며, 2021년에는 Lockheed Martin 합작투자회사 구성을 위한 전략적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후, 2021 12월에는 Figeac Aero 사우디 내에서 항공기 부품을 만드는 공장을 위한 합작투자회사 설립에 착수했다.

 

유통구조

 

사우디의 조달법은 모든 정부 조달을 규제하고 있으며, 모든 정부 입찰에 대해 Etimad 통해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사우디 정부는 방위산업에서는 직접 구매를 허용하고 있어 실제로 대부분의 방위산업 조달은 별도 협상되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현지 파트너와 함께 사우디  합작투자회사를 설립하여 사우디 정부에 판매하거나 장비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합작투자 계약은 현지 파트너가 사업 개발  정부 계약 수주에 집중하고, 외국 투자자는 합작투자를 통해 사우디 정부로의 판매를 위한 제품 제조에 집중하게 된다.

 

사우디 정부는 정부 계약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지 투자를 하도록 외국기업을 점점 압박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Localization RHQ 정책으로 대표되고 있으나 다른 산업군 대비 방위산업은 국가안보와 직결된다는 특수성 때문에 보다 보수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관세  부가세: 수입관세 5% / 부가가치세 15%

 

<HS code 세부내용  수입관세>

HS Code

설명

관세

9306.

폭탄, 수류탄, 어뢰, 지뢰, 미사일 및 이와 유사한 전쟁용 탄약 및 그 부속품; 카트리지, 기타 탄약, 발사체 및 샷과 카트리지 뭉치를 포함하는 그 부속품


9306.30.0000.00

-기타 탄약


9306.30.1000.00

---사냥용 또는 스포츠 사격용 카트리지와 그 부속품 및 악세사리

5%

9306.30.9000.00

---기타 탄약 및 그 부속품


9306.30.9099.99

기타

5%

[자료 사우디 관세청]


수입절차  인증

 

HS 9306.30 기술규제(Technical Regulation) 해당하는 제품은 아니나, 사전 내무부(Ministry of Interior) 승인이 필요한 제품이다.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로 수출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서류들이 필요하며, 제품 특성에 따라, 혹은 거래조건에 따라 추가적인 서류를 요구 받을  있으며, 수출자들은 원산지증명서, 상업송장  기타 서류의 진위 여부에 대해 책임을 가진다.


-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       선화증권(Bill of Landing, Airway Bill)

-       운송회사 증명서(Steamship or Airline Company Certificate)

-       보험증권(Insurance Certificate, if goods are insured by the exporter)

-       포장명세서(Packing List)

 

더불어 사우디에서는 종교적 또는 보안상 이유로 특정 품목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주류, 마약, 이슬람이 아닌 다른 종교물품, 이슬람에 반하는 물품 등이 해당되며 무기류와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보안상의 이유로 엄격하게 통제된다.


시사점

 

사우디는 자국 방산시장에 필요한 대부분을 미국에서 수입해 왔다. 이러한 연유로 우리나라는 2010년대 초반에는 무기류의 수출이 상당히 저조했다. 하지만 미국에서 사우디로의 무기 공급을 지양하기 시작하면서 사우디의 대체공급선 발굴 수요에 발맞춰 진출하기 시작했다. 2017 1억6000만 달러 상당을 수출하며 전년 대비 3 이상을 기록한 이후, 주요 수출품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결과로 2022년에는 대사우디 수출품목 6위에 자리잡았으며, 2023년은 1~4 기준 5위에 자리잡고 있다.

 

물론 최근 사우디 국내외로 기존의 긴장된 관계를 유지하던 이란을 필두로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외교관계를 복원하는 방산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아라비아 반도를 둘러싼 분쟁은 쉽게 종결되지 않았고 현재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충돌은 지속되고 있으며, 예멘 내전 역시 사우디와 이란의 평화관계에도 불구하고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사우디에서 국방비 지출을 쉽게 낮추기는 어려울 것이다.



자료 : Fitch Solution, 유로모니터, 무역협회, ITC Trademap, ZAKAT, GASTAT, GTA, Saudi Gazette, Arab News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무기류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