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캄보디아 건설기자재 시장동향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오승준
  • 2023-03-29
  • 출처 : KOTRA

로컬 투자 기반 건설 프로젝트 활성화에 따른 건설기자재 수요 증가 전망

고급 프로젝트 활성화로 가격대비 고품질의 한국산 건설기자재 주목

회복하는 캄보디아 건설 및 건설기자재 수요


2020년 전년대비 1.8% 감소한 캄보디아 건설시장은 2021년 105억 달러 규모로 2.1%의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캄보디아 국토관리도시계획건설부(Ministry of Land Management,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는 2022년 4분기 승인된 건설 프로젝트는 1,1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5.77%(60건) 증가했으며, 총 등록 자본금은 10.92백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3%(862백만 달러)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비록 외국인 투자 기반 대규모 장기 건설 프로젝트는 아직 더디게 회복되고 있지만, 내국인 투자 기반 건설 프로젝트의 활약에 힘입어 2022년 말부터 건설 경기 회복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엔데믹과 함께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캄보디아 건설시장은 연평균 9%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30년까지 캄보디아와 주변 국가를 연결하는 다목적 교통 시스템 구축 사업 및 공공사업교통부(MPWT)의 총 500억 달러 규모 330개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 등이 예정되어 있어 상당한 건설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젝트 재개가 활성화되고 건설 경기가 점차 회복되면서 건설기자재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Financial Stability Review 2021’을 통해 2021년 건설 경기 회복의 신호로 건설기자재·장비 수입과 FDI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건설기자재 및 장비의 수입 규모는 2020년 12% 감소한 이후 2021년 27% 증가했으며, 건설 및 부동산 부문 FDI 유입은 2020년 10.6% 감소한 이후 2021년 1.1% 증가했다.


<캄보디아 건설부문 GDP 현황>


[자료 :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of Cambodia]

주 : 2022, 2023년의 경우 예상치


캄보디아 주요 건설기자재 수입 동향


캄보디아는 건설기자재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캄보디아 상무부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2022년 18억 3천만 달러 상당의 건설기자재를 수입했으며, 이는 2021년에 기록한 17억 7천만 달러보다 3%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캄보디아는 주로 철강 및 철강제품, 플라스틱 기자재, 석제품, 도료 및 페인트 등의 건설기자재를 수입하고 있으며, 해당 기자재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다.

 

캄보디아의 주요 건설기자재 수입은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이 높고 인접한 중국, 베트남, 태국 등 제품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비록 한국산 주요 건설기자재가 캄보디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 2022년 증감률을 보면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 기준 한국산 건설기자재 수입 중 철강 및 철강제품은 55.05%(전체 수입 -0.32%), 플라스틱 기자재는 21.12%(전체 수입 +11.5%), 석제품은 +54.64%(전체 수입 +2.62%), 도료 및 페인트는 23.52%(전체 수입 3.35%) 증가하면서 한국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철강 및 철강제품 수입 현황>

(단위 : USD,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비중

 

비중

 

비중

 

총 수입액

1,044,740,447

100

1,325,753,610

100

1,321,558,608

100

1

중국

635,613,535

60.8

765,568,806

57.7

667,716,554

50.5

2

베트남

292,766,583

28.0

436,647,509

32.9

521,913,137

39.5

3

태국

74,054,354

7.1

83,682,039

6.3

100,293,654

7.6

4

대만

18,925,415

1.8

14,878,241

1.1

9,068,337

0.7

5

한국

6,565,859

0.6

3,818,973

0.3

5,921,408

0.4

[자료 : Global Trade Atlas]

* 주 : HS Code 7205-7212, 7217-7220, 7223-7226, 7229, 7302, 7304, 7306-7309, 7312, 7314-7315, 7317-7319, 7322, 7325, 7326


<건축용 플라스틱 기자재 수입 현황>

(단위 : USD,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비중

 

비중

 

비중

 

총 수입액

601,971,141

100

884,820,218

100

986,563,894

100

1

중국

302,925,559

50.3

523,830,476

59.2

664,234,846

67.3

2

태국

113,058,795

18.8

129,636,195

14.7

117,559,004

11.9

3

베트남

74,050,417

12.3

101,777,316

11.5

90,122,560

9.1

4

홍콩

33,681,803

5.6

37,689,025

4.3

30,668,692

3.1

7

한국

11,744,647

2.0

10,773,142

1.2

13,048,767

1.3

[자료 : Global Trade Atlas]

주 : HS Code 3901, 3904, 3906, 3910, 3917-3922, 3925-3926


<석제품(시멘트, 콘크리트 등) 수입 현황>

(단위 : USD,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비중

 

비중

 

비중

 

총 수입액

109,871,408

100

99,740,829

100

102,358,866

100

1

태국

60,751,742

55.3

57,319,434

57.5

49,529,191

48.4

2

중국

34,273,173

31.2

30,148,731

30.2

46,246,795

45.2

3

베트남

11,868,014

10.8

10,061,942

10.1

3,524,541

3.4

4

인도네시아

25,645

0.02

775,820

0.8

904,655

0.9

11

한국

30,085

0.027

27,704

0.028

42,842

0.042

[자료 : Global Trade Atlas]

주 : HS Code 6802, 6804-6805, 6809-6811


<도료 및 페인트 수입 현황>

(단위 : USD,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비중

 

비중

 

비중

 

총 수입액

77,178,625

100

86,341,445

100

89,237,908

100

1

태국

32,758,722

42.4

32,374,439

37.5

30,526,663

34.2

2

중국

17,959,736

23.3

21,356,468

24.7

23,302,168

26.1

3

베트남

12,172,623

15.8

16,051,228

18.6

14,534,286

16.3

4

싱가폴

5,208,841

6.7

7,290,988

8.4

9,132,419

10.2

10 

한국

868,557

1.1

495,387

0.6

611,899

0.7

[자료 : Global Trade Atlas]

주 : HS Code 3208-3210, 3212, 3214


경쟁동향과 캄보디아 소재 기업으로부터 듣는 진출방안


캄보디아 건설기자재 시장은 중국, 베트남, 태국 등 저가 수입품의 점유율이 높다. 특히 중국산은 저렴한 가격과 개선된 품질로 보레이(주택단지) 같은 중저가 주택 건설 프로젝트 뿐 아니라 상업용·고층빌딩·고급 주거시설 등의 고비용 건설 프로젝트까지 수요가 확장되고 있다. 더불어 고품질의 건설기자재를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이 인접국에 공장을 설립하면서 가격경쟁력 확보에 노력을 기울임에 따라 기자재 납품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중국 자본 기반 프로젝트의 경우 중국산 기자재만 사용하기에 중국 외 국가의 기자재 납품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 하지만 최근 캄보디아 현지 기업 재원 기반의 고비용·고급 건설 프로젝트 추진이 활성화되면서 가격대비 고품질의 기자재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다. 캄보디아 주요 건설기업의 구매담당자는 프놈펜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중저가의 건설기자재에 대응하기 위해 캄보디아 로컬 대형 프로젝트를 공략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내장재의 경우 중국산 건축기자재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고, 프로젝트가 고급화되면서 가격대비 고품질의 한국산 내장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단, 현지 바이어나 에이전트를 통해 내장재를 납품할 경우 관례적으로 독점 납품계약이 요구된다는 점에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한편, 캄보디아에 진출한 아스팔트 방수 시스템 솔루션 제공 기업은 현지 공인 유통 파트너를 통해 시장에 진출할 것을 제안했다. 우선 현지 수입업체가 대규모 유통망과 대형 건설 도급업체 및 부동산 개발업체와 직접 연결되는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캄보디아 내 건설 프로젝트의 주요 의사 결정권자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자재를 홍보하는데 공인 총판의 역할이 주요하다는 것도 현지 공인 유통 파트너사와의 협력이 필요한 이유이다.

 

시사점


최근 캄보디아 건설 기자재 시장은 중국의 대규모 ODA 및 건설 프로젝트를 토대로 중국산 건설기자재가 보편화되었다. 하지만 최근 건설 프로젝트의 프리미엄화로 고품질 기자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고가의 유럽, 일본, 미국의 기자재와 저가의 중국산, 베트남, 태국산 기자재 사이에서 대체품으로 한국산 기자재가 부각되고 있다. 고급 건설 프로젝트라는 틈새시장에서 한국산 기자재가 포지셔닝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캄보디아 공인 유통 파트너와 현지 이해도가 높은 교민기업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엔데믹으로 CAMBUILD(’23.9), Cambodia International Construction Industry Expo(’23.12)과 같은 대규모 오프라인 전시회 개최가 예정됨에 따라 고품질의 건설기자재를 찾는 캄보디아 유력 바이어와 유통 파트너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오프라인 포럼 및 전시회에 참가하여 직접 캄보디아 건설시장 현황에 대해 듣고, 유력 바이어 및 파트너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캄보디아 건설 기자재 시장 진출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


건설기자재 관련 주요 오프라인 행사 정보


전시회

CAMBUILD 2023

일자

2023년 9월 14-16일

장소

DIECC (프놈펜)

홈페이지

https://www.cambuildexpo.com/

내용

Cambodia’s 10th International Building, Construction and M&E Industry Show is back in action. The Expo will be held to meet the Kingdom’s growing demand for innovative technology, equipment and supplies, in line with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sector’s rapid expansion. Featuring over 300 companies and brands with Pavilions from China, India, Singapore, Italy, Malaysia, Taiwan, Thailand and Korea, this three-day event is truly an international stage for exhibitors to expand their business in Cambodia.



전시회

Cambodia International Construction Industry Expo

일자

2023126-8

장소

DIECC (프놈펜)

홈페이지

https://www.cambodiaconstructionexpo.com/

내용

The Expo will be held to promote and sell the construction materials, equipment and machinery. It will be a great opportunity to find partnership or dealer or seller of constructor materials, equipment and exchange experiences, tips, and discuss issu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자료: Global Trade Atlas, Phnom Penh Post, GlobalData, National Institution of Statistics in Cambodia, 캄보디아 중앙은행, 현지 기업 인터뷰,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 건설기자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